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미련한 질문하나 해봅니다..(원어데이? 소셜?) 정보
좀 미련한 질문하나 해봅니다..(원어데이? 소셜?)본문
요즘 원어데이쇼핑몰,,, 소셜쇼핑몰,,, 10원쇼핑몰?? 등등..
많은데 어떻게 다른건가요?
하루에 하나 파는건 알겠는데 운영방식이 어떻게 다른것인지 도통 모르겠습니다.
아시는분 계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많은데 어떻게 다른건가요?
하루에 하나 파는건 알겠는데 운영방식이 어떻게 다른것인지 도통 모르겠습니다.
아시는분 계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추천
0
0
댓글 32개

여기서의 10원은 10원이 아니죠?
아 그런가요?? ㅜ.ㅜ;;

원데이몰(원어데이몰)이란
업체와 제휴를 통하여 할인 쿠폰을 발급해주고 그 판매 수량에 따른 퍼센티지를 원데이몰 주인이 먹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네티즌 쿠폰구매 -> 원데이몰(수수료) -> 업체 이런식이 되겠네요/
자세한 내용은 http://blog.naver.com/md_atoz?Redirect=Log&logNo=10087820927 에 기제 되어있네요
업체와 제휴를 통하여 할인 쿠폰을 발급해주고 그 판매 수량에 따른 퍼센티지를 원데이몰 주인이 먹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네티즌 쿠폰구매 -> 원데이몰(수수료) -> 업체 이런식이 되겠네요/
자세한 내용은 http://blog.naver.com/md_atoz?Redirect=Log&logNo=10087820927 에 기제 되어있네요
아..원어데이는 그렇군요 .
설명 감사합니다.
그럼 소셜? 10원은?? 비슷한건가요? 아니면 다른건가요?
설명 감사합니다.
그럼 소셜? 10원은?? 비슷한건가요? 아니면 다른건가요?

흠.... 의미를 두고 보자면 전혀 다른것이지만 원데이몰에게는 소셜은 절대적인 동반자 입니다. 아래 댓글 보셔요^^
10원 쇼핑몰은 흠..... 이건 사기성이 짖은데...
핸드폰10원이런것 밖에 몰라서 ^^
10원 쇼핑몰은 흠..... 이건 사기성이 짖은데...
핸드폰10원이런것 밖에 몰라서 ^^

소셜은 네트워크상에 글을 공유?(상황에 맞게 의미를 약간 변색)가 가능하기 때문에 원데이몰 및 쇼핑몰에 합당한 홍보 방법입니다. 특히 원데이몰 같은경우는 1일 1제품의 제한 때문에 홍보의 중요성이 아주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 노출하고 최대한 많이 알려야 할 필요성이 있는것이지요.
SNS같은경우는 글보내기 같은 기능을 API식으로 제공이 되기 때문에 쇼핑몰들에게는 더없이 좋은 홍보의 장입니다.
어떻게 보면 연관성은 거의 없으나.. 동반자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SNS같은경우는 글보내기 같은 기능을 API식으로 제공이 되기 때문에 쇼핑몰들에게는 더없이 좋은 홍보의 장입니다.
어떻게 보면 연관성은 거의 없으나.. 동반자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원데이몰과 같은것인데 sns로 홍보를 한다는것만 다른것인가요?
그럼 좀더 진화가 된 몰이라고 보면 되겠네요..^^
그럼 좀더 진화가 된 몰이라고 보면 되겠네요..^^

원데이몰
소셜 몰
어차피 크게 잡고 보면 물건을 파는 쇼핑몰입니다. 다만
소셜몰 같은경우는 다수의 물건을 제한없이 판매 하기 때문에 소셜기능이 있거나 없거나 해도 그만입니다만..
원데이몰 같은경우는 하루 한가지 제한 때문에 최대한 많이 팔아 이윤을 남기려면 광고가 필수 적이기에 소셜을 필히 업고 가는것이지요.
소셜 몰
어차피 크게 잡고 보면 물건을 파는 쇼핑몰입니다. 다만
소셜몰 같은경우는 다수의 물건을 제한없이 판매 하기 때문에 소셜기능이 있거나 없거나 해도 그만입니다만..
원데이몰 같은경우는 하루 한가지 제한 때문에 최대한 많이 팔아 이윤을 남기려면 광고가 필수 적이기에 소셜을 필히 업고 가는것이지요.

