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 브라우징... 힘드네여~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크로스 브라우징... 힘드네여~ 정보

크로스 브라우징... 힘드네여~

본문

익스플로러 5
익스플로러 6
익스플로러 7
익스플로러 8
파이어폭스
사파리
크롬

이 모든것들을 고려해서 코딩하는 방법이 있을가요?

저는 윈도우 XP를 사용하기 때문에 익스7을 사용합니다.
익스8을 깔았었는데, 금융권 사이트 이용이 불가해서 지워버렸지요.
그런데 윈도우7에서는 익스8이 문제없이 잘 돌아간다고 하더군요.

뭐 어쨋거나 요즘 큰 고민이 하나가 생겼습니다.
저희는 코딩을 할때 익스7과 파폭을 기준으로 합니다.

그런데 익스6, 익스8 에서 볼땐 다르게 보입니다.
dtd 선언에 따라서 padding 값이 먹히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고,
또 사파리에서는 글자의 자간과 행간이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더군요.

지금까진 그냥 다 무시해버리고 살아왔는데...
이놈의 웹표준이라는게 각각의 브라우져별로 지들끼리 협의할 일이지,
개발자가 모든 브라우져 환경에 다 맞춰서 개발하는것은 불가능한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아 그리고, 요즘 하도 아이폰이 난리길래 다른분의 아이폰을 빌려서
벅스나인을 접속해봤더니... 허걱 플래시가 출력이 안되더만여. -_-;

주워들은 소문에 의하면 애플에서 경쟁사인 어도비를 경계해서 지원을 안한다고...
어도비에서 해달라고 그렇게 해도 애플에서 거부하고 있다네여.
헌데 제 상각에는 아무리 아이폰이 뛰어나도 그 쪼매난 CPU로는
화려한 플래시파일의 재생이 불가할것 같기도 하구요.


할려던 말은... 각각의 브라우져마다 디자인측면에서 코딩이 너무 어렵다는 것 입니다.
텍스트 디자인을 할때 행간 자간 패딩 등의 1px 값은 매우 중요한데,
브라우져마다 다 틀려서, 이를 어떻게 바로 잡아야할지 모르겠네여.

국내에는 익스 사용자가 90% 이상이고, 파폭이 한 2~3% 되는듯 한데여.
사파리는 거의 사용자가 없으나, 아이폰의 기본 브라우져이니 조금씩 자리를 잡아갈것 같구요.

기존의 사용자를 고려한 코딩이 이루어져야할지...
미래를 대비한 코딩이 이루어져야할지...

참 막막하다는... ㅠㅠ

이건 브라우져 개발자들 문제 아닌감여?

추천
0
  • 복사

댓글 13개

근데 익스 5를 쓰는 사람도 있나요 ??

제가 코딩하면서 느낀건데 .. 코딩한데 익스 7로 코딩을 하시면 안되고 크로스 브라우징 하실려면
익스 6  - 오페라 - 파이어폭스
를 기준으로 하셔야 할겁니다.

즉 저렇게만 맞추어도 익스 7/8은 그냥 맞야 들어 가더군요 .. 익스 7에 맞추면 익스 6에 깨지는곳이
상당하고 .. ^^;
ie5도 있기는 하지만 비율이 낮아요.
대세는 ie6이죠 (xp에 들어 있으니까요)
ie7은 은근히 불편하고 ie8은 빠르지만, 가끔 문제가 있어요.

무조건 ie6에 맞추면 문제 없어요. ㅎㅎ
보너스 하나 더 사용자의 화면크기도 영향을 받습니다. div 를 쓸 경우는 말이지요.
요즘 보니 대개 1280 혹은 1024 크기에 맞추어 사이트를 제작하는데 이게 1500 이 넘어가는 모니터로 보면 웃긴 상황이 연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div 에 스크립트를 쓰거나 배경이미지를 까는 경우가 대표적이지요.
아직까지는 table을 적당히 혼용해야 어느 정도 커버가 되는 것 같습니다.
핵을 사용하기도 하고 각 브라우저별로 css 를 따로 제작하여 접속자에 따라 조정하는 소스를 보긴 했는데 이게 왕노가다입니다. 페이지 하나야 큰 문제가 아니지만 적게는 수 십 개에서 많게는 수 백 개에 이르는 페이지를 모두 커버하려면...
포털 같이 각 분야별 전문가들이 자기 일만 하는 경우야 커버가 가능하겠지만 소규모 제작자들은 엄두조차 내기 어려운 일이지요.
웹표준에 맞추면 익스에서는 깨지는 것이 다반사이고 익스에 맞추면 파폭이나 크롬에서 볼썽사나운 자태를 뽐내니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 할 지 난감할 때가 많습니다.(디자인이 많이 들어가는 사이트 제작시 겪는 고충입니다.)

