링크를 걸어주는것이 법적으로 문제가되나요? 정보
링크를 걸어주는것이 법적으로 문제가되나요?
본문
아래같이 홈페이지에 임의로 업체소개로 링크를 거는것이 법적 문제가되나요?
내용에 간략한 내용과 주소가 링크되어있습니다.
http://mythkorea.com/bbs/board.php?bo_table=z5_12
옐로우캡에서 전화와서 왜 맘대로 링크를 걸었냐고 그럽니다.
(5)
제주도렌트카 80%특가, 할인항공50%, 저가 카텔패키지.
네비무료, 바다전망펜션, 맞춤견적, 여행일정짜기, 관광책자, 장바구니 추가할인.
(3)
특가 제주도 렌트카, 패키지 할인, 할인항공권 45%, 무료 여행자보험.
(0)
최혜영 프로 추천. 골프채풀세트 55% 할인. 하프백, 투어권 등 38만원 선물.
내용에 간략한 내용과 주소가 링크되어있습니다.
http://mythkorea.com/bbs/board.php?bo_table=z5_12
옐로우캡에서 전화와서 왜 맘대로 링크를 걸었냐고 그럽니다.
(5)
제주도렌트카 80%특가, 할인항공50%, 저가 카텔패키지.
네비무료, 바다전망펜션, 맞춤견적, 여행일정짜기, 관광책자, 장바구니 추가할인.
(3)
특가 제주도 렌트카, 패키지 할인, 할인항공권 45%, 무료 여행자보험.
(0)
최혜영 프로 추천. 골프채풀세트 55% 할인. 하프백, 투어권 등 38만원 선물.
추천
2
2
관련링크
댓글 20개

예로캡이 뭔진 모르지만 링크가 불법이란 소린 첨 즐어 봅니다.
자기 사이트가 아니고 남의 사이트 일 경우 광고로 오해는 받을지 몰라도.. ^^
자기 사이트가 아니고 남의 사이트 일 경우 광고로 오해는 받을지 몰라도.. ^^

노란모자 택배사입니다.

옐로캡은 여행사 아니던가요..?
링크가 불법인가... 애매한데.. 불법인 것도 있긴 할껍니다.
옐로캡에서만 제공하거나 특정 정보에 대한 링크라면....
그런데 위처럼 일반 싸이트 링크라면.... 관련이래두.. 옐로캡이 태클 걸 상황은 아닌 듯 한데..
링크가 불법인가... 애매한데.. 불법인 것도 있긴 할껍니다.
옐로캡에서만 제공하거나 특정 정보에 대한 링크라면....
그런데 위처럼 일반 싸이트 링크라면.... 관련이래두.. 옐로캡이 태클 걸 상황은 아닌 듯 한데..

노란모자 택배사 입니다.

