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집보단 농장 + 소셜커머스가 낫지 않을까요?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닭집보단 농장 + 소셜커머스가 낫지 않을까요? 정보

닭집보단 농장 + 소셜커머스가 낫지 않을까요?

본문

* 돈되는 농업, 억대 부농 늘고있다

-> 관련기사 :



닭집 관련 설문도 올라왔었고.. 쉬운 일이란게 없겠습니다만..
 
IT 전공자가 닭집 차리는거 보단..;;

직영 생산 농장 하나 가지고 있으면서, 소셜 커머스 병행 운영하면 좋지 않을까요?

직영 농장 + 소셜 커머스의 조합.. 전공도 살릴 수 있고.. 개인적으로는 좋다고 보는데요~

SIR에 이미 농장 운영하시면서.. 유사하게 운영중이신 분들도 있으실거 같은데..

누가 요즘 근황 좀 들려주시면 좋겠네요~~^^

추천
0

댓글 14개

생산설비와 원재료에.. 일정부분 별도 투자는 필요할거 같구요~
소셜커머스에 해당하는 유통 관리쪽에 포커스를 둬서..
전공의 장점을 살리면 어떨까요?

동문 서답인가요? ^^;;;
요즘은 오징어말려도 떼던 번대요..
하지만 말리기만 해서 됄까요..
몬가 노력 해야 겠죠..
.
.
.
제길 포항가서 오징어나 널어야 겠네요..ㅎㅎ
수산업쪽이 날려나요? ㅎㅎ
뭐든 1~2년 이상은 시행착오 해야겠죠.
근데, 안되는거 붙잡고 있다가 공급 포화 상태인 닭집 차리는거보단..
낫지 않겠는가 싶어서 말이죠~^^
노력에..노력에..노력에..노력이.. 갖추어져야만 가능하다는..
존경스럽습니다 저런분들보면.. 우리도 열심히 하자구요 ^^
추가적인 의견입니다만..

직접 생산 관리부터.. 소셜커머스로의 유통까지 관여한다는게 벅차다 느껴질 수 있겠네요.
그렇다면, 부모님이 농장을 운영하시고 자식은 IT전공자로써..
쇼핑몰이나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경우.. 요즘 꽤 있죠?
또.. 이런 경우라면.. 좋은 대안 케이스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대안이안됩니다.
즉 유통이 잘 안되는거죠..
유통이 잘안되면 지역구 싸움인거죠.
그리고 지역구 싸움은 한계가 있기 마련이죠.

소셜 쇼핑몰들은 자신이 하는일에 밀접한 부분도 있겠지만..
제생각에는 대행이라는 것에 만족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일정의 수수료를 지급하고 광고를 한다는 것이죠.(확실한 키워드 광고)
하지만 이들 나름대로 고충은 있습니다.
항상 많이 판것처럼 보여야하구요..
기본적으로 1000 개가 팔리면 매출이 많아야 겠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은 곳도 많습니다.

조금더 생각하자면
지역 홍보페이지가 많으니까 소셜 쇼핑몰도 접목한다면 도움이 되지않을까요.
좀 늦었나요? 샘플을 좀 수소문 해봤습니다~^^

우선 원어데이에도 얼굴을 내밀고, 마케팅 잘 챙기면서 하고 있는 곳중에..

http://gbfood.co.kr

이곳 괜찮아 보이죠. 다만, 이곳의 경우.. 제가 말씀드린 직접 생산 -> 판매의
개념이라기 보다는 유통 제휴의 성격이 강해보이죠.

차라리, 아래와 같은 2개의 경우가 제가 말씀드린 개념에서 샘플링 하기에 적합해 보이죠?

http://anack.co.kr
http://muanyangfa.net

중요한 것은 "원천생산자" 가 전자상거래나 소셜을 접목하려는 시도가
일반적이었다면, 제가 말씀드리는 것은 전자상거래나 소셜에 익숙한 IT전공자가
역으로 "원천생산" 을 하게 되는 경우를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가령.. 농장 운영하던 사람이 홈페이지 만들어 운영하는 것보다,
홈페이지나 쇼핑몰 제작 관리해 주던 사람이..
소위 귀농해서.. 쇼핑몰 운영하면 더 잘 할 수 있지 않을까요? .. 라는 관점입니다.
아울러, 소셜커머스란 것에 있어.. "원어데이" 와 같이 꼭 중개 개념으로
운영하는 것을 생각할 것 없이.. 기존 쇼핑몰의 정형화된 형식을 탈피 보완하여..
사용자와 보다 긴밀한 커뮤니티를 해간다는 개념으로 기획해서
적용해가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소셜커머스의 맥락은 엄현히 조금씩 다름니다..
이점을 간과 하신듯 합니다.
또한 님의 말처럼 전자상거래에 익숙하신 분이 귀농을 하신다하여 잘되는것은 아님니다.
무던한 노력이 필요하겠죠.
한마디로 청춘불패처럼 누군가 옆에서 늘 도와주지만 않는다는겁니다.
또 선입견이라는 나쁜넘도 존재하구요.
가령 매번 수확하는것도 힘이 부칠때가 많습니다.
10개를 뿌려서 2개를 버리고 8개를 수확했을때 기쁨은 이루 말할수 없습니다.
하지만 여기에 3-4개의 수수료가 붙는다면 수익은 4-5 개밖에 안됩니다.
여기에 또문제가 생김니다.
수익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과정에서 문제가 발생되거나 반품을 생각해야 합니다.
운영비에 여러가지 더하면 2정도가 순수익이 됄수도 있습니다.
남는것이 없다는게 여기서 나옴니다.
자신의 땅이 있다면 어느정도 괜찮지만 땅이 없다면 임대(?) 해야겠죠.
임대료는 운영비에 포함됩니다.
또한 전자상거래를 잘한다고 해서 농사도 배워서 잘하면 되지않겠느냐 하시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떠안고 시작하는것입니다.
이 근본적인 문제는 혼자서는 도저히 감당할수 없습니다.
소셜 쇼핑몰은 최소한 혼자인 이들을 모아서 판매하는것이기 때문에
여러가지로 이익을 남길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소셜커머스 맥락은 혼자보단 둘이 둘보단 여럿이 났다는것입니다.

또 자신이 잘하는일에 최선을 다하는것이 다른일을 더하는것보단 났지않을까요.
맥락을 간과한 건 아니구요~~^^;;
중때린수녀님께서 소셜커머스의 의미를 다소 정형화해서 인지하고
계신건 아닌가 싶습니다~ 거기에서 일단 저와는..
인식과 방향성의 차이가 발생되는거 같으네요.

이어서 말씀해주신, 뭐든 쉬운게 없다라든가..
운영간의 채산성 문제에 대해서는 공감하구요.
다만, 제가 말씀드리는 것은..

1) 레드오션보단 블루오션
2) 닭집보단 소셜이나 전자상거래를 접목할 수 있는 아이템

이런게 IT전공자에게 있어 차라리 낫지 않을까요? 라고 말씀드리고 있는 것이죠~
물론, 같은 IT전공자가 귀농을 하더라도.. 자금력.. 적성.. 운.. 등등
많은 요소들이 영향을 주리란건 당연한데, 아무래도 닭집보단..
확실히 틈새시장이면서 성공률이 높지 않을까요?
좋은 말씀 감사드리구요~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전체 199,644 |RSS
자유게시판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