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칩 (image chip) - 사용해보기 정보
이미지 칩 (image chip) - 사용해보기본문
몇년전의 이야기입니다 : )...
함께 생각해보고자 올립니다.
어렸을적에 RPG Maker라고하는 턴제 RPG를 스스로 만들어 볼 수 있게 만든 툴이있었습니다
(현존하고있지요^^ 많은 커뮤니티들도 있고..)
거기에 보면 맵 칩 이라는것과 캐릭터 칩등의 칩 이라는 표현을 쓰는 이미지의 꾸러미가 있습니다.

바로 위와같은것이 칩입니다.
툴에서 이것들을 불러올땐 해당이미지의 좌표값으로 부르게 됩니다.
(VB나 VS등의 툴을 써 보신분이라면 익숙하실겁니다)
사실 저것은 특정툴로 제작한 실행프로그램에서나 쓰이는것인줄로만 알았는데,
생각해보니 CSS로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리고 발견한것이 다음넷에서 쓰는 웹이미지칩입니다(그냥 스스로 그렇게 부르고있습니다^^;)
(사실 다음넷에서 예전에는 다음넷에서 쓰는 이미지를 모두 한칩안에 넣어두고 ver01.png 이런식으로 지명하긴했지만, 최근에는 서비스마다 분류해서 칩을 쓰고있습니다.)

(위) 이 칩의 이름은 'ico_v03.png'입니다. 분석해보니, 공동으로 개발하다 보니, 자신이 맡은 영역에 대해서만 칩을 분리해서 쓰는것 같았습니다.
하나의 이미지에 모두 넣어두면 장점이 큽니다.
css에서 background:속성으로 불러내고, 한번만 불러내면 cache되기 때문에, 더이상 로드의 부담이 없습니다.
하나의 파일만 읽어들이고 나머지는 좌표조절하기 때문에 이미지가 하나하나 따로 관리될때보다 훨씬 유지보수가 쉽습니다.
요즘 일명 DTD버전을 제작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스킨을 제작하시거나 테마를 제작하실때, 이미지를 일일이 자르지마시고, 이렇게 하나의 칩으로 관리하셔서
작업을 하시면 좀더 최적화된 개발을 하실 수 있을겁니다.
오늘부터 한번 이미지칩을 만들어 써보시지 않으시렵니까^^?
함께 생각해보고자 올립니다.
어렸을적에 RPG Maker라고하는 턴제 RPG를 스스로 만들어 볼 수 있게 만든 툴이있었습니다
(현존하고있지요^^ 많은 커뮤니티들도 있고..)
거기에 보면 맵 칩 이라는것과 캐릭터 칩등의 칩 이라는 표현을 쓰는 이미지의 꾸러미가 있습니다.


바로 위와같은것이 칩입니다.
툴에서 이것들을 불러올땐 해당이미지의 좌표값으로 부르게 됩니다.
(VB나 VS등의 툴을 써 보신분이라면 익숙하실겁니다)
사실 저것은 특정툴로 제작한 실행프로그램에서나 쓰이는것인줄로만 알았는데,
생각해보니 CSS로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리고 발견한것이 다음넷에서 쓰는 웹이미지칩입니다(그냥 스스로 그렇게 부르고있습니다^^;)
(사실 다음넷에서 예전에는 다음넷에서 쓰는 이미지를 모두 한칩안에 넣어두고 ver01.png 이런식으로 지명하긴했지만, 최근에는 서비스마다 분류해서 칩을 쓰고있습니다.)

(위) 이 칩의 이름은 'ico_v03.png'입니다. 분석해보니, 공동으로 개발하다 보니, 자신이 맡은 영역에 대해서만 칩을 분리해서 쓰는것 같았습니다.
하나의 이미지에 모두 넣어두면 장점이 큽니다.
css에서 background:속성으로 불러내고, 한번만 불러내면 cache되기 때문에, 더이상 로드의 부담이 없습니다.
하나의 파일만 읽어들이고 나머지는 좌표조절하기 때문에 이미지가 하나하나 따로 관리될때보다 훨씬 유지보수가 쉽습니다.
요즘 일명 DTD버전을 제작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스킨을 제작하시거나 테마를 제작하실때, 이미지를 일일이 자르지마시고, 이렇게 하나의 칩으로 관리하셔서
작업을 하시면 좀더 최적화된 개발을 하실 수 있을겁니다.
오늘부터 한번 이미지칩을 만들어 써보시지 않으시렵니까^^?
추천
0
0
댓글 21개

