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검색엔진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글로벌 검색엔진 정보

기타 글로벌 검색엔진

본문

Search results for: 66.249.64.33

OrgName:    Google Inc.
OrgID:      GOGL
Address:    1600 Amphitheatre Parkway
City:       Mountain View
StateProv:  CA
PostalCode: 94043
Country:    US
NetRange:   66.249.64.0 - 66.249.95.255
CIDR:       66.249.64.0/19
NetName:    GOOGLE
NetHandle:  NET-66-249-64-0-1
Parent:     NET-66-0-0-0-0
NetType:    Direct Allocation
NameServer: NS1.GOOGLE.COM
NameServer: NS2.GOOGLE.COM
Comment:   
RegDate:    2004-03-05
Updated:    2004-11-10
OrgTechHandle: ZG39-ARIN
OrgTechName:   Google Inc.
OrgTechPhone:  +1-650-318-0200
OrgTechEmail:  arin-***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이메일주소 노출방지 ***
# ARIN WHOIS database, last updated 2005-07-18 19:10
# Enter ? for additional hints on searching ARIN's WHOIS database.
 
 
 
 
Search results for: 207.46.98.117

OrgName:    Microsoft Corp
OrgID:      MSFT
Address:    One Microsoft Way
City:       Redmond
StateProv:  WA
PostalCode: 98052
Country:    US
NetRange:   207.46.0.0 - 207.46.255.255
CIDR:       207.46.0.0/16
NetName:    MICROSOFT-GLOBAL-NET
NetHandle:  NET-207-46-0-0-1
Parent:     NET-207-0-0-0-0
NetType:    Direct Assignment
NameServer: NS1.MSFT.NET
NameServer: NS5.MSFT.NET
NameServer: NS2.MSFT.NET
NameServer: NS3.MSFT.NET
NameServer: NS4.MSFT.NET
Comment:   
RegDate:    1997-03-31
Updated:    2004-12-09
TechHandle: ZM39-ARIN
TechName:   Microsoft
TechPhone:  +1-425-882-8080
TechEmail:  ***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이메일주소 노출방지 ***
 
오픈도 하지 않은 홈페이에 계속 접속하면서 자료를 뒤지는 로봇이 있어 아이피를 검색해 봤습니다.
구글과 MS인데요
구글은 현재까지 이틀에 한번씩 들어오고 있고 MS는 조금전에 처음 접속이 있었네요.
 
아직까지 국내 검색엔진의 검색은 단 한차례도 없었는데 이게 검색엔진 품질의 차이일까요?
 
어디에도 소개되지 않은 웹사이트를 어떻게 알고 검색해 내는지 정말 궁금하군요.
추천
0
  • 복사

댓글 12개

나스카님께서 올려주신 글은 저뿐만 아니라 다른 분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검색엔진을 몇번 검색은 해보고 많다는 것은 대충 알고 있었는데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링크를 보니 정말 전문검색 사이트들이 많으네요.

'돈'이라는 자원과 '자료의 규모(크기, 자료량)', 실제 찾고자 하는 내용을 좀 더 깊게 찾기 위해서는,
그나마 손쉽게 찾아볼 수 있는 '포털검색(엔진)'을 이용하는 것 보다는,
분야별 '전문검색엔진'과 유용성을 알아 보고, 그 용도에 맞게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라 봅니다.

위 말씀은 전적으로 동감하는 바입니다.
감사합니다.
게시물 타이틀이 '글로벌'이라는 부분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으나,
검색엔진이라는 키워드에 어울린듯한 몇가지 내용을 기재해 봅니다.

국내 자료는 거의 엠파스에서 찾아보는 터라...
네이버 링크가 많이 묻어납니다.

-. 하단은 전문검색(엔진 또는 모음<meta 검색 엔진과는 의미가 다릅니다>) 모음
http://blog.empas.com/jab3399/9629706


-. 관련 네이버 KIN
 지식인에서 떠들어 대는 내용이라 신빙성이 없습니다.
 검색엔진에 관련된 내용은 성능 및 자료검색의 객관적 자료가 있겠으나,
 바로 이 객관성이라는 부분도 평가자(?!) 나름의 주관성이 포함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하단 링크에서 국내 자료는 '네이버가 잘 찾는 편이다?!!!'
 헐~ 우습지도 않네요.

http://search.empas.com/search/ok_pvw.html?pt=0&dd=1&ft=2&i=9472910&sn=1200732436&q2=%B1%EE%C4%A1%B3%D7+%B0%CB%BB%F6+%BF%A3%C1%F8&dv=a&w=234c4d&dw=4d&vl=A&vn=1&q=%B1%EE%C4%A1%B3%D7+%B0%CB%BB%F6%BF%A3%C1%F8&ou=kin.naver.com%2Fbrowse%2Fdb_detail.php%3Fd1id%3D1%26dir_id%3D1%26docid%3D16108


-. 검색엔진 관련
http://kdaq.empas.com/qna/4387849?sq=%B1%EE%C4%A1%B3%D7+%B0%CB%BB%F6%BF%A3%C1%F8
2004년에 게재된 내용이며, 그 운용은 각 사이트마다 실재한다고 100% 확신할 수는 없습니다.
(사실 일일이 확인하는 것도 무리가 따릅니다.)
게시물 작성자 또한 단순한 ctrl-c + ctrl-v 과정을 성실히(?!) 수행했겠지요.

