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민영화에 대한 조금 심각한 글입니다 정보
오늘은 민영화에 대한 조금 심각한 글입니다본문
민영화를 통해 경쟁력을 키우면, 서비스가격도 싸고, 일자리 창출하고, 국익에 도움이 되고 좋지 않느냔 생각에 민영화의 대상이 무엇인가를 잊어 버린 분들이 보시면 좋겠습니다.
강력한 태클은 사양하며, 전문적인 것은 이 글의 링크를 달아 놓았으니 그리로 문의바랍니다.
참고로 여러분이 몇 억대 자산이 있으면, 이런 기회에 민영화될 이런 기업들에 투자하시면 짧은 시간에 초고소득을 벌게 됩니다. 국민들은 엄청난 서비스료를 지불해야겠지요. 물가도 폭등할 것이고, 민영화의 장점인 아웃소싱으로 정규직도 상당수 일자리를 잃을 것이고.....
이명박 정권 하, 공공기관 민영화의 본질
[칼럼] 민영화 및 자산 매각 수입이 5∼7년간 60조 원에 이를 것
이명박 정권은 공공기관의 민영화를 서두르고 있다. 그들의 논리에 따르면,
정부는 현재 305개 공공기관 중 50∼60개를 민영화 또는 통폐합해 250개 안팎으로 줄이기로 했다. 또 25만 9,000여 명인 공공기관 종사자를 5년 전 수준인 20만 명 이하로 줄일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곽승준(사진) 대통령국정기획수석비서관은 이날 동아일보가 주선한 오연천 서울대 교수와의 대담에서 "이미 전체 개혁안 마련 작업의 70%는 마무리됐다"며 "이르면 이달 말, 늦어도 다음 달에는 개혁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곽 수석은 "규제 완화와 공공부문 개혁을 통해 민간 부문이 확대되면 일자리가 늘어나고 공공기관 임직원이 지배하던 자산이 국민에게 돌아갈 것"이라며 "이를 통해 잠재 성장률을 높이는 것이 MB노믹스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그는 "공공개혁으로 인한 민영화 및 자산 매각 수입이 5∼7년간 60조 원에 이를 것"이라면서 "이를 중소기업 지원, 젊은 층 일자리 마련, 교육 등에 투자함으로써 국민에게 돌려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동아일보 “공기업 민영화 수입 60조… 경제-교육 투입” 기사 바로가기
공기업의 민영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완전 매각방식과 운용구조의 독립이다. 참여정부에서 시도한 철도청의 민영화는 후자고 이명박 정권이 시도하려는 것은 전자다.
공기업의 태생은 민간이 투자하기 어려운 사업이나 국가 기간산업으로 분류된 사업을 국가가 국민의 혈세를 투입하여 만든 것이다. 따라서 어느 정권이 자기들 마음대로 민영화를 하는 것은 월권이 아닐 수 없다.
민영화가 필요하다면 면밀한 검토와 이에 따른 부작용 방지 대책을 세우고 최종적으로 국민적 합의가 있어야 한다. 이런 절차를 밟으려면 이해 당사자와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된 위원회 구성이 필수인데도 이명박 정권은 몇몇 교수와 밀실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하고 있다. 이 또한 국민적 저항을 불러올 일이다.
26만여 명에 달하는 공공기관 근무자 중에서 6만 명 가량을 줄인다고 하면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이다. 촛불집회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머릿수를 더 채워주고 있다. 그런데 사람이란 자기 목에 칼이 들어와야 반응한다.
공공기관을 매입하는 회사는 자금력이 있는 대기업일 수밖에 없다. 국민의 세금으로 세워서 이윤이 나기 시작한 공기업을 대기업에 넘기겠다는 것이다. 이는 누구는 손톱이 아프게 호박씨를 까고 다 깐 호박씨를 한 줌에 털어 먹어버리는 왕서방과 같은 짓이다.
이 작업을 하기 전에 당위성을 세우기 위해서 '신의 직장' 공기업 임원의 급여가 엄청나니, 비리가 있느니, 하면서 연막을 치고 감사원을 동원해서 공기업을 이 잡듯이 뒤져도 나오는 것이 하나도 없자, 그저 막연히 공공기관 임직원이 지배하던 자산이 국민에게 돌아갈 것이고 한다.
임직원이 지배하는 자산이 뭐가 있다는 것인가? 그리고 그게 국민이 아니라 대기업으로 가는 것이다. 인수 자금의 대부분은 은행 대출로 할 것이 뻔하고 국민은 공공기관을 인수한 대기업의 이윤 극대 창출을 위해서 더 높은 요금을 내야만 한다.
골프장-카지노 등 관광공사 부분 매각은 타당성이 전혀 없는 것이 아니지만 인천공항과 도로공사, 항만공사,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 등 국가 기반 사업은 신중을 기해야 한다.