레드캡이랑 헷갈렸음. ^^;;
링크를 함부로 거는 것도 사안에 따라서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좀더 자세하게 답변좀 가능하신가요? 함부로 걸긴했습니다.
이런 경우도 있군요..오;
그렇다면 검색엔진은 엄청난 불법을 저지르는거게요?
타 사이트의 컨텐츠 일부를 자기것인양 하는것은 그럴 수 있겠지만
불법사이트 링크한것도 아니고 비공개 정보 링크한것도 아니고
단순히 간단한 소개글과 해당 사이트 링크만 한건데 그것이 불법이 될 수 있나요?
타 사이트의 컨텐츠 일부를 자기것인양 하는것은 그럴 수 있겠지만
불법사이트 링크한것도 아니고 비공개 정보 링크한것도 아니고
단순히 간단한 소개글과 해당 사이트 링크만 한건데 그것이 불법이 될 수 있나요?
크롤러들도 규정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삭제를 요청하거나
허가되지 않는 디렉토리는 크롤링하지 못하게 되어있습니다.
http://help.naver.com/delete_main.asp?page_id=2
만일, 즉시 삭제가 되어야 하거나 부득이한 상황이 있는 경우 아래의 삭제 문의 창구를 이용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네이버의 첫눈(1noon) 이라는 엔진이 욕을 먹고 있는 것입니다.
삭제를 요청하거나
허가되지 않는 디렉토리는 크롤링하지 못하게 되어있습니다.
http://help.naver.com/delete_main.asp?page_id=2
만일, 즉시 삭제가 되어야 하거나 부득이한 상황이 있는 경우 아래의 삭제 문의 창구를 이용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네이버의 첫눈(1noon) 이라는 엔진이 욕을 먹고 있는 것입니다.
#
가장 비메너적인 봇의 하나가 지능이 2MB 정도인 네이버의
`설인`이 아닐까 합니다.
좀 지난 이야기 지만
읽어 보는 재미는 있습니다.
1noon(첫눈)-Yet(눈사나이)-예티봇
'첫눈(1noon)'이라는 명칭을 로봇 제작자 nhn과 병기한 점,
'설인(雪人)'을 뜻하는 'Yeti'를 로봇 명으로 사용했다는 점에서
첫눈(http://www.1noon.com)의
스노우랭크 검색 기술이 기반이 됐음을 간접 시사하고 있다.
그 동안 '네이버봇'(Mozilla/4.0 compatible;
NaverBot/1.0; http://help.naver.com/delete_main.asp)이라는
이름의 크롤러를 간헐적으로 운영해 왔으나,
국내에선 활발하게 활동하지 않았다.
일부 일본 네티즌들은 "한국 네이버에서 온 검색 로봇"이라며 경계하고 있다.
지난 3월 말까지 운영한 크롤러 '네이버 봇(Naverbot)'이 웹사이트 안정성을
훼손할 정도로 빈번하게 웹사이트에 접속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특히 서버가 튼튼하지 않은 일본내 영세 웹 사이트 관리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백과사전 위키피디아 일본어판에서는
'네이버봇'(http://ja.wikipedia.org/wiki/NaverBot)에 대해
비판적인 설명을 하고 있다.
위키피이다 일본어판은 "과거 네이버봇은 크롤러로서 알고리즘이
나빠 문제가 됐다"며 "거의 초 단위로 리퀘스트를 실시하면서,
DoS 공격과 유사한 정도에 달해 서버를 불안정하게
할 우려가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 자료에서는 "네이버봇은 일본어 웹사이트를 수집할 때 인덱스에
사용될 것 같은 웹페이지들을 유무를 확인하지 않고 무차별 확인한다"며
"세션을 식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같은 URL에
대해서 세션만 바꾼 채 잇달아 리퀘스트를 실시하고 있고,
(검색엔진이 지켜야 하는 공통 국제규약인)
robots.txt도 무시한다"고 지적했다.
또 이 사전에서는
NABOT/5.,
nhnbot,
minibot(NaverRobot),
dloader(NaverBot),
nabot,
Cowbot,
NaverBot-1.0+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름을 바꿔 웹사이트에 접근했다"며
"네이버봇을 거부하는 일본 웹사이트가 증가했다"고 소개했다.
이와 관련 일본의 한 검색엔진 전문 블로그(http://www.seiren-udoku.com)
운영자는 지난 4월 초 올린 글에서 "네이버봇은 자주 크롤러(HTTP_USER_AGENT)
명칭을 바꾸는 것으로 유명하다"며 "지난 3월 26일을 마지막으로
네이버봇 접근이 사라졌으며,
3월 29일부터는 '예티'라는 새 이름으로 접근하고,
IP 주소도 바뀌었다"고 확인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일본 주요 포털사이트나 블로거들 역시
"네이버봇을 주의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야후 재팬은 물론이고 구글 재팬에서도 '네이버봇 거부
금지(일본어로 NaverBot 拒否/禁止)' 등의 단어로 검색하면
수십~수백건의 글이 쏟아진다.
가장 비메너적인 봇의 하나가 지능이 2MB 정도인 네이버의
`설인`이 아닐까 합니다.
좀 지난 이야기 지만
읽어 보는 재미는 있습니다.
1noon(첫눈)-Yet(눈사나이)-예티봇
'첫눈(1noon)'이라는 명칭을 로봇 제작자 nhn과 병기한 점,
'설인(雪人)'을 뜻하는 'Yeti'를 로봇 명으로 사용했다는 점에서
첫눈(http://www.1noon.com)의
스노우랭크 검색 기술이 기반이 됐음을 간접 시사하고 있다.
그 동안 '네이버봇'(Mozilla/4.0 compatible;
NaverBot/1.0; http://help.naver.com/delete_main.asp)이라는
이름의 크롤러를 간헐적으로 운영해 왔으나,
국내에선 활발하게 활동하지 않았다.
일부 일본 네티즌들은 "한국 네이버에서 온 검색 로봇"이라며 경계하고 있다.
지난 3월 말까지 운영한 크롤러 '네이버 봇(Naverbot)'이 웹사이트 안정성을
훼손할 정도로 빈번하게 웹사이트에 접속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특히 서버가 튼튼하지 않은 일본내 영세 웹 사이트 관리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백과사전 위키피디아 일본어판에서는
'네이버봇'(http://ja.wikipedia.org/wiki/NaverBot)에 대해
비판적인 설명을 하고 있다.
위키피이다 일본어판은 "과거 네이버봇은 크롤러로서 알고리즘이
나빠 문제가 됐다"며 "거의 초 단위로 리퀘스트를 실시하면서,
DoS 공격과 유사한 정도에 달해 서버를 불안정하게
할 우려가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 자료에서는 "네이버봇은 일본어 웹사이트를 수집할 때 인덱스에
사용될 것 같은 웹페이지들을 유무를 확인하지 않고 무차별 확인한다"며
"세션을 식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같은 URL에
대해서 세션만 바꾼 채 잇달아 리퀘스트를 실시하고 있고,
(검색엔진이 지켜야 하는 공통 국제규약인)
robots.txt도 무시한다"고 지적했다.
또 이 사전에서는
NABOT/5.,
nhnbot,
minibot(NaverRobot),
dloader(NaverBot),
nabot,
Cowbot,
NaverBot-1.0+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름을 바꿔 웹사이트에 접근했다"며
"네이버봇을 거부하는 일본 웹사이트가 증가했다"고 소개했다.
이와 관련 일본의 한 검색엔진 전문 블로그(http://www.seiren-udoku.com)
운영자는 지난 4월 초 올린 글에서 "네이버봇은 자주 크롤러(HTTP_USER_AGENT)
명칭을 바꾸는 것으로 유명하다"며 "지난 3월 26일을 마지막으로
네이버봇 접근이 사라졌으며,
3월 29일부터는 '예티'라는 새 이름으로 접근하고,
IP 주소도 바뀌었다"고 확인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일본 주요 포털사이트나 블로거들 역시
"네이버봇을 주의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야후 재팬은 물론이고 구글 재팬에서도 '네이버봇 거부
금지(일본어로 NaverBot 拒否/禁止)' 등의 단어로 검색하면
수십~수백건의 글이 쏟아진다.
sunrise님 말이 맞는것 같습니다.
정말 검색엔진은 완전 불법이죠 아주.. ; ;;
그런데 이거원 ㅡㅡ ; ;;
이런것도 태클을 걸다니 너무하네 ;;
정말 검색엔진은 완전 불법이죠 아주.. ; ;;
그런데 이거원 ㅡㅡ ; ;;
이런것도 태클을 걸다니 너무하네 ;;
...
저작권등의 침해는 안된느 걸로 압니다만.
해당업체는 미쳤다고 봐야 합니다.
무료로 광고해줘도 G랄이니.....
저작권등의 침해는 안된느 걸로 압니다만.
해당업체는 미쳤다고 봐야 합니다.
무료로 광고해줘도 G랄이니.....

