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익스플로러는.... 쓰레기;;; 정보
역시 익스플로러는.... 쓰레기;;;본문
익스플로러 8 좋아졌다길래 써봤는데 속도는 그게 그거고, 웹표준도 지키기는 커넝.......
은행 사이트 들어가도 다운되고.......
속도는 거지같고, 안정성도 거지같고, 웹표준도 거지같고..... 참 역시 MS라는 말이 나오네요.
윈도우7 때문에 MS가 철들었나 생각했더니..... 아니더군요..
엑티브X 없앤다고 하더니 그대로고, 그렇다고 엑티브X가 제대로 되는것도 아니고.......
국내 사이트는 왜이리 IE에 의존적일까.......
속도도 크롬 2.0 버전까지는 안바랍니다. 최소한 파이어폭스 3.0의 속도라도 내주지......
은행 사이트 들어가도 다운되고.......
속도는 거지같고, 안정성도 거지같고, 웹표준도 거지같고..... 참 역시 MS라는 말이 나오네요.
윈도우7 때문에 MS가 철들었나 생각했더니..... 아니더군요..
엑티브X 없앤다고 하더니 그대로고, 그렇다고 엑티브X가 제대로 되는것도 아니고.......
국내 사이트는 왜이리 IE에 의존적일까.......
속도도 크롬 2.0 버전까지는 안바랍니다. 최소한 파이어폭스 3.0의 속도라도 내주지......
추천
0
0
댓글 15개
어느 은행 사이트가 다운되는지요??
알려주시면 저도 한 번 들어가 보겠습니다.
아직 보안패치 적용이 안된 은행도 있긴합니다만,
다운은 안되던데...
알려주시면 저도 한 번 들어가 보겠습니다.
아직 보안패치 적용이 안된 은행도 있긴합니다만,
다운은 안되던데...
신한은행과 우체국이요
우체국과 신한은행 저는 잘 되는데요...
특히 우체국은 제가 주로 거래하는 은행이라서 오늘도 거래했습니다.
신한은행도 안철수 솔루션을 사용하는군요...
익스8 보안패치가 완료된 듯 합니다.
시티은행도 안철수 솔루션을 사용하는데,,,
시티은행은 3월23일부터 보안패치 적용한다고 하던데...
신한은행은 조금 일찍 적용했나 봅니다.
특히 우체국은 제가 주로 거래하는 은행이라서 오늘도 거래했습니다.
신한은행도 안철수 솔루션을 사용하는군요...
익스8 보안패치가 완료된 듯 합니다.
시티은행도 안철수 솔루션을 사용하는데,,,
시티은행은 3월23일부터 보안패치 적용한다고 하던데...
신한은행은 조금 일찍 적용했나 봅니다.

훔훔..
시스템이나 사용 환경 특성을 많이 타나보네요..?
사용자마다 다른 결과..
시스템이나 사용 환경 특성을 많이 타나보네요..?
사용자마다 다른 결과..

저도 신한은행 우체국 잘되는데용..;;
개인별로 차이가 있는듯..
개인별로 차이가 있는듯..
저도 둘다 잘 되는데요.~
그리고 8버전 꽤 괜찮은거 같은데요.
그리고 8버전 꽤 괜찮은거 같은데요.
잘만되던데 ㅎㅎ
우리나라에서는 쓰레기가 잘 먹힙니다.
정치, 경제, 사회, OS, 브라우저 등등....
정치, 경제, 사회, OS, 브라우저 등등....

마소에서 과연.. 울나라 시장이 얼마나 큰지를 알고도
울나라에서 문제가 생기는 버전을 발표했을까요 ㅋ
한번 설치해봐야겠네요 웹표준은 솔직히 거지일겁니다.
울나라 웹시장을 생각해서 한다면.. 다는 지키지 못할테니;;
울나라에서 문제가 생기는 버전을 발표했을까요 ㅋ
한번 설치해봐야겠네요 웹표준은 솔직히 거지일겁니다.
울나라 웹시장을 생각해서 한다면.. 다는 지키지 못할테니;;

;; 파폭보다 빠른거같은데 다운도없고 굉장히 만족해요 전

크롬은 좋은데...
파폭은 처음 로딩이 ㅈㅈ
파폭은 처음 로딩이 ㅈㅈ

v3로 사용되는 홈피는 오늘 패치한다고 들어습니다.