말이 쓰다 보니 이상했네요 대충 의미 전달은 되셨는지?
네 감사합니다. 대충 감이 옵니다.^^
10원쇼핑몰도 알려주세요..^^

그건 모르겠음 ㅠ.ㅠ;;
10원 쇼핑몰 도대체 머죠? ㅜ.ㅜ;;
10원 핸드폰은 아는데 ㅋㅋ
10원 쇼핑몰 도대체 머죠? ㅜ.ㅜ;;
10원 핸드폰은 아는데 ㅋㅋ

예전에 하프프라자 인가요? 좋지 않게 끝났죠?
제가 알기로는 경매가가 화면에서는 10원씩 높아지지만 실제로는
입찰하는 입찰권(?)을 별도로 구매(몇천원, 몇만원)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아닌가요?
제가 알기로는 경매가가 화면에서는 10원씩 높아지지만 실제로는
입찰하는 입찰권(?)을 별도로 구매(몇천원, 몇만원)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아닌가요?
전 전혀 입찰방식, 운영방식을 몰라서 여쭈어본겁니다.
아시는부분이 있으시면 조금만 알려주세요..^^
아시는부분이 있으시면 조금만 알려주세요..^^

http://ko.wikipedia.org/wiki/%EC%86%8C%EC%85%9C_%EC%BB%A4%EB%A8%B8%EC%8A%A4 // 소셜몰 - 하단 링크들도 확인해보세요
아 감사합니다.^^

10원 경매는 대충 이런것 같던데요.
A : 10원, 40원, 70원
B : 20원, 60원, 90원
C : 30원, 50원, 80원
경매시간이 지나면 최고가 90원이 낙찰됨
나머지 사람들은 돈을 돌려주지 않음
A + B + C 가 모아서 B 에게 선물한 것임.
나머지는 거지됨.
A : 10원, 40원, 70원
B : 20원, 60원, 90원
C : 30원, 50원, 80원
경매시간이 지나면 최고가 90원이 낙찰됨
나머지 사람들은 돈을 돌려주지 않음
A + B + C 가 모아서 B 에게 선물한 것임.
나머지는 거지됨.
중복되지않는조건에서 90원이 낙찰이면 최저에서 최고가 3명이 낙찰을 받는방식이란 말씀인가요?
나머지 중복된사람들은 돈을 날린셈이 되고요??
나머지 중복된사람들은 돈을 날린셈이 되고요??

저 같은 경우는 이런건 돈 날리는 셈치고 한번 해봐야 하는데
요즘 시간이 좀 안나네요.
대충 이렇게 흘러가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몇십만원 짜리를 90원에 낙찰 받았다고 홍보하는거죠.
요즘 시간이 좀 안나네요.
대충 이렇게 흘러가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몇십만원 짜리를 90원에 낙찰 받았다고 홍보하는거죠.

