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표준웹표준하는데.. 정보
웹표준웹표준하는데..본문
그게 그렇게 좋은건가요??
제로xe가 웹표준이라구 장점이라구해서요..
제로xe가 웹표준이라구 장점이라구해서요..
추천
0
0
댓글 8개

제로보드가 XE 웹 표준에 근접하게 제작되어져있기는 한데
모듈과, 위젯에 대한 지식은 어느정도 아시고 사용을 하셔야합니다.
웹표준의 장단점은 없습니다. 다만 웹 접근성과 웹 표준에 대한 개념을 확실히 알아야하는데
웹표준은 의미있는 마크업, 웹 접근성은 장애인이나, 남녀노소 불문하고 사용에 지장없도록 만들어
내는것이 웹 접근성의 기본입니다.
의미있는 마크업은 내용에 맞게 제목은 H 태그를 사용한다던지, 리스트형 구조에서는 OL 이나 UL
등의 리스트 형태의 태그를 사용하고, 이미지 태그에는 alt="" 속성을 붙혀 그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내용이나, 의미를 부여하게됩니다. 이것이 웹 표준에 대한 의미있는 마크업에 속합니다.
다른 내용이 필요하시다면 제 홈페이지 방문해주세요 ^^
모듈과, 위젯에 대한 지식은 어느정도 아시고 사용을 하셔야합니다.
웹표준의 장단점은 없습니다. 다만 웹 접근성과 웹 표준에 대한 개념을 확실히 알아야하는데
웹표준은 의미있는 마크업, 웹 접근성은 장애인이나, 남녀노소 불문하고 사용에 지장없도록 만들어
내는것이 웹 접근성의 기본입니다.
의미있는 마크업은 내용에 맞게 제목은 H 태그를 사용한다던지, 리스트형 구조에서는 OL 이나 UL
등의 리스트 형태의 태그를 사용하고, 이미지 태그에는 alt="" 속성을 붙혀 그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내용이나, 의미를 부여하게됩니다. 이것이 웹 표준에 대한 의미있는 마크업에 속합니다.
다른 내용이 필요하시다면 제 홈페이지 방문해주세요 ^^
의미있는 마크업~ 와우 와닿는 말입니다
XE는 웹접근성을 떠나서 너무 무거워서 .. ^^:;

그냥 코딩 >> 크로스브라우징 >> 웹표준
인것 같습니다.
다른 브라우져에서 동일한 출력이 나타나면 그게 웹표준이라고 생각합니다.
validator 지키기 너무 어려워요.
인것 같습니다.
다른 브라우져에서 동일한 출력이 나타나면 그게 웹표준이라고 생각합니다.
validator 지키기 너무 어려워요.

다른 브라우저에서 동일하게 나오는것은 그냥 크로스 브라우징입니다.
위에 설명했듯이 웹표준은 기본적인 마크업을 의미에 맞도록 작성하는 것입니다 ㅠㅠ
위에 설명했듯이 웹표준은 기본적인 마크업을 의미에 맞도록 작성하는 것입니다 ㅠㅠ

XE는 그렇게 웹표준이 아닙니다;
개발 할때도 크로스브라우징과 웹표준이 겹치게 되면 크로스브라우징을 택한다고 하더군요.
개발 할때도 크로스브라우징과 웹표준이 겹치게 되면 크로스브라우징을 택한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노력은 하고 있습니다.
<b></b> 대신에 <strong></strong>
<table>은 float속성을 이용한 <div>
<b></b> 대신에 <strong></strong>
<table>은 float속성을 이용한 <div>

제생각에도.. XE는 너무 무겁습니다. 커스터마이징도 힘들구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