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하시는 스타일 몇가지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정보
개발하시는 스타일 몇가지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본문

그누보드에 붙여서 쓰려고 뭐좀 만드는중인데
두가지 질문좀 드릴려구용...
첫번째는 DB 필드에 접두어가 붙는게 나은가요?
그누보드에서 예를들면 g4_login 이라는 테이블 내에있는 필드앞에는
lo_ip / lo_datetime / lo_location / lo_url
이런식으로 lo_ 가 붙잖아요..
이렇게 접두어가 붙는 스타일을 선호하시는지 아니면 그냥
ip / datetime / location / url
이런식으로 쓰시는지 보기에는 어떤게 편한지 알고 싶네요...
-------------------------------------------------------
그리고 또 한가지
지금 세개의 프로그램이 들어가는데 덩어리가 좀 커져서
함수들을 클래스로 나누려고 합니다.
예를들면 Solution1 Solution2 Solution3 이런식으로 각각의 클래스를 나눠서
Solution1::drawAAA();
Solution2::drawBBB();
Solution3::drawCCC();
이런식으로 구분해서 쓰는게 나을지
아니면..
함수가 좀 많아지고 명확하게 구분이 되지 않더라도
그냥 drawAAA() 이런식으로 쓰는게 나을지 궁금하네요...
질문이 좀 두서가 없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당...
추천
0
0
댓글 7개

저도 필드명이나 변수명 정할 때 접두어를 쓰고 있습니다.
학교 다닐 때 헝가리안 표기법을 썼는데 그게 완전이 몸에 붙어버렸습니다.
개인적으로 구분해서 쓰는게 편한거 같아요.
함수가 많다면 관계있는 함수끼리 클래스를 만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관련 있는 함수가 10개이상 될거 같으면 클래스를 만들어쓰고 있습니다.
문자열 처리하는 함수라던지 배열 함수라던지 DB관련 함수라던지...
제가 만드는건 소규모로 운영되는 사이트들이라 굳이 그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지만 메모리 효율을 위해서 평소에 버릇을 그렇게 들이기 위해 클래스를 자주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클래스 내에서 statice 함수를 사용하신다는건지요.
이부분은 제가 이해를 잘 못했네요. ^^
학교 다닐 때 헝가리안 표기법을 썼는데 그게 완전이 몸에 붙어버렸습니다.
개인적으로 구분해서 쓰는게 편한거 같아요.
함수가 많다면 관계있는 함수끼리 클래스를 만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관련 있는 함수가 10개이상 될거 같으면 클래스를 만들어쓰고 있습니다.
문자열 처리하는 함수라던지 배열 함수라던지 DB관련 함수라던지...
제가 만드는건 소규모로 운영되는 사이트들이라 굳이 그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지만 메모리 효율을 위해서 평소에 버릇을 그렇게 들이기 위해 클래스를 자주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클래스 내에서 statice 함수를 사용하신다는건지요.
이부분은 제가 이해를 잘 못했네요. ^^

바보천사님 답변 감사합니다..
소스가 지저분해질것 같아서 어떻게 할까 고민중이었는데 큰 도움이 됐네요 ^^
한가지 더 궁금한건 지금 추가테이블이 30개가 좀 넘는데
접두어를 xx_ 처럼 두글자로 적게되면 똑같은게 여러개가 나오네요..
접두어 붙이는게 어느정도는 테이블명을 구분지어주려고 적는건데
똑같은 접두어가 여러개씩 나오면 좀 그럴것 같아서
접두어를 xxx_ 이런식으로 세자리로 적어줄까 하는데
중복이 되더라도 두글자가 나을지 아니면 좀 길어도 세글자가 나을지 궁금하네요...
소스가 지저분해질것 같아서 어떻게 할까 고민중이었는데 큰 도움이 됐네요 ^^
한가지 더 궁금한건 지금 추가테이블이 30개가 좀 넘는데
접두어를 xx_ 처럼 두글자로 적게되면 똑같은게 여러개가 나오네요..
접두어 붙이는게 어느정도는 테이블명을 구분지어주려고 적는건데
똑같은 접두어가 여러개씩 나오면 좀 그럴것 같아서
접두어를 xxx_ 이런식으로 세자리로 적어줄까 하는데
중복이 되더라도 두글자가 나을지 아니면 좀 길어도 세글자가 나을지 궁금하네요...