오호~
이부분은 pmp ui 해킹해서 썼을때 방식과 같군요.
이미지칩이라고 하는군요.
rpg메이커로 온라인게임 만들어서 운영한적있는데.
이방식을 php에서 적용하면 좋겠다 생각 한적은 있습니다.
하지만 자료가 너무 없어서 포기했었습니다.
관한 자료 잇나요??
이부분은 pmp ui 해킹해서 썼을때 방식과 같군요.
이미지칩이라고 하는군요.
rpg메이커로 온라인게임 만들어서 운영한적있는데.
이방식을 php에서 적용하면 좋겠다 생각 한적은 있습니다.
하지만 자료가 너무 없어서 포기했었습니다.
관한 자료 잇나요??
이미지칩이라부르는것은 제가 그냥 그렇게 불렀습니다^^;; (이해가 좀더 쉽지 않을까해서 ㅎㅎ)
관련자료는 지천에있지만 ㅎㅎㅎ 이 방식에 대해서라면 제가 대신 설명드릴수도있습니다.ㅎㅎㅎ 예전 제 홈피를 웹칩으로 만들어서 스킨은 모두 이 방식으로 한적이 있었습니다^^;
관련자료는 지천에있지만 ㅎㅎㅎ 이 방식에 대해서라면 제가 대신 설명드릴수도있습니다.ㅎㅎㅎ 예전 제 홈피를 웹칩으로 만들어서 스킨은 모두 이 방식으로 한적이 있었습니다^^;

오호 이거 해볼까 한게 5년전이던가... 햇었죠...
지금 보니까 해볼만할것 같네요 간단한 설명 부탁 드립니다.
지금 보니까 해볼만할것 같네요 간단한 설명 부탁 드립니다.
보통 기본적으로 많이 쓰는 방식은 '버튼'입니다.
'마우스오버할때나올이미지와 마우스아웃할때이미지를 한칩에 넣고'
- 버튼 디자인의 각각의 높이는 20px이고 가로가 50px이며, 상하로 나란히 배열하고 상단에 있는게 마우스아웃(기본이미지)일 경우
(총 칩사이즈 높이가 40px이라 가정)
(마우스아웃 - 디폴트이미지좌표)
a { height:20px; width:50px; background:url('이미지칩주소') no-repeat 0 0 } // 이미지불러들일좌표가 top:0 left:0 이라는말입니다.
(마우스오버 - 이미지좌표)
a:hover { background:url('이미지칩주소.png') no-repeat -20px 0 }
이런식으로 불러내는 방식입니다.ㅎㅎㅎㅎ
'마우스오버할때나올이미지와 마우스아웃할때이미지를 한칩에 넣고'
- 버튼 디자인의 각각의 높이는 20px이고 가로가 50px이며, 상하로 나란히 배열하고 상단에 있는게 마우스아웃(기본이미지)일 경우
(총 칩사이즈 높이가 40px이라 가정)
(마우스아웃 - 디폴트이미지좌표)
a { height:20px; width:50px; background:url('이미지칩주소') no-repeat 0 0 } // 이미지불러들일좌표가 top:0 left:0 이라는말입니다.
(마우스오버 - 이미지좌표)
a:hover { background:url('이미지칩주소.png') no-repeat -20px 0 }
이런식으로 불러내는 방식입니다.ㅎㅎㅎㅎ

