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씨방 하나 차리는거 장난아니군요 정보
궁금 피씨방 하나 차리는거 장난아니군요
본문
제가 하는건 아니고 아는형이 하는거라 일 도와주고 있는데 장난아니군요
지방이라 그런지 그분이 컴퓨터 담당자분 실력에 대하여 무지하게 맘에안들어 하십니다.
모니터에서 dvi되고 그래픽도 dvi되는데 아날로그로 연결해 놓은점. 스피커 좌우바꿔놓았던점. 선정리 깔끔하지 않은점. 비효율적 관리프로그램으로 해놓은점..
뭐 이것저것 다 맘에안들어 하십니다 -_-
덕분(?)에 이것저것 바꾸느라 오늘도 난리법석...
50대 세팅놀이 하기가 영 쉽지않군요..
아무리 공유네트윅을 이용해도 뭐하나 깔려고 하면 과부하가 걸려서 벅벅대고...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속터지고 미스테리한 구석이 많은 윈도우계열의 쓴맛을 제대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도..
전원버튼을 다다다다닥 누르면서 지나가면 카드섹션하듯 순차적으로 윈도우 초원 뜰때의 그 쾌감이란...

자 여기서 궁굼한것 몇가지 묻고 싶습니다
피씨방 사장님이나 매니져 하시는분은 잘 아실것도 같은데.. 아무나 아시는거 하나만이라도 대충 힌트좀 주세요
1.모니터는 전기종19인치 lcd인데 앞에 강화유리가 부착된 제품입니다.(무지하게 딴딴합니다) 색이 좀 희얀(과하게 오버)한데 원래 이런가요? 그리고 스크린 닦을때 뭘로 닦는게 좋을까요?
2.겟토2005라는 피씨방관리 소프트웨어를 구매해 세팅했는데.. 특히 문제가 될만한 단점은?(요금 관련해서 좀 문제점이 많다던데..)
3.카운터pc가 피씨방 관리 프로그램 하나만 돌려놓고 띵가띵가 노는게 안타까울것 같아
인터넷 트래픽도 아낄겸 로컬 인트라넷을 구축해 놓고 용량큰 각종 온라인 설치파일을 넣어두고 다운받아 쓸 수 있게끔 하려 하는데 (임대한 전용회선의 속도 한계상...)
임시로 제 pc에서 테스트 해보다가 이상한걸 발견했네요.
제 하드에 윈도우apm깔고 그누보드4 깔고 대략 100메가짜리 파일을 업로드하고 다운로드 해보니
속도가 상당히 빠르더군요. 물론 같은하드에서 같은하드로 다운로드니 20MB/s 정도로 빠릅니다.
리얼 아이피로 다운받으니 속도가 1.5MB/s 정도로 확 떨어지더군요
자세히 보니 리얼 아이피로 받을때는 공유기의 1번포트(pc와 연결되어있슴) 가 마구 깜빡입니다. 데이터를 오간단 얘기죠.
공유기와 연결된 adsl모뎀은 가만히 있습니다.
내부로는 데이터가 안간단 애기인데
공유기 때문인가요?
요점은, 어째서 http://리얼 인터넷아이피/test.zip 을 다운받을때는 느리고.. 받는도중 공유기 트래픽램프도 마구 깜빡이고(모뎀은 쉬고)..
http://localhost/test.zip 이나 http://192.168.1.2/test.zip (공유기로 인한 내부아이피) 로 받을때는 매우 빠르고 공유기도 쉬는지요..
80포트는 물론 풀어놨습니다.
이게
회선---라우터---대형허브4대----pc들(엄청많음)
뭐 이런구조를 가지는 피씨방에서 적용했을경우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즉,dnip서비스를 써서 뭐 하나의 도메인을 연결해놨을때 전자와 같은 결과가 나올까요?(1.5MB/s 면 아무래도 100mbps 랜속도보다도 턱없이 낮은 속도니요..)
하여튼 설명하기가 좀 애매합니다 ㅡ.ㅡ
이상 장황한 질문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
0
0
댓글 6개
아래 참고하십시오.
1.모니터는 전기종19인치 lcd인데 앞에 강화유리가 부착된 제품입니다.(무지하게 딴딴합니다) 색이 좀 희얀(과하게 오버)한데 원래 이런가요? 그리고 스크린 닦을때 뭘로 닦는게 좋을까요?
-> 강화유리로 모니터에 붙여 쓰면 위 현상이 나타납니다.
-> 스크린 닦을때는 부드러운 수건이나 헝겊을 물에적셔서 완전시 물기를 짜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부드러운게 아니면 강화유리에 아주 미세한 흠집이 계속 쌓이게 되어 나중에는 반사가 심해집니다.)