-. 분야별 검색엔진 관련(주관적 관점)
개인적으로 국내(외)의 전문 또는 일반 자료를 찾기 위해서는,
대학(원)을 주축으로 개발 및 서비스가 이루어졌던 검색엔진이
그나마 현 시점의 '포털검색'이라는 상업성을 배제할 수 있습니다.
(-> '돈'을 투자하면, 비중이 낮은 사이트라 할지라도 상위에 랭크되는 상황을 배제)
그러나, 직전에 기재한 검색엔진에서는, 찾아볼 수 있는 '자료의 양'에 관해서는,
'포털검색'에서 찾아볼 수 있는 자료량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빈약할 수 있습니다.
(단, 순전히 자료량으로만 따져서...)

'돈'이라는 자원과 '자료의 규모(크기, 자료량)', 실제 찾고자 하는 내용을 좀 더 깊게 찾기 위해서는,
그나마 손쉽게 찾아볼 수 있는 '포털검색(엔진)'을 이용하는 것 보다는,
분야별 '전문검색엔진'과 유용성을 알아 보고, 그 용도에 맞게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라 봅니다.

-. sir 유저 중에서도 이미지관련 전문검색 또는 전문사이트를 꿰고 계시는 분들의 예
  짱구아빠, bbking 님을 비롯한 몇몇 유저들('잠수'만을 즐기시는 분들은 제외)
나스카님 대단하시네요. ^^
아래의 글은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검색엔진의 주 목적은 검색입니다.
검색결과가 돈과 직접 연결이 되어서는 아무래도 그 결과를 뿌리는데에 이미 돈을 지불한 스폰스가 우선이 될수밖에 없을겁니다.
그것은 사용자인 네티즌이 원하는 바가 아닙니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원하는 겁니다.
스크롤바를 한참이나 내려서 뒤지다가 원하는 목적을 얻지못하면 디렉토리 항목을 뒤져야 하고
그것도 여의치 않으면 웹문서 등을 뒤지게 됩니다.
페이지를 한참이나 넘어가야 겨우 원하는 웹사이트를 찾을까 말까 합니다.
요즘은 등록자체도 돈과 연결이 되어 있으니 등록자체가 안되어 있는 사이트가 많습니다.
어떨땐 웹사이트 하나를 찾는데 많은 시간을 소요해야만 할때도 있습니다.
이것은 개인적인 낭비일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낭비입니다.

대부분의 네티즌들이 포탈사이트의 검색에 의지하는 상황에서 이익을 목적으로 한 기업이 어쩌면 최대의 이윤을 얻을 하는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그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이 계속 지금과 같은 방향으로만 발전해 간다면 결국은 구글과 같은 사이트가 돈을 벌수밖에 없을거라 생각됩니다.
그것은 필요없는 현금이 해외로 빠져나가는 결과가 될것이고 국내 검색포탈들의 손실이 될것이라 생각됩니다.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한사람의 이용자로서 기본적으로 검색을 제공하는 포탈이라면
적어도 검색에 있어서 만큼은 선택권과 자유로움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정한 웹사이트 검색을 필요로 하는데 줄줄이 이어붙은 스폰스 광고는 별 도움이 안된다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포탈들의 검색서비스 만큼은 쉽고 편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daum의 검색결과는 google의 검색결과를 끌어 옵니다.
몇 년전 다음에서 fireball이라는 자체검색엔진(?!)을 사용했을 때는,
지금처럼 그다지 많은 검색결과를 뿌려주지 못했습니다.
ㅋㅋㅋ.......
정말 웃기는 일이네요.
제 생각에는 다음의 검색결과도 아마 구글의 검색결과가 아닐까 생각되네요.
^^
검색 이야기가 나와서 재미있는 이야기 하나
눼이버의 블로그에서 인데요.
눼이버 블로그 이웃이 검색이 되지 않도록 게시를 하였답니다.
그랬더니 뇌이버는 검색이 되지 않았는데 다음에서 검색이 되었다고 화내는것을 본적이 있네요. ^^
태그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까요?
작업중인 사이트는 특정지역의 정보를 제공하는 지역사이트라서 구글같은 검색엔진들이 많이 읽어갈수록 유리하답니다.
개인적으로 신경도 안쓰는 다음이나 파란같은 사이트에서 구글의 검색결과를 가지고 들어오더군요.

기업 내부에서 돌아가는 인트라넷이라면 태그를 사용해야 하겠군요.
^^
메타태그에서 로봇을 막지 않으면 그냥 훑지 않나요? `로봇 배제'(robot exclusion)를 사용해 보시면, 로봇들 못들어 옵니다 ^^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