시안 작업 해놓고 안자르고 불러와도 되겠군요 ㅋㅋ
시안 백업과 필요한부분을 동시에 하니^^
시안 백업과 필요한부분을 동시에 하니^^
ㅎㅎ 시안전체로 하시기보단
유지보수할만한 것들을 하나의 칩으로 모으시는게 편합니다.
그누보드 자작 스킨이용시
관련 버튼들과 디자인들을 한 칩에 넣어두고 좌표값으로 불러들이기를 하시면 ㅎㅎ
유지보수할만한 것들을 하나의 칩으로 모으시는게 편합니다.
그누보드 자작 스킨이용시
관련 버튼들과 디자인들을 한 칩에 넣어두고 좌표값으로 불러들이기를 하시면 ㅎㅎ

http://devnpc.maru.net/space.php 간단한예제를 만들어보았어요 ㅎㅎ
-위에돌아다니는 행성은 layer처럼 이용한것이고 예제가아니예요 ㅎㅎ 아래쪽에꺼^^
-위에돌아다니는 행성은 layer처럼 이용한것이고 예제가아니예요 ㅎㅎ 아래쪽에꺼^^

행성 안돌아 다니는데유

ㅎㅎㅎ 크롭하는것이라면 제가 본문에 언급한 cache쪽이 해결되지 않습니다.ㅎㅎ

아.... 캐시 쪽이 문제 이군요...
캐시부분은 아직 어떤건지 몰라서 ^^
캐시부분은 아직 어떤건지 몰라서 ^^
(이 설명은 옵션님이 더 잘해주실것같지만^^;)
사이트에서 트래픽을 줄이기 위한 기술중의 하나이고요.
css, js등 외부파일로 만들어서 읽어들이면 최초에만 css나 js로드시에 트래픽이 발생하고, 일정 기간(또는 시간)동안은 캐시정보를 읽어들여서 로드하기때문에 부하가 없습니다.
사이트에서 트래픽을 줄이기 위한 기술중의 하나이고요.
css, js등 외부파일로 만들어서 읽어들이면 최초에만 css나 js로드시에 트래픽이 발생하고, 일정 기간(또는 시간)동안은 캐시정보를 읽어들여서 로드하기때문에 부하가 없습니다.

오호!
크롭할때는 일일이 읽고
css같은 스타일은 컴퓨터에 저장된것을 읽기(최초 접근 제외) 때문에 서버에서 읽는 작업을 하지 않기에 트래픽이 그 만큼 줄어 든다는 말씀이시지요?
크롭할때는 일일이 읽고
css같은 스타일은 컴퓨터에 저장된것을 읽기(최초 접근 제외) 때문에 서버에서 읽는 작업을 하지 않기에 트래픽이 그 만큼 줄어 든다는 말씀이시지요?

그런데 댓글중
a:hover { background:url('이미지칩주소.png') no-repeat -20px 0 }
이것에 -20px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0px부터 시작해서 이미지 크기대로 조절 가능한거 아닌가요?
-20px면 0으로 인식되지 않나요?
a:hover { background:url('이미지칩주소.png') no-repeat -20px 0 }
이것에 -20px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0px부터 시작해서 이미지 크기대로 조절 가능한거 아닌가요?
-20px면 0으로 인식되지 않나요?
ㄴ Re: 이유는..
이미지가 만약 총 40px일 경우
우리가 이미지를 볼때엔 위에서 아래로 보통 높이를 표시합니다.
그래서 최상단왼쪽모서리를 'top:0px; left:0px;' 로 읽습니다.
자 그럼 '좌표'로 생각해봅시다.
좌표에서 0px보다 아래쪽은 -가 붙지 않겠습니까^^?
0,0 에서 -20,0 으로 이동하기때문에 아래쪽 20px 부터가 기준으로 이미지를 그리게 됩니다.
이미지가 만약 총 40px일 경우
우리가 이미지를 볼때엔 위에서 아래로 보통 높이를 표시합니다.
그래서 최상단왼쪽모서리를 'top:0px; left:0px;' 로 읽습니다.
자 그럼 '좌표'로 생각해봅시다.
좌표에서 0px보다 아래쪽은 -가 붙지 않겠습니까^^?
0,0 에서 -20,0 으로 이동하기때문에 아래쪽 20px 부터가 기준으로 이미지를 그리게 됩니다.

아 그렇군요
css에서도 좌표가 사용 되는군요 자스에서 밖에 좌표를 사용안해봐서 ^^
답변 감사합니다.
css에서도 좌표가 사용 되는군요 자스에서 밖에 좌표를 사용안해봐서 ^^
답변 감사합니다.

일단 스크랩 하겟습니다. 글삭제 하지마세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스크랩 해갈께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