결론?
사용자들이 표준에 가까운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하고 브라우저 개발사들 역시 표준에 맞추어 지원해주어야 가능한 이야기 같습니다. 그 이전에는 왕노가다 아니면 그저 큰 무리없이 보이고 결제 사이트라면 결제 잘 되고 보안에 큰 지장 없으면 그냥저냥 버텨야 하는 상황이지요.
저랑 비슷한 생각이시군요...

크로스라 특별히 신경쓰는건 없는데 dtd 선언해주니, px 단위까지신경써야 하더군요.

근데 레이아웃부분에서는 div 잘못 다루면 크로스잘 안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우찌됐든....브라우져들 때문에, 우리들이 죽어나는건 맞죠. 무슨 개도 아니고,,

솔직히 웹표준이란게... 10년전에도 있었죠. 근데 그때 웹표준과 지금과 같을까요? 궁금합니다.

바뀌면 따라서 바꿔줘야되고...전... 선언?? 개선언으로 이해합니다.
제가 보기엔 디자인의 개념부터가 문제 아닌가 싶네요. 구태여 1px단위까지 맞추지 않아도 되는 그런 디자인으로 애초에 디자인을 한다면 크게 문제가 안 될듯도 싶은데요. 

기존의 페이지디자인 습관도 크로스 브라우징에 걸림돌이 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익스7까지는 MS에서 나온 비표준 브라우져라고 알고있습니다.
기본을 익스8과 파이어폭스로 잡고 제작하셔야 크로스브라우징하는데 도움되실꺼예요
몇일전에 할거없어서 만들어놓은 프레임워크인데
오페라,IE5.5이하 제외하고는 글자줄간격까지 모두 다 마쳐놓은건데 참고해보세요.

제팁인데.
width값에 padding-left,right 값을 되도록 주면 안되고
height값엔 padding-top,bottom값을 주면 안됩니다.
이 경우 내부 엘리먼트를 하나더 만들어서 margin 값을 넣주는게 크로스브라우징이더 수월합니다.

@charset "UTF-8";
/* Author 김현석 */

/*********Common***********/
ul{margin:0;padding:0;}
html{font-size:0.8em;font-family:"굴림",Arial;color:#333333;}
ul,ol{list-style:none;}
table,td,ul,ol,dl,dt,dd,p,form,h1,h2,h3,h4,h5,h6{margin:0;padding:0;}
table{border-collapse:collapse}
fieldset{border:none 0;}/*XHTML에선 사용안함*/
/*줄간격 통일 IE6이상, Opera제외*/
body{margin:0;padding:0;line-height:1.3em;*line-height:1.25em;}
body, x:-moz-any-link, x:default {line-height:1.25em;} /* Firefox 3 Fix */

h1{font-size:1.7em;}
h2{font-size:1.4em;}
h3{font-size:1.2em;}
h4{font-size:0.95em;}
h5{font-size:0.9em;}
h6{font-size:0.85em;}
div{height:1%;/*has layout*/}
em{font-size:0.85em;font-family:"굴림";font-style:normal;}
cite{display:block;margin-top:10px;font-size:0.85em;font-family:"굴림";font-style:normal;}
img{border:none 0;}
label {cursor:pointer;cursor:hand;/*IE5~5.5*/}
hr{display:none;position:absolute;}
/* Special selector*/
.hidden{display:none;}
.clear{clear:both;}
.fclear:after{content:"";clear:both;display:block;*height:0;}
.fr{float:right;}
.fl{float:left;}
.cRED{}
.cBLUE{}
.alt{text-indent:-2000px;}/*IR*/
.tLeft{text-align:left;}
.tRight{text-align:right;}
.bold{font-weight:bold;}
.png24{_behavior:url(../js/iepngfix.htc);}/*IE PNG FIX*/
/* Skip to content */
a#skip_to_content{display:block;position:absolute:top:0;left:0;width:0;height:0;line-height:0;overflow:hidden;}
a#skip_to_content:focus{display:block;position:absolute;top:10px;left:10px;overflow:visible;width:auto;height:auto;line-height:120%;padding:8px;border:solid 2px #666666;background:#ffffff;z-index:9999;font:0.9em 굴림,Gulim;}
a:line{text-decoration:none;}
a:hover{text-decoration:underline;}
a:active{text-decoration:underline;}
a:focus{text-decoration:underline;}
a:visited{text-decoration:none;}