제가좀 미친사람처럼됐습니다. ㅋㅋ
누구맘대로 걸어소?
거기 뭐하는회사요?
그러더라구요,
누구맘대로 걸어소?
거기 뭐하는회사요?
그러더라구요,

황당하네요,
너무하다 싶어요
너무하다 싶어요
코멘트를 더 눈여겨 보셨군요.
딥 링크의 실질적인 금지 목적은 바로 그것입니다.도메인의 링크여부에 대한 내용에서,도메인에 해당되는 부분의 공개/비공개 여부는,본 내용과는 연관이 없다고 봅니다.이미 공개된 도메인주소라 할지라도,도메인의 소유자가 자신의 도메인을,특정 사이트에 기록하는 것을 …
딥 링크의 실질적인 금지 목적은 바로 그것입니다.도메인의 링크여부에 대한 내용에서,도메인에 해당되는 부분의 공개/비공개 여부는,본 내용과는 연관이 없다고 봅니다.이미 공개된 도메인주소라 할지라도,도메인의 소유자가 자신의 도메인을,특정 사이트에 기록하는 것을 …

딥 링크가 문제되는 이유는?
보통 포털이나 신문 등에서 시끄러운데요.
첫 페이지의 광고가 비싸기 때문에 대문을 통해서 들어오게 해야 돈벌이가 되기 때문에 딥링크를 금지 하고 있는겁니다.
하지만 위의 예처럼 대문에 링크를 건다면 특별히 문제 될 소지는 없다고 봅니다.
그걸 기피할 내용 이라면 비 공개로 하거나 인터넷에 게재를 하면 안되지요.
여튼 이걸 문제 삼는다면... 아마도 법적으로 싸워도 질것 같은 기분은 안 드는군요.
다만 URL주소가 아니고 링크 제목등을 곧바로 게재 하면 저작권에 걸릴 수 있습니다.
보통 포털이나 신문 등에서 시끄러운데요.
첫 페이지의 광고가 비싸기 때문에 대문을 통해서 들어오게 해야 돈벌이가 되기 때문에 딥링크를 금지 하고 있는겁니다.
하지만 위의 예처럼 대문에 링크를 건다면 특별히 문제 될 소지는 없다고 봅니다.
그걸 기피할 내용 이라면 비 공개로 하거나 인터넷에 게재를 하면 안되지요.
여튼 이걸 문제 삼는다면... 아마도 법적으로 싸워도 질것 같은 기분은 안 드는군요.
다만 URL주소가 아니고 링크 제목등을 곧바로 게재 하면 저작권에 걸릴 수 있습니다.
도메인 소유자가 삭제를 요청하면 해야겠죠.
포털에서 크롤러들이 긁어가면 robots.txt 에서 허락하는
한도의 디렉토리만을 크롤링하고 해당 게시자가 삭제를
요청하면 즉시 삭제를 해주게 되어 있다고 읽었네요.
포털에서 크롤러들이 긁어가면 robots.txt 에서 허락하는
한도의 디렉토리만을 크롤링하고 해당 게시자가 삭제를
요청하면 즉시 삭제를 해주게 되어 있다고 읽었네요.
글쎄요 문제가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