2.겟토2005라는 피씨방관리 소프트웨어를 구매해 세팅했는데.. 특히 문제가 될만한 단점은?(요금 관련해서 좀 문제점이 많다던데..)
-> 관리프로그램은 국내에선 게토 vs 넷커맨더의 싸움이라도 볼 수 있습니다.
양쪽 다 장/단점은 있습니다..
그러나 제가 이미 사용해본 바로는 좀더 강력한 기능과 인터넷환경의 매출현황등을 파악할 수 있는 넷커맨더가 낫지 않을까? 생각됩니다..(넷커맨더는 무료입니다. 단, 카드리더기는 유료입니다.)
3.카운터pc가 피씨방 관리 프로그램 하나만 돌려놓고 띵가띵가 노는게 안타까울것 같아
인터넷 트래픽도 아낄겸 로컬 인트라넷을 구축해 놓고 용량큰 각종 온라인 설치파일을 넣어두고 다운받아 쓸 수 있게끔 하려 하는데 (임대한 전용회선의 속도 한계상...)
임시로 제 pc에서 테스트 해보다가 이상한걸 발견했네요.
제 하드에 윈도우apm깔고 그누보드4 깔고 대략 100메가짜리 파일을 업로드하고 다운로드 해보니
속도가 상당히 빠르더군요. 물론 같은하드에서 같은하드로 다운로드니 20MB/s 정도로 빠릅니다.
리얼 아이피로 다운받으니 속도가 1.5MB/s 정도로 확 떨어지더군요
자세히 보니 리얼 아이피로 받을때는 공유기의 1번포트(pc와 연결되어있슴) 가 마구 깜빡입니다. 데이터를 오간단 얘기죠.
공유기와 연결된 adsl모뎀은 가만히 있습니다.
내부로는 데이터가 안간단 애기인데
공유기 때문인가요?
요점은, 어째서 http://리얼 인터넷아이피/test.zip 을 다운받을때는 느리고.. 받는도중 공유기 트래픽램프도 마구 깜빡이고(모뎀은 쉬고)..
http://localhost/test.zip 이나 http://192.168.1.2/test.zip (공유기로 인한 내부아이피) 로 받을때는 매우 빠르고 공유기도 쉬는지요..
80포트는 물론 풀어놨습니다.
=> 실제 리얼ip 로 주소를 입력하고 다운받으면 당연히 속도가 느려집니다.
실제로 다운받는 컴퓨터가 내부랜에 있더라도 그렇습니다.
이유는,
실제ip 를 입력하고 다운을 시도하면(혹은 접속등) 외부(wan)로 나가서 입력한 ip에 대한 정보를 찾으며, 파일 다운시에도 외부망으로 나갔다가 다시 내부로 들어옵니다. 그래서 공유기의 status led 가 계속 깜빡이는 것입니다.
제가 추천하는 환경이라면, 카운터pc에 공유 폴더를 만들어서 중요한 게임이나 각종 패치등의 파일을 여기에 넣고 lan 상에서 바로 설치하는 것도 좋으며, 과도한 트래픽이 염려되면 복사해서 설치하는 방법이 가장 좋습니다.
=> 근데 pc방에 어떤 회선을 쓰길래 공유기나 adsl 모뎀이 있다는건지 이해가 안가는군요..
지방이 어느 지역인지는 모르나, 요즘은 왠만하면 데이콤의 매트로 이더넷이나, 다른 회사의 매트로 이더넷이 대부분 들어갑니다..(시가지에서 멀리 떨어진 경우 제외)
매트로 이더넷을 사용하면 일반 전용회선인 T1/E1 보다 최소 5배~최대 10배 이상의 속도를 사용하면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요금도 T1/E1 보다 저렴합니다..(중소기업 할인 40% 받는다는 기준으로 해도 저렴합니다.)
또한 매트로 이더넷은 광백본이 근처에 분배기에서 바로 나오므로 라우터 구매(혹은 임대)할 필요가 없습니다.
비용 절감의 효과도 있습니다.
보통 시스코 2500 시리즈 라우터 1달 임대비용이 몇 만원 됩니다. 1년이면 무시 못하죠.
시스코 말고라도 국내대표라 할만한 한아/쌍용 라우터를 사용해도 시스코보다 조금 저렴할 뿐입니다.
(라우터 셋팅할 사람이 있다면 중고 라우터 한아/쌍용 을 구매해서 사용하는것도 비용 절감이 됩니다. 물론 관리도 직접해야 하지만...라우터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손댈일이 업습니다.)
=> PC방에 허브가 4개라 했고, 내부 랜 트래픽이 심하다고 하셨는데...