/*********Layout***********/
body{text-align:center;}
#wrap{position:relative;text-align:left;}
#header{position:relative;*zoom:1}
.gnb{font-size:0.9em;border:solid 1px #ddd;margin:4px 0;padding:0 4px;}
.gnb li{display:inline-block;*display:inline;*zoom:1;padding:8px 0;margin-right:10px;}/* Cross-Browser Inline-Block */
#container{position:relative;background:#f5f5f5;*zoom:1;}
#container:after{content:"";clear:both;display:block;*height:0;}/* 가상선택자로 Clear */
.content {float:right;background:url(../bg_1.png) repeat-x;}
.lnb {float:left; background:#00f;}
#footer{position:relative;background:green;margin:4px 0;*zoom:1;}
#footer:after{content:"";clear:both;display:block;*height:0;}
/* Layout width */
.fixed #wrap{width:940px;margin-left:auto;margin-right:auto;}
.fixed #wrap .content {width:680px;}
.fixed #wrap .lnb {width:256px;}
/* Layout Align */
.aLeft #wrap{margin-left:0;}
.aRight #wrap{margin-right:0;}
/*********Layout Element Reset********/
/*레이아웃 다시쓰기는 요기*/
html{}
body{}


/****** Layout Elements*******/


/*********SubTitle**********/
/* <h3><span class="alt">TEXT SUBTITLE</span></h3> */
h3.subtitle01{background:url() no-repeat;width:;height:;}/**/
h3.subtitle02{background:url() no-repeat;width:;height:;}/**/
h3.subtitle03{background:url() no-repeat;width:;height:;}/**/
h3.subtitle04{background:url() no-repeat;width:;height:;}/**/
h3.subtitle05{background:url() no-repeat;width:;height:;}/**/
h3.subtitle06{background:url() no-repeat;width:;height:;}/**/
h3.subtitle07{background:url() no-repeat;width:;height:;}/**/
h3.subtitle08{background:url() no-repeat;width:;height:;}/**/
h3.subtitle09{background:url() no-repeat;width:;height:;}/**/
h3.subtitle10{background:url() no-repeat;width:;height:;}/**/
h3.subtitle11{background:url() no-repeat;width:;height:;}/**/
h3.subtitle12{background:url() no-repeat;width:;height:;}/**/

/**********IR Button********/
/* 대체 텍스트가 있는 이미지 */
span.img_button{position:relative;display:inline-block;}
span.img_button em{font:12px 굴림,Gulim;position:absolute;display:block;z-index:-1;top:0px;left:0;font-style:normal;margin-top:3px;*margin-top:2px;}
span.img_button em.h1{font:bold 24px 굴림,Gumil;}
span.img_button em.h2{font:bold 22px 굴림,Gulim;}
span.img_button em.h3{font:20px 굴림,Gulim;}
span.img_button em.h4{font:18px 굴림,Gulim;}
span.img_button em.h5{font:12px 굴림,Gulim}
span.img_button em.h6{font:11px 돋움,Dotum;}
span.img_button a{display:inline-block;overflow:hidden;background-repeat:no-repeat;}
/* 아래 사용자 버튼의 이미지와 크기를 지정해서 추가하세요 */
span.img_button a.img1{background:url(naver.jpg);width:141px;height:27px;}

/******** Table ***********/
table.tbl01{}
table.tbl01 thead{}
table.tbl01 tbody{}
table.tbl01 tfoot{}
table.tbl01 th{}
table.tbl01 td{}

/******* List ********/
컥.. 전 xp에 익스8 쓰는데..

금융권 문제 없던데요.. ^^

저도 크로스브라우징때문에.. 몇시간씩 끙끙댈때가 있었네요..ㅠ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