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포맷중 avi 포맷 있쟎아요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동영상 포맷중 avi 포맷 있쟎아요 정보

동영상 포맷중 avi 포맷 있쟎아요

본문

이 포맷 아직도 많이 쓰이나요? 아니면 이제 사장되어가는 포맷인가요?
이 포맷이 mpeg4 나 퀵타임의 포맷에 비해, 장점이 있다면 뭐가 있나요?

궁금한 이유는,
제 정품 디비디 안에, 겨우 영화 한편(DVD vob포맷)이 4.7 기가 디스크안에 꽉들어가있는데,
아는 사람한테 받은 불법 카피본 한장의 디비디 디스크안에는,
5개씩이나 되는 영화 커피 (모두 avi 포맷)가 들어있는거에요.  
한 영화에 겨우 700 mb 메모리가 차지하구요.  화면질도 그다지 나쁜것 같지 않고...
avi포맷만 압축이 가능한건가요? 
추천
0
  • 복사

댓글 19개

avi가 가장 많이 쓰입니다.

avi포맺에 지원되는 코덱들이 많고 좋아서 화면 질이 700메가 임에도 좋은겁니다.

점점 고화질은 mkv로 가고있지만, avi가 현재 가장 범용적이고 압축률 대비 화질이 좋습니다.
동영상이라는것 자체가 압축되어있는겁니다...
dvd는 거의 압축을 하지 않은거구요

동영상 한편 압축 안하면 TB하드도 수십개 있어야 할껍니다.
옛날에 프리미어로 동영상 3분짜리 무압축했더니 아마 1G정도 나왔던걸로 알고있음 ㅡ_ㅡ;

flac 라는 무압축 오디오도 있고... 뭐...
tp파일도 거의 압축 안한걸로 알고있고...

avi가 사장될라면 아마 살아있는동안은 안되지 않을까 합니다
내가 이게 궁금한 이유는,
향후 20년을 내다볼때,
내가 비디오캠으로 촬영하는 동영상들을
어떤식으로, 또는 어떤 포맷으로 보관하는게
가장 안전할까하는 생각때문입니다.

코덱들이나 플레이어들이 20년후에도 여전히 지원이 될까,
아니면 DVD로 압축안하고 가지고 있는것이 나을까..
아니면, 원본 (DV 테입)을 꼭 가지고 있어야 하는것일까...등등
물론 백업은 어떤식으로 든 해놓을 생각이긴 하지만,
여전히 기술들이 너무 빨리 변하기 때문에 20년후에는
현재의 디비디 플레이어도 없어질것같고....고민이 되네요
그리고 내 퀵타임으로는 코덱지원이 안되서
이 avi 영화들을 보려면 코덱들을 다운로드 해야 하더군요.
좀 불편해요. 게다가 avi마다 코덱들이 달라서 어떤 avi는 아예 플레이가 안될가능성도 있다고 하네요.
이런걸 생각해볼때, avi가 과연 좋은 방식일까 하는 의심이 듭니다.(그릇과 포맷?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스탠다드는 아니겠죠? 스탠다드 포맷이 있다면 어떤 것일까요?
별로 예절 바른 태도로 보이지 않는군.

저는 보통 상황에 따라 저는과 나는을 혼용합니다. 상대방을 예절에 벗어나게 불쾌하게 만드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런데 위선적인 사람들이나 좀 쫑생이처럼 구는 사람들은 그냥 무시하기도 하지만 한마디 해주고 지나갈때도 있지요.
스탠다드 포맷이라는게 정확히 무슨 뜻인지는 모르겠지만 avi 가 스텐다드라면 스텐다드죠. 가장 다양한 코덱을 지원하는 파일 포맷이니까요. 근데 코덱이 상용이 아닌 이상 사용율이 줄어들기는 하지만 사라지지는 않을껍니다. 즉 어떤 포맷으로 보관하셔도 관계가 없다는 뜻이죠.
보관을 위해서라면 어떤 미디어 파일이던지 원본으로 보관하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스탠다드라함은 업체들이 서로 동의하에 표준화한 그런 포맷이 있는가 하는겁니다 (그러고 보니 없는것 같군요). 그래서 예를들면, 모든 디비디 플레이어 업체들이 이 포맷만큼은 확실하게 플레이시켜준다  하는 뭐 그런. 근데 코덱이 표준화된다는건 말이 안되는것 같고. 