그럼 문제가 심각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대형 PC방의 경우는 아래 랜구성도에 따라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PC방 뿐만 아니라 기간망이나 백본에서도 그렇습니다.)
1. 메인 스위치(메인 허브)는 3COM 16XX 시리즈로 메인 역할을 맡기고, 나머지 3대의 허브도 싸구려(이름없는 대만산등)가 아닌 자동 트래픽 스위칭기능이 있는(이 기능에 따라 허브 가격이 2배이상 납니다.)허브를 사용합니다.
이렇게 구성하면 내부 트래픽은 전혀 염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2. UTP 케이블은 항상 최적의 속도를 낼 수 있는 국내대표라 할 수 있는 LG 걸로 사용합니다.
3. 허브 <=> PC간의 NIC 포트에 접점상태를 가장 좋게 유지할 수 있도록 RJ-45 JACK 은 AMP 제품을 사용합니다.
4. 기타 내부 랜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UTP 케이블과 전기선이나 기타 다른 전선등은 같이 묶어서 사용하지 않습니다.
조금이라도 참고가 되길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1.모니터는 전기종19인치 lcd인데 앞에 강화유리가 부착된 제품입니다.(무지하게 딴딴합니다) 색이 좀 희얀(과하게 오버)한데 원래 이런가요? 그리고 스크린 닦을때 뭘로 닦는게 좋을까요?
-> 강화유리로 모니터에 붙여 쓰면 위 현상이 나타납니다.
-> 스크린 닦을때는 부드러운 수건이나 헝겊을 물에적셔서 완전시 물기를 짜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부드러운게 아니면 강화유리에 아주 미세한 흠집이 계속 쌓이게 되어 나중에는 반사가 심해집니다.)
2.겟토2005라는 피씨방관리 소프트웨어를 구매해 세팅했는데.. 특히 문제가 될만한 단점은?(요금 관련해서 좀 문제점이 많다던데..)
-> 관리프로그램은 국내에선 게토 vs 넷커맨더의 싸움이라도 볼 수 있습니다.
양쪽 다 장/단점은 있습니다..
그러나 제가 이미 사용해본 바로는 좀더 강력한 기능과 인터넷환경의 매출현황등을 파악할 수 있는 넷커맨더가 낫지 않을까? 생각됩니다..(넷커맨더는 무료입니다. 단, 카드리더기는 유료입니다.)
3.카운터pc가 피씨방 관리 프로그램 하나만 돌려놓고 띵가띵가 노는게 안타까울것 같아
인터넷 트래픽도 아낄겸 로컬 인트라넷을 구축해 놓고 용량큰 각종 온라인 설치파일을 넣어두고 다운받아 쓸 수 있게끔 하려 하는데 (임대한 전용회선의 속도 한계상...)
임시로 제 pc에서 테스트 해보다가 이상한걸 발견했네요.
제 하드에 윈도우apm깔고 그누보드4 깔고 대략 100메가짜리 파일을 업로드하고 다운로드 해보니
속도가 상당히 빠르더군요. 물론 같은하드에서 같은하드로 다운로드니 20MB/s 정도로 빠릅니다.
리얼 아이피로 다운받으니 속도가 1.5MB/s 정도로 확 떨어지더군요
자세히 보니 리얼 아이피로 받을때는 공유기의 1번포트(pc와 연결되어있슴) 가 마구 깜빡입니다. 데이터를 오간단 얘기죠.
공유기와 연결된 adsl모뎀은 가만히 있습니다.
내부로는 데이터가 안간단 애기인데
공유기 때문인가요?
요점은, 어째서 http://리얼 인터넷아이피/test.zip 을 다운받을때는 느리고.. 받는도중 공유기 트래픽램프도 마구 깜빡이고(모뎀은 쉬고)..
http://localhost/test.zip 이나 http://192.168.1.2/test.zip (공유기로 인한 내부아이피) 로 받을때는 매우 빠르고 공유기도 쉬는지요..
80포트는 물론 풀어놨습니다.
=> 실제 리얼ip 로 주소를 입력하고 다운받으면 당연히 속도가 느려집니다.
실제로 다운받는 컴퓨터가 내부랜에 있더라도 그렇습니다.
이유는,
실제ip 를 입력하고 다운을 시도하면(혹은 접속등) 외부(wan)로 나가서 입력한 ip에 대한 정보를 찾으며, 파일 다운시에도 외부망으로 나갔다가 다시 내부로 들어옵니다. 그래서 공유기의 status led 가 계속 깜빡이는 것입니다.
제가 추천하는 환경이라면, 카운터pc에 공유 폴더를 만들어서 중요한 게임이나 각종 패치등의 파일을 여기에 넣고 lan 상에서 바로 설치하는 것도 좋으며, 과도한 트래픽이 염려되면 복사해서 설치하는 방법이 가장 좋습니다.
