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접근성에는, 텍스트가 아닌 컨텐츠의 경우 텍스트로 90%이상 대체해야된데요! 정보
웹접근성에는, 텍스트가 아닌 컨텐츠의 경우 텍스트로 90%이상 대체해야된데요!본문
인식의 용이성
- 텍스트 아닌 콘텐츠의 인식
-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에는 모두 대체 텍스트가 제공되어야 한다. [준수기준 : 90%]
- 대체 텍스트의 내용은 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준수기준 : 90%]
- 정보가 있는 콘텐츠를 배경 이미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준수기준 : 90%]
- 멀티미디어 매체의 인식
- 동영상 등의 시청각 멀티미디어 콘텐츠에는 동기화된 자막이 제공되어야 한다. [준수기준 : 90%]
- 콘텐츠의 시각적 명료성
- 색상으로 표현된 정보는 색상을 배제하여도 원하는 내용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준수기준 :90%]
- 전경색과 배경색은 충분한 대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준수기준 : 70%]
- 텍스트는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제공되어야 한다. [준수기준 :70%]
내용을 살펴보면,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에는 모든 텍스트를 지원한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그렇단 말은 디자인때문에 어쩔수 없이, 하던 내용을 텍스트로 대부분 지원 가능 하도록 해주어야 한단 이야기인데, 좀 ... 이 부분에서는 소형사이트에서는 참으로 하기 힘들거라고 생각됩니다. 사실 텍스트라고 하면, 모바일방식의 지원가능하도록 하는 대체 페이지를 제작 해라 이 말인데.
이중 삼중으로 일이 더욱 불어날것만 같아요.!
더욱이 문제는, 특별한 이유없이 장애인들이 접근하기 곤란하게 만들경우 법적으로 벌금을 내야하는 제도가 생긴다는 것인데.
이 장애인들이 접근하기 힘들다는 기준이 참으로.. 애매하다는 겁니다. 이 법으로 인해, 웹세상속에도 이제 법적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후어 작업량이 이렇게 많으니.! 무섭네요
웹접근성!
추천
0
0
댓글 6개
자장면과 짬뽕의 가격과 열량 비교 구분 가격(won) 열량(kcal)
자장면 3,000 300
짬뽕 3,500 350
화면낭독기와 같은 보조공학기기는 현재의 표를 다음과 같이 읽어주어야 합니다.
표 제목 : 자장면과 짬뽕의 가격과 열량 비교
표 요약 : 짬뽕은 자장면보다 500원 비싸고 열량이 50kcal 높다
표 머리글 : 구분, 가격(won), 열량(kcal)
표 본문 : 자장면-가격-3,000-자장면-열량-300-짬뽕-가격-3,500-짬뽕-열량-350 (표의 제목셀을 먼저 읽어주며 제목셀에 abbr 값이 있는경우 abbr 값을 읽어줌)
그리고..
이 내용을 읽으면,, 이거 완전 ..!! ;;; 죽일려고 달려드는것 같아요! 이것은 웹 표준에서 지나는게 아니라 웹 접근성이; 어떤 의미인지를 가르쳐 주고 있어요
앞으로, 장애인이 불이익당하지 않고 장애인이나 일반인이나 모두 사용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란 이야기인데..
;; 이걸 어떻게 다 하냐는 말이죠!
자장면 3,000 300
짬뽕 3,500 350
화면낭독기와 같은 보조공학기기는 현재의 표를 다음과 같이 읽어주어야 합니다.
표 제목 : 자장면과 짬뽕의 가격과 열량 비교
표 요약 : 짬뽕은 자장면보다 500원 비싸고 열량이 50kcal 높다
표 머리글 : 구분, 가격(won), 열량(kcal)
표 본문 : 자장면-가격-3,000-자장면-열량-300-짬뽕-가격-3,500-짬뽕-열량-350 (표의 제목셀을 먼저 읽어주며 제목셀에 abbr 값이 있는경우 abbr 값을 읽어줌)
그리고..
이 내용을 읽으면,, 이거 완전 ..!! ;;; 죽일려고 달려드는것 같아요! 이것은 웹 표준에서 지나는게 아니라 웹 접근성이; 어떤 의미인지를 가르쳐 주고 있어요
앞으로, 장애인이 불이익당하지 않고 장애인이나 일반인이나 모두 사용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란 이야기인데..
;; 이걸 어떻게 다 하냐는 말이죠!
최소한 alt 표기만 해줘도 좋죠.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에는 모든 텍스트를 지원한다 ?
어쩔수 없이, 하던 내용을 텍스트로 대부분 지원 가능 하도록 해주어야 한단 ?
텍스트라고 하면, 모바일방식의 지원가능하도록 하는 대체 페이지?
이 법으로 인해?