IE8의 웹 표준 준수와 은행 사이트에서의 다운은 무관하죠. 아무리 IE에 불만이 많아도 이건 연결점이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웹 표준 준수는 일차적으로 사이트 쪽에서 감당할 문제이고, 브라우저 지원은 단순히 CSS나 JavaScript의 크로스 브라우징 지원의 편의와 관련이 있죠. 어떻게 보면 사용자보다는 개발자가 더 민감한 거죠. 괜히 개발자를 살려달라고 하는 게 아닙니다. (http://resistan.com/savethedeveloper/ )
브라우저의 웹 표준 준수에 대해서 비평하려면 최소한 Acid3 테스트 결과 등을 가지고 논하는 게 옳겠죠. (http://www.wikipedia.org/wiki/Acid3 ) IE8은 최신 브라우저라기엔 말도 안 되게 낮은 점수(20점)를 기록하고 있지만 완전 분쇄된 화면을 보여주는 IE7보다는 훨씬 나은 점수를 보여주지죠. 여러 말이 많긴 하지만 Acid2 테스트는 통과합니다. (고충에 대해서는 http://barosl.com/blog/entry/internet-explorer-8-has-3-rendering-modes 참조)
기본적으로 웹 표준은 웹 접근성을 바탕으로 논의되는 사항이고, CSS와 JavaScript를 전혀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를 이용해서도 정보 접근이 가능한 것을 이야기합니다. 스크린 리더와 모바일 환경 이야기가 계속 나오는 까닭이 여기에 있죠.
ActiveX는 처음부터 없앤다고 한 적이 없습니다. 잘못 유포된 소문이 있었는데 그대로 받아들이신 것 같습니다. (http://xeraph.egloos.com/4503541 ) 설령 몇몇 사람들의 오해대로 ActiveX 지원은 끊었다고 해도 은행을 들어가지 다운됐다는 반응처럼, 은행을 쓸 수 없다는 반응만 나올 뿐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웹 표준을 지지하는 개발자로서 FF의 선전만큼이나 IE8의 확산을 기대하고 있고, 기존의 사이트도 재빨리 여기에 반응해 좀 더 나은 웹 환경이 자리 잡았으면 좋겠습니다. (사이트를 통으로 수정하기 어려운 경우엔 http://naradesign.net/wp/2009/03/12/670/ 같은 자료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웹 표준 준수는 일차적으로 사이트 쪽에서 감당할 문제이고, 브라우저 지원은 단순히 CSS나 JavaScript의 크로스 브라우징 지원의 편의와 관련이 있죠. 어떻게 보면 사용자보다는 개발자가 더 민감한 거죠. 괜히 개발자를 살려달라고 하는 게 아닙니다. (http://resistan.com/savethedeveloper/ )
브라우저의 웹 표준 준수에 대해서 비평하려면 최소한 Acid3 테스트 결과 등을 가지고 논하는 게 옳겠죠. (http://www.wikipedia.org/wiki/Acid3 ) IE8은 최신 브라우저라기엔 말도 안 되게 낮은 점수(20점)를 기록하고 있지만 완전 분쇄된 화면을 보여주는 IE7보다는 훨씬 나은 점수를 보여주지죠. 여러 말이 많긴 하지만 Acid2 테스트는 통과합니다. (고충에 대해서는 http://barosl.com/blog/entry/internet-explorer-8-has-3-rendering-modes 참조)
기본적으로 웹 표준은 웹 접근성을 바탕으로 논의되는 사항이고, CSS와 JavaScript를 전혀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를 이용해서도 정보 접근이 가능한 것을 이야기합니다. 스크린 리더와 모바일 환경 이야기가 계속 나오는 까닭이 여기에 있죠.
ActiveX는 처음부터 없앤다고 한 적이 없습니다. 잘못 유포된 소문이 있었는데 그대로 받아들이신 것 같습니다. (http://xeraph.egloos.com/4503541 ) 설령 몇몇 사람들의 오해대로 ActiveX 지원은 끊었다고 해도 은행을 들어가지 다운됐다는 반응처럼, 은행을 쓸 수 없다는 반응만 나올 뿐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웹 표준을 지지하는 개발자로서 FF의 선전만큼이나 IE8의 확산을 기대하고 있고, 기존의 사이트도 재빨리 여기에 반응해 좀 더 나은 웹 환경이 자리 잡았으면 좋겠습니다. (사이트를 통으로 수정하기 어려운 경우엔 http://naradesign.net/wp/2009/03/12/670/ 같은 자료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여담이지만 저에게 있어서 최악의 브라우저는 SKT 모바일 브라우저입니다. EUC-KR 밖에 지원을 안 해서 UTF-8로 작성된 페이지가 무용지물입니다. 아무리 마크업이 의미있고 아름답게 구조화되면 뭐합니까, 읽을 수가 없는데 ㅠㅠ

음....막 갈아 탈려고 시동걸고 있었는데 전 아직도 6이거든요? ㅎㅎㅎㅎ 이거 너무 버전업하는 건 아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