접두어가 두자리이거나 세자리이거나 하는건 상관 없을거 같아요.
그누보드와 제로보드가 접두어 두자리를 써왔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그거에 익숙해진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룹 프로젝트라면 함께 작업하는 사람과 협의하에 정하는게 좋고 혼자 하는 작업이라면 본인이 알아보기 쉬운 방법을 쓰는게 제일 좋은거 같아요.
저는 <input>으로 받는 폼에는 in_을 쓰고 DB에 기록 할 때는 db_혹은 dsc_ 이런식으로 씁니다.
DB 필드에 dxx_ 꼭 d를 붙이는 이유는 프로그램 내에서 배열형태로 DB를 fetch해올 때 다른 배열과 DB의 fetch 배열과 구분하기 위해서입니다.
저도 아직 적립해 가는 과정이라 어수선하긴 합니다.
회원정보는 $rdMem = mysql_fetch_array() 형태로 쓰고 예약관련 DB라면 $rdRes[]이런 형태로 많이 쓰고 있습니다.
$rdXxxx 이런 형태면 DB에서 갖어온 배열이란 뜻이죠.
변수의 경우 정수형일 때는 $iXxxx로 앞에 i를 붙이고 문자형일 때는 $sXxxx, 논리형일 때는 $bXxxx 이런 형태로 구분해서 쓰고 있습니다.
바쁘고 귀찮을 땐 아무렇게나 하긴 하지만 가급적이면 제가 쓰는 규칙을 지키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스칼라변수에서 변수형의 구분이 꼭 필요한건 아니지만 변수형의 변형으로 혹시라도 메모리에 단 1Byte의 내부단편화가 생길까하는 노파심 때문에... 학교 다닐 때부터 강박관념이죠. ^^
이건 제가 구현한게 아니고 일화가 있습니다.
옛날에 MS에서 디버그가 거의 없는 한 프로그래머가 있었는데 책상에 이상한 문자들이 적힌 종히가 있더랍니다.
관리자가 자세히 보니 변수명을 성질에 따라 이처럼 접두어를 이용해 구분해서 쓰고 있더랍니다.
그 프로그래머가 헝가리 사람이라 MS 내부적으로 헝가리안 표기법이라도 불리다 그게 외부로 알려지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
그누보드와 제로보드가 접두어 두자리를 써왔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그거에 익숙해진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룹 프로젝트라면 함께 작업하는 사람과 협의하에 정하는게 좋고 혼자 하는 작업이라면 본인이 알아보기 쉬운 방법을 쓰는게 제일 좋은거 같아요.
저는 <input>으로 받는 폼에는 in_을 쓰고 DB에 기록 할 때는 db_혹은 dsc_ 이런식으로 씁니다.
DB 필드에 dxx_ 꼭 d를 붙이는 이유는 프로그램 내에서 배열형태로 DB를 fetch해올 때 다른 배열과 DB의 fetch 배열과 구분하기 위해서입니다.
저도 아직 적립해 가는 과정이라 어수선하긴 합니다.
회원정보는 $rdMem = mysql_fetch_array() 형태로 쓰고 예약관련 DB라면 $rdRes[]이런 형태로 많이 쓰고 있습니다.
$rdXxxx 이런 형태면 DB에서 갖어온 배열이란 뜻이죠.
변수의 경우 정수형일 때는 $iXxxx로 앞에 i를 붙이고 문자형일 때는 $sXxxx, 논리형일 때는 $bXxxx 이런 형태로 구분해서 쓰고 있습니다.
바쁘고 귀찮을 땐 아무렇게나 하긴 하지만 가급적이면 제가 쓰는 규칙을 지키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스칼라변수에서 변수형의 구분이 꼭 필요한건 아니지만 변수형의 변형으로 혹시라도 메모리에 단 1Byte의 내부단편화가 생길까하는 노파심 때문에... 학교 다닐 때부터 강박관념이죠. ^^
이건 제가 구현한게 아니고 일화가 있습니다.
옛날에 MS에서 디버그가 거의 없는 한 프로그래머가 있었는데 책상에 이상한 문자들이 적힌 종히가 있더랍니다.
관리자가 자세히 보니 변수명을 성질에 따라 이처럼 접두어를 이용해 구분해서 쓰고 있더랍니다.
그 프로그래머가 헝가리 사람이라 MS 내부적으로 헝가리안 표기법이라도 불리다 그게 외부로 알려지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

바쁘실텐데 이렇게 꼼꼼히 답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되었네요...
다 맹글면 바보님 젤 먼저 보여드려야겠당 ^^
큰 도움이 되었네요...
다 맹글면 바보님 젤 먼저 보여드려야겠당 ^^

접두사를 넣을수밖에 없습니다 왜냐면!
쿼리 날릴떄 컬럼명으로만 뽑아낼수 있는것을 접두사를 넣지 않게되면 중복컬럼이 생길수가 있는데요 이떄는 테이블명.컬럼명 이렇게 코딩해야하는 상황이 발생됩니다.
즉 코딩할떄 짜증나기때문에 접두사를 넣는게 좋아욤~
쿼리 날릴떄 컬럼명으로만 뽑아낼수 있는것을 접두사를 넣지 않게되면 중복컬럼이 생길수가 있는데요 이떄는 테이블명.컬럼명 이렇게 코딩해야하는 상황이 발생됩니다.
즉 코딩할떄 짜증나기때문에 접두사를 넣는게 좋아욤~

사이트 구조가 간단해서 조인을별로 안쓴다면 컬럼명은 별로 신경 안써도 될듯해요~

아.. 조인할때 귀찮을수도 있겠군요..
미라클님 답변 감사합니다 ^^
미라클님 답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