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어 사이트 개발경험 있으신 분 노하우좀 부탁드립니다.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다국어 사이트 개발경험 있으신 분 노하우좀 부탁드립니다. 정보

다국어 사이트 개발경험 있으신 분 노하우좀 부탁드립니다.

본문

한국,독일,스페인,아랍,중국,... 등등 8개국입니다.

회원분들중에서 다국어 사이트 제작해보신 분 경험담좀 부탁드립니다.


웹프로그램은 "영문" 을 디폴트로 한다고 가정해주세요


사실 가장 궁금한건 뭐니뭐니해도 견적이겠죠 ^^;
추천
0

댓글 14개

언어가 다르니 따지고 보면 기본가격의 8배를 받으셔야 할거 같습니다.
그런데 다른언어가 제대로 되었는지 테스트하고 인력도 구해야 하닌 단가가 더올라가야되지
않을까요?

뭐 한꺼번에 8개 만드니만큼 약간의 네고는 감안하셔야 할거 같고요.

특정 게시판라이브러리가 다국어를 지원하는정도도 게시판의 타이틀정도이겠죠.
각 페이지는 각각의 언어로 제작하여야 하니까  페이지 잘 헤아려서 정하심이 좋을거 같습니다.
참 url도 8개 쯤 있어야 하겠죠?
8배는 좀 그렇고요
음... 영문 한 개입니다. 전화 상담할때는 8개 언어 말하더니...
미팅 갔다 왔는데 영문 하나라네요 ㅡㅡ;;
유저가 한국인이냐 외국인이냐가 큰 관건이 될 듯 합니다.
대개 번역판(단순 번역)의 경우 적게는 60%에서 맥시멈 100%입니다만(번역비 제외)..
그렇죠?
근데 이 경우는 이야기를 약간 달리해야겠지요.
개조비(영문판 작업/풀 작업이냐 한국인 가정해서 보여지는 페이지만 작업이냐)에 큰 덩어리로 하나..
그 외의 제작 언어판에 따라서 가격이 붙어야겠죠..
어디까지나 영어로 고정해놓는다는 전제하에..
아랍어 이런거 잘 모르겠네요 덜덜.. 어떤 기이한 현상이 나와버릴지가..
태국어를 해봤지만 각 언어별 스타일 먹는거 약간의 특성도 잡히더라구요.

영어 완전 개조라 가정하고...
개조비 + 한 개 언어판 작업분 * 8(이미지 각 언어판별 All) + (번역이 들어가면 각각 번역비) + 알파
개조비 + 한 개 언어판 작업분 * 8 * 0.8 + (번역이 들어가면 각각 번역비) + 알파
(후자는 각 언어판의 이미지들이 가령 영어로 통일해서 모두 공통으로 쓰일 경우 등등)
여기서 작업 완결 후 어시스트나 서포트 제외...
붙을 시 기본 유지보수 계약으로 자동 연장하는 형태가 되어야할 듯 합니다.
싸이트가 아주 활발한 곳이라면 필히 유지보수 들어갈껍니다.
글로벌 싸이트 2여년 하고 있는데 아주 손 많~~~~이 갑니다.
오류 떠서가 아니라 이런 저런 손질이 많이 들어가죠.. 다들 아시다시피...
상대방이 포샵도 할 줄 알고 기초 웹 제작 지식이 있는 경우라도 어시스트는 꼭 들어가야하니....
유저가 외국인이라네요
번역은 관광공사에서 다 준답니다. ^^

전 그냥 받은 자료로 작업만 해주면 되겠더라고요 ㅎㅎ

태어나서 첨으로 외국어 사이트 해보네요 ~_~
아랍어가 아주 문제인데요.
사실 제가 아랍어를 읽을줄 몰라서 제대로 사이트에 들어가 있는지 몰랐는데
일단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기가 아니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기가 되는데
이건 어떻게 해결을 해야 하는건지 모르겠네요. ㅎㅎ
얼마전 그누+스페인어로 개발했는데 별다른 특이사항 없었습니다. ^^

단, 컨텐츠는 한글로 받아서 번역회사에 줘서 스페인어로 번역했는데

에러메시지나 경고 메시지 등 등 그누 파일 오픈해서 번역하느라 dog 고생했습니다. ^^

구글 번역기가 많이 도움 되었습니다. ^^

에디터 폰트설정에 따라 보이지 않는 글자도 많더라구요. ^^

스페인어 잘 보이는 폰트로 바꾸면 눈에 잘 안익어서 좀 그렇더군요 ^^

100% 외국인이 보는 페이지라 관리자 페이지까지... -___-
저도 아랍어는 대책이 안 설거 같군요....
아랍 쪽 사이트를 둘러보다가 스크롤바가 왼쪽에 있는 걸 보구 놀라면서도, 마우스는 오른쪽에서 놀고 있더라구요..^^

표준어, 제주 방언 차이가 심하듯이 중국도 보통화(북경어)와 광동어가 아예 다르고....
첨 외국어 사이트를 하시게 되면 번역 내용을 준다 해도 제 자리에 넣어두는 것도 헷갈립니다..
한자권인 일어, 중어는 그나마 할만한데,

태국어는 첨엔 접하기가 무지 힘들더군요.. 아예 낯설어서....

알파벳 문자권들은 크게 차이가 없을겁니다..


일단 작업 피시도 영문판 OS 를 설치하고 작업할 국가의 언어팩을 다 설치하신 후에...
입력 로케일을 바꿔가면서 작업하시는 쪽이 다소 정확하게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국가의 폰트들도 많이 확보를 하셔야 할거구요...

또, 프로그램으로 텍스트를 처리하는것보다 디자인쪽에서 처리를 해주시면 작업이 좀 더 편해지실수도 있습니다.. 컨텐츠에 따라서... 아마 관광관련 컨텐츠 같은데... 사진이랑 적절히 묻어서 포샵에서 커버를 하시는게...^^
관리자단에서는 그 이미지로 업로드를 시켜버리면 작업이 무지 편해질 수도 있습니다.^^
유지 관리를 어떻게 계약하는가도 관건이긴 하겟군요...
아.. 번역할때 아무래도 컴퓨터 용어라 주의를 하셔야 할겁니다.....
저도 영문 사이트 작업 첨으로 할때 알았던 건데...

우리에게는 미리보기 이미지의 경우 '썸네일 (thumbnail Image)' 이라는 표현이 적절하지만.......
피시를 모르는 유저들 입장에서는 "네일 아트" 같이 손톱위에다 그린 그림으로 오해를 한다구 하더군요.. 번역자 왈...(이 친구도 전문 번역인은 아니고, 전공이 무역쪽이라)

관공서쪽이라 영문도 공적인 표현을 많이 써야 할 거 같군요...
속어등의 표현이 전혀 안 들어가게끔.... ^^

암튼 잘 치뤄내시리라 믿습니다..^^
전체 199,661 |RSS
자유게시판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