잘은 모르겠지만, 코덱이 압축하는데 근본적으로 필요한것 같은데 (인코딩/디코딩), 왜 그렇게 많은 코덱들이 있어서 사용자를 복잡하게 만드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avi 와 mkv 만 코덱을 쓰는게 아니라 다른 포맷(mp4, mov ....)들도 다 코덱을 쓰는 건가요?
mp4는 코덱을 사용하지만 MOV는 잘 모르겠습니다. mov 포맷에 mov확장자를 가진 코덱이 아닐까요? 배운대로 그냥 적어 보았습니다. 아참 나의 의견은 avi는 앞으로100년은 사라지질 않을것 같아요 코덱이 변하겠죠 나름 메이져 회사끼리 정리를 하고는 있지만  그래도 갈길이 먼듯합니다.
저는 궁금하신 사항에 대해서 지식이 거의 없습니다만..
향후 20년까지 보실 필요가 있을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제 생각은 보편적으로 많이 쓰는 형식으로 가지고 있으면
후에 다른 형식이 나온다면, 변환 프로그램도 같이 나올거 같습니다^^
아 이건 딴 얘긴데,
어제 어떤 노숙자 시인에게 푼돈을 좀 쥐어 주었더니,
이 사람이 제게 준 프라피시(예언)가 있었는데요.
성경의 마태복음 23장에도 나오는,
"무화과 나무에 싹이트면 여름이 올것을 너희도 알지니,
이 세대가 다 지나가기 전에 내가 오리라" 하는 예수님이야기에 관한 이야기였습니다.

뭐 나이드신 크리스천들은 다 알고 있는 얘기라는데,
여기서 연한 싹이튼 무화과나무는 다시 세워진 이스라엘을 의미하구요.
이 세대가 다 지나가기전에 라는 말의 의미가 중요한데,
1949년에 태어난 아이를 기준으로 그 아이의 평균수명이 70 이라하면
2020년을 전후해서 무슨 큰 일이 생긴다는 그런 해석입니다.

우리가 마지막 세대란 이야기죠.
믿거나 말거나.
(저는 2012년 이야기는 별로 안믿어요.
근데 요즘 세상돌아가는것을 보면 심상치는 않다는 느낌입니다.)

어쨌거나 가족의 동영상 비디오나 사진첩들은 일생동안 중요한것들이
많습니다. 당연히 20년이나 그 이상까지 볼 필요가 있지요.
VHS 비디오플레이어도 하나 그냥 가능하면 20년까지 갖고 있어 보려고요.
디비디 수명도 별로 믿을수 없고...
아! 제가 말을 애매하게 했네요 ^^
가족의 동영상이나 비디오나 등등은 20년이 아닌 죽기전에 볼수 있음 좋죠~
향후 20년까지 보실필요가 있나 하는 말은...
새 코덱이 나오든 새로운 방식의 플래이어가 나오든.
다시시작님과 같은 분들이 많기 때문에,
변환 프로그램도 나올거 같으니 20년 후에 같은 형식으로 보실 생각보단
보편적인 파일을 가지고 있다가 변환해서 보시면 될거 같단 뜻이었습니다 ^^
저도 소중한 자료들이 많이있어서 다시시작님이 질문하신글 많이 공감이 가네요 ^^
* 코덱과 컨테이너(그릇)의 차이
h.264 라든지 mpeg2, jpeg2000 코덱을 사용했다
그릇은 확장자를 의미한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avi .mpg .mpeg .mkv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