http://l2zeo.com/it/222
절대 제 블로그를 홍보하는건 아닙니다 ㅋ.;;
사설이지만..
소셜 커머스의 관심을 둔게 처음 티켓몬스터가 생기면서 관심을 두고 얼마후에 준비를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너무나도 많은 소셜 커머스가 우후죽순으로 생기고 있죠. 거기에 대기업들마저 소셜커머스에 발을 담그기 시작했구요. 어제보니 네이버 검색어에 해피바이러스(신세계몰 소셜커머스)가 올라왔더군요. 왠만한 소셜커머스사이트들의 쇼핑 목록이 한정되있다는 단점이 이제부터 확연히 들어날거 같습니다.
얼마전 s본부에서의 유통시장 관련 시사프로를 봤습니다만, 대기업의 마케팅(횡포)에 왠만한 이름이 있는 중소기업들도 힘들어 하더라구요.
주저리주저리 글이 괜히 길어졌네요. k본부에서 한 애플 혁신을 말하다에서도 짧게나마 소셜커머스관련해서 얘기가 나왔죠. 아무튼, 한마디로 말하면...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동구매!
절대 제 블로그를 홍보하는건 아닙니다 ㅋ.;;
사설이지만..
소셜 커머스의 관심을 둔게 처음 티켓몬스터가 생기면서 관심을 두고 얼마후에 준비를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너무나도 많은 소셜 커머스가 우후죽순으로 생기고 있죠. 거기에 대기업들마저 소셜커머스에 발을 담그기 시작했구요. 어제보니 네이버 검색어에 해피바이러스(신세계몰 소셜커머스)가 올라왔더군요. 왠만한 소셜커머스사이트들의 쇼핑 목록이 한정되있다는 단점이 이제부터 확연히 들어날거 같습니다.
얼마전 s본부에서의 유통시장 관련 시사프로를 봤습니다만, 대기업의 마케팅(횡포)에 왠만한 이름이 있는 중소기업들도 힘들어 하더라구요.
주저리주저리 글이 괜히 길어졌네요. k본부에서 한 애플 혁신을 말하다에서도 짧게나마 소셜커머스관련해서 얘기가 나왔죠. 아무튼, 한마디로 말하면...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동구매!

굿굿~ 좋은 설명입니다.~
설명하기 모호 했는데 ^^
역시 고수는 설명이 틀려 ㅋㅋ
설명하기 모호 했는데 ^^
역시 고수는 설명이 틀려 ㅋㅋ
넵 이제 소셜쇼핑몰은 확실히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실제 10원씩 참가비를 내는것이 아니고 입찰을 할 수 있는 입찰권을 구입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000, 5000, 10000원 이런식으로 상품권과 같이 이용하는것인가요?
그런데 왜 10원쇼핑몰이라고 하는걸까요 사람 헛갈리게..ㅜ.ㅠ;;
그런데 왜 10원쇼핑몰이라고 하는걸까요 사람 헛갈리게..ㅜ.ㅠ;;

싸보이잖아요.
혹 한다는거죠.
혹 한다는거죠.

공감가는군요...
아....................ㅡ.ㅜ;;
여지껏 제가 생각했던거완 달랐던거였군요...ㅎㅎ
여지껏 제가 생각했던거완 달랐던거였군요...ㅎㅎ

한가지 더, 국내시장은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소셜커머스에 한계가 분명히 있습니다.어떤것도 마찬가지겠지만요.
저같은경우엔 국내시장이 아닌 중국시장을 겨냥한쪽이라서 국내의 소셜과는 크게 다른부분이 없지않아있습니다.ㅠㅠ
저같은경우엔 국내시장이 아닌 중국시장을 겨냥한쪽이라서 국내의 소셜과는 크게 다른부분이 없지않아있습니다.ㅠㅠ

국내 시장 같은경우는 소셜의 제한 과사람들의 인식 제한이 문제 지요.
일단 폐쇠적이다.
이단 사용유지가 많지 안다
삼단 홍보율이 크지 않다.
사단 소셜이 너무 많다
실질 적으로 소셜 관련 사이트는 수두룩 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그것이 문제지요. 유저 갈라먹기로 인하여 소셜 본연의 기능을 잃고 있는 실정 입니다.
일단 폐쇠적이다.
이단 사용유지가 많지 안다
삼단 홍보율이 크지 않다.
사단 소셜이 너무 많다
실질 적으로 소셜 관련 사이트는 수두룩 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그것이 문제지요. 유저 갈라먹기로 인하여 소셜 본연의 기능을 잃고 있는 실정 입니다.

소셜 본연의 기능을 잃는다!. 정말 공감하는 부분입니다.
좀더 귀찮게 한다면 득보단 실이 더 많을 수 있을듯 하네요..

소셜 네트워크 끼리 연동,통합 되는길을 찾지 못한다면 외국 트위터 빼고 남는것이 없지요.. 경쟁성이 없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