주목할 것은 매각 수입이 5∼7년간 60조 원에 달한다는 것이다. 이 자금의 사용처가 중소기업 지원, 젊은 층 일자리 마련, 교육 등에 투자한다는 것인데 판에 박은 듯한 것이다. 이 돈 중에서 단 5%로만 세어 나가도 엄청난 돈이다. 이를 노리고 민영화 수작을 부릴 수도 있다.
이명박은 서민의 돈을 털어먹는데 선험적인 경험이 뼛속 깊이 뿌리 박혀 있다. 그의 경제 원칙은 대기업과 가진 자를 위해서 국민이 피땀 흘려 상을 차리게 하여 우선 가진 자들이 배를 불리고 그들이 먹다 남은 것이나, 토한 것을 서민들이 주워 먹게 만드는 것이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데 참여정부가 수립한 전국을 지식기반 사회로 만든다는 혁신도시는 물 건너가게 된다는 심각함이다. 민영화로 지방 이전을 강요할 수 없다는 핑계로 결국 수도권의 이탈을 막아서 강남의 땅값 불패를 이어가겠다는 심산이다.
생각 같아서는 대통령직 계약 기간을 조기 만료를 시키고 그에 따른 위약금으로 수천억 원을 주더라도 끝냈으면 한다. 쉴 틈을 안 주니 정말 피곤하다.
http://www.dailyseop.com/section/article_view.aspx?at_id=80703
강력한 태클은 사양하며, 전문적인 것은 이 글의 링크를 달아 놓았으니 그리로 문의바랍니다.
참고로 여러분이 몇 억대 자산이 있으면, 이런 기회에 민영화될 이런 기업들에 투자하시면 짧은 시간에 초고소득을 벌게 됩니다. 국민들은 엄청난 서비스료를 지불해야겠지요. 물가도 폭등할 것이고, 민영화의 장점인 아웃소싱으로 정규직도 상당수 일자리를 잃을 것이고.....
이명박 정권 하, 공공기관 민영화의 본질
[칼럼] 민영화 및 자산 매각 수입이 5∼7년간 60조 원에 이를 것
이명박 정권은 공공기관의 민영화를 서두르고 있다. 그들의 논리에 따르면,
정부는 현재 305개 공공기관 중 50∼60개를 민영화 또는 통폐합해 250개 안팎으로 줄이기로 했다. 또 25만 9,000여 명인 공공기관 종사자를 5년 전 수준인 20만 명 이하로 줄일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곽승준(사진) 대통령국정기획수석비서관은 이날 동아일보가 주선한 오연천 서울대 교수와의 대담에서 "이미 전체 개혁안 마련 작업의 70%는 마무리됐다"며 "이르면 이달 말, 늦어도 다음 달에는 개혁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곽 수석은 "규제 완화와 공공부문 개혁을 통해 민간 부문이 확대되면 일자리가 늘어나고 공공기관 임직원이 지배하던 자산이 국민에게 돌아갈 것"이라며 "이를 통해 잠재 성장률을 높이는 것이 MB노믹스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그는 "공공개혁으로 인한 민영화 및 자산 매각 수입이 5∼7년간 60조 원에 이를 것"이라면서 "이를 중소기업 지원, 젊은 층 일자리 마련, 교육 등에 투자함으로써 국민에게 돌려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동아일보 “공기업 민영화 수입 60조… 경제-교육 투입” 기사 바로가기
![]() |
||
▲ 한전 사옥 | ||
공기업의 태생은 민간이 투자하기 어려운 사업이나 국가 기간산업으로 분류된 사업을 국가가 국민의 혈세를 투입하여 만든 것이다. 따라서 어느 정권이 자기들 마음대로 민영화를 하는 것은 월권이 아닐 수 없다.
민영화가 필요하다면 면밀한 검토와 이에 따른 부작용 방지 대책을 세우고 최종적으로 국민적 합의가 있어야 한다. 이런 절차를 밟으려면 이해 당사자와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된 위원회 구성이 필수인데도 이명박 정권은 몇몇 교수와 밀실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하고 있다. 이 또한 국민적 저항을 불러올 일이다.
26만여 명에 달하는 공공기관 근무자 중에서 6만 명 가량을 줄인다고 하면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이다. 촛불집회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머릿수를 더 채워주고 있다. 그런데 사람이란 자기 목에 칼이 들어와야 반응한다.
공공기관을 매입하는 회사는 자금력이 있는 대기업일 수밖에 없다. 국민의 세금으로 세워서 이윤이 나기 시작한 공기업을 대기업에 넘기겠다는 것이다. 이는 누구는 손톱이 아프게 호박씨를 까고 다 깐 호박씨를 한 줌에 털어 먹어버리는 왕서방과 같은 짓이다.