도데체 무슨소린지 하나도 모르겠네 구글이 번역해놓은거 같네
어쩔수 없이, 하던 내용을 텍스트로 대부분 지원 가능 하도록 해주어야 한단 ?
텍스트라고 하면, 모바일방식의 지원가능하도록 하는 대체 페이지?
이 법으로 인해?
도데체 무슨소린지 하나도 모르겠네 구글이 번역해놓은거 같네

어차피 당연한 내용이였습니다. 그동안 망각하고 있었을 뿐이죠.
텍스트 제공이라는 것은, 따로 모바일 용과 같은 페이지를 만들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정보는 정보로써 정체성을 찾으라는 겁니다.
시각장애인은 모두 스크린 리더 프로그램을 가지고있습니다.
그것을 가지고 웹도 돌아다니지요.
그들이 웹 사이트를 제대로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은, 사이트를 only text로 보는 것입니다.
그렇게 봤을 때, 비 장애인도 이해할 수 없다면 그것은 시각장애인도 이용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비 장애인도 이해할 수 없는 페이지를 만든것도 문제구요.
텍스트 제공이라는 것은, 따로 모바일 용과 같은 페이지를 만들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정보는 정보로써 정체성을 찾으라는 겁니다.
시각장애인은 모두 스크린 리더 프로그램을 가지고있습니다.
그것을 가지고 웹도 돌아다니지요.
그들이 웹 사이트를 제대로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은, 사이트를 only text로 보는 것입니다.
그렇게 봤을 때, 비 장애인도 이해할 수 없다면 그것은 시각장애인도 이용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비 장애인도 이해할 수 없는 페이지를 만든것도 문제구요.
내용을 살펴보면,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에는 모든 텍스트를 지원한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그렇단 말은 디자인때문에 어쩔수 없이, 하던 내용을 텍스트로 대부분 지원 가능 하도록 해주어야 한단 이야기인데, 좀 ... 이 부분에서는 소형사이트에서는 참으로 하기 힘들거라고 생각됩니다. 사실 텍스트라고 하면, 모바일방식의 지원가능하도록 하는 대체 페이지를 제작 해라 이 말인데.
-> 아닙니다^^; 모바일방식으로 꼭 지원하는 대체 페이지가 아니라. alt, title 등의 대체 텍스트를 달아서 해당기능(object,image,embed 등등)을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나, 사용자가 그 기능을 원활하게 볼 수 없는 유저라면, 그런 유저들이 사용하기 편하게 스크린리더프로그램이 잘 리딩할 수 있게 제작을 하란의미 입니다. 스크린리더들은 플래시에서 흔히 쓰는 오브젝트 태그나, 이미지태그, 그리고 테이블 태그의 의미를 잘못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렇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대체 텍스트를 지원하란 소리입니다.
이중 삼중으로 일이 더욱 불어날것만 같아요.!
-> 이건 어쩔 수 없는일이지요 : )...
더욱이 문제는, 특별한 이유없이 장애인들이 접근하기 곤란하게 만들경우 법적으로 벌금을 내야하는 제도가 생긴다는 것인데.
이 장애인들이 접근하기 힘들다는 기준이 참으로.. 애매하다는 겁니다. 이 법으로 인해, 웹세상속에도 이제 법적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 접근의 용이성을 '하드웨어'들을 제외하고 사이트에 대해서의 접근 용이성을 기준으로 두면 되지 않을까합니다.
-> 아닙니다^^; 모바일방식으로 꼭 지원하는 대체 페이지가 아니라. alt, title 등의 대체 텍스트를 달아서 해당기능(object,image,embed 등등)을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나, 사용자가 그 기능을 원활하게 볼 수 없는 유저라면, 그런 유저들이 사용하기 편하게 스크린리더프로그램이 잘 리딩할 수 있게 제작을 하란의미 입니다. 스크린리더들은 플래시에서 흔히 쓰는 오브젝트 태그나, 이미지태그, 그리고 테이블 태그의 의미를 잘못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렇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대체 텍스트를 지원하란 소리입니다.
이중 삼중으로 일이 더욱 불어날것만 같아요.!
-> 이건 어쩔 수 없는일이지요 : )...
더욱이 문제는, 특별한 이유없이 장애인들이 접근하기 곤란하게 만들경우 법적으로 벌금을 내야하는 제도가 생긴다는 것인데.
이 장애인들이 접근하기 힘들다는 기준이 참으로.. 애매하다는 겁니다. 이 법으로 인해, 웹세상속에도 이제 법적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 접근의 용이성을 '하드웨어'들을 제외하고 사이트에 대해서의 접근 용이성을 기준으로 두면 되지 않을까합니다.

장애인 되어야만 현실을 인식할 수 있다면 슬플 일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