이 작업을 하기 전에 당위성을 세우기 위해서 '신의 직장' 공기업 임원의 급여가 엄청나니, 비리가 있느니, 하면서 연막을 치고 감사원을 동원해서 공기업을 이 잡듯이 뒤져도 나오는 것이 하나도 없자, 그저 막연히 공공기관 임직원이 지배하던 자산이 국민에게 돌아갈 것이고 한다.
임직원이 지배하는 자산이 뭐가 있다는 것인가? 그리고 그게 국민이 아니라 대기업으로 가는 것이다. 인수 자금의 대부분은 은행 대출로 할 것이 뻔하고 국민은 공공기관을 인수한 대기업의 이윤 극대 창출을 위해서 더 높은 요금을 내야만 한다.
골프장-카지노 등 관광공사 부분 매각은 타당성이 전혀 없는 것이 아니지만 인천공항과 도로공사, 항만공사,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 등 국가 기반 사업은 신중을 기해야 한다.
주목할 것은 매각 수입이 5∼7년간 60조 원에 달한다는 것이다. 이 자금의 사용처가 중소기업 지원, 젊은 층 일자리 마련, 교육 등에 투자한다는 것인데 판에 박은 듯한 것이다. 이 돈 중에서 단 5%로만 세어 나가도 엄청난 돈이다. 이를 노리고 민영화 수작을 부릴 수도 있다.
이명박은 서민의 돈을 털어먹는데 선험적인 경험이 뼛속 깊이 뿌리 박혀 있다. 그의 경제 원칙은 대기업과 가진 자를 위해서 국민이 피땀 흘려 상을 차리게 하여 우선 가진 자들이 배를 불리고 그들이 먹다 남은 것이나, 토한 것을 서민들이 주워 먹게 만드는 것이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데 참여정부가 수립한 전국을 지식기반 사회로 만든다는 혁신도시는 물 건너가게 된다는 심각함이다. 민영화로 지방 이전을 강요할 수 없다는 핑계로 결국 수도권의 이탈을 막아서 강남의 땅값 불패를 이어가겠다는 심산이다.
생각 같아서는 대통령직 계약 기간을 조기 만료를 시키고 그에 따른 위약금으로 수천억 원을 주더라도 끝냈으면 한다. 쉴 틈을 안 주니 정말 피곤하다.
http://www.dailyseop.com/section/article_view.aspx?at_id=80703
추천
0
0
댓글 6개

어떤 분 말씀처럼 MB LEE 의 국가 뜯어먹기 대프로젝트
벌리는 일마다 배에 기름 채울것 없는지가 핵심이군요.
툭툭 건드리면서 간 보다가 제대로 5천만 국민한테 한대씩 맞는 수도..
툭툭 건드리면서 간 보다가 제대로 5천만 국민한테 한대씩 맞는 수도..
ㅋㅋ 멋찌네요!

ㅎㅎ 윗분동감

느낌이란 거 있어요.
느낌이란건 주로 여성들이 많이 발달해 있습니다.
여성이든 남성이든 이 느낌이 아주 많이 발달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아므튼 느낌이란거 절대 무시 못합니다.
처음 그 느낌대로 되어 가고 있잔아요.....
이명박 대통령은 주로 노무현 대통령을 늘 원망하든 사람들하고
기득권층이 돌돌 뭉쳐가지고 뽑은 대통령 아닙니까?
이런데 어쩌것어요 대다수 사람이 뽑아 놓은 대통령인 것을.......
이제와서 후회해본들
앞으로 후회해 본들
어쩌 것어요.
느낌이란건 주로 여성들이 많이 발달해 있습니다.
여성이든 남성이든 이 느낌이 아주 많이 발달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아므튼 느낌이란거 절대 무시 못합니다.
처음 그 느낌대로 되어 가고 있잔아요.....
이명박 대통령은 주로 노무현 대통령을 늘 원망하든 사람들하고
기득권층이 돌돌 뭉쳐가지고 뽑은 대통령 아닙니까?
이런데 어쩌것어요 대다수 사람이 뽑아 놓은 대통령인 것을.......
이제와서 후회해본들
앞으로 후회해 본들
어쩌 것어요.

저도 나름... 그 느낌이 꽤 정확하게 잘 들어맞는 타입인데...
2MB 대통령 되는 그날이 대한민국 절단 나는 날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보류로
총선만큼은 반드시 2MB 탄핵시킬 의석은 차지해야 한다고 생각했었는데...
역시....... 그 부동산 폭등, 투기가 좋긴 좋은가 봅니다.
2MB 대통령 되는 그날이 대한민국 절단 나는 날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보류로
총선만큼은 반드시 2MB 탄핵시킬 의석은 차지해야 한다고 생각했었는데...
역시....... 그 부동산 폭등, 투기가 좋긴 좋은가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