=> 근데 pc방에 어떤 회선을 쓰길래 공유기나 adsl 모뎀이 있다는건지 이해가 안가는군요..
지방이 어느 지역인지는 모르나, 요즘은 왠만하면 데이콤의 매트로 이더넷이나, 다른 회사의 매트로 이더넷이 대부분 들어갑니다..(시가지에서 멀리 떨어진 경우 제외)
매트로 이더넷을 사용하면 일반 전용회선인 T1/E1 보다 최소 5배~최대 10배 이상의 속도를 사용하면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요금도 T1/E1 보다 저렴합니다..(중소기업 할인 40% 받는다는 기준으로 해도 저렴합니다.)
또한 매트로 이더넷은 광백본이 근처에 분배기에서 바로 나오므로 라우터 구매(혹은 임대)할 필요가 없습니다.
비용 절감의 효과도 있습니다.
보통 시스코 2500 시리즈 라우터 1달 임대비용이 몇 만원 됩니다. 1년이면 무시 못하죠.
시스코 말고라도 국내대표라 할만한 한아/쌍용 라우터를 사용해도 시스코보다 조금 저렴할 뿐입니다.
(라우터 셋팅할 사람이 있다면 중고 라우터 한아/쌍용 을 구매해서 사용하는것도 비용 절감이 됩니다. 물론 관리도 직접해야 하지만...라우터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손댈일이 업습니다.)
=> PC방에 허브가 4개라 했고, 내부 랜 트래픽이 심하다고 하셨는데...
그럼 문제가 심각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대형 PC방의 경우는 아래 랜구성도에 따라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PC방 뿐만 아니라 기간망이나 백본에서도 그렇습니다.)
1. 메인 스위치(메인 허브)는 3COM 16XX 시리즈로 메인 역할을 맡기고, 나머지 3대의 허브도 싸구려(이름없는 대만산등)가 아닌 자동 트래픽 스위칭기능이 있는(이 기능에 따라 허브 가격이 2배이상 납니다.)허브를 사용합니다.
이렇게 구성하면 내부 트래픽은 전혀 염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2. UTP 케이블은 항상 최적의 속도를 낼 수 있는 국내대표라 할 수 있는 LG 걸로 사용합니다.
3. 허브 <=> PC간의 NIC 포트에 접점상태를 가장 좋게 유지할 수 있도록 RJ-45 JACK 은 AMP 제품을 사용합니다.
4. 기타 내부 랜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UTP 케이블과 전기선이나 기타 다른 전선등은 같이 묶어서 사용하지 않습니다.
조금이라도 참고가 되길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아주 많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마지막 인터넷과 adsl.. 공유기...에 대한 질문은 피씨방 환경 아닌 일단 저희집 제pc에서 테스트 해봤는데 이렇더라.. 하는 뭐 그런얘기였습니다
오늘밤(자정 지났으니 어제군요.. 아무튼) 테스트를 해봤었는데
dnip도메인이건 pc에 할당된ip건 속도가 0.5MB/s 정도더군요 -_-
이건 왜 이런건지 알 수 없네요
그냥 사이트는 장난감용으로 돌리고 윈도우 폴더공유기능을 이용해야겠습니다
회선은 KT이고 다운20mbps 업 50mbps 정도의 속도를 내는 임대회선입니다.
라우터는 어디껀지 못봤고 kt로고가 새겨져 있고(kt가 만든건 아닐테죠)
허브들은 3com입니다
안그래도 게토의 좀 답답한 부분(각종 상황에서의 손님 요금계산,정산)이 많아 오픈도 하기전에 많은 좌절을 느끼고 있답니다.
저라면 넷커맨드를 썼을것 같은데.. 업자분 선택이니 뭐 어쩔 수 있나요..--;
아주 많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마지막 인터넷과 adsl.. 공유기...에 대한 질문은 피씨방 환경 아닌 일단 저희집 제pc에서 테스트 해봤는데 이렇더라.. 하는 뭐 그런얘기였습니다
오늘밤(자정 지났으니 어제군요.. 아무튼) 테스트를 해봤었는데
dnip도메인이건 pc에 할당된ip건 속도가 0.5MB/s 정도더군요 -_-
이건 왜 이런건지 알 수 없네요
그냥 사이트는 장난감용으로 돌리고 윈도우 폴더공유기능을 이용해야겠습니다
회선은 KT이고 다운20mbps 업 50mbps 정도의 속도를 내는 임대회선입니다.
라우터는 어디껀지 못봤고 kt로고가 새겨져 있고(kt가 만든건 아닐테죠)
허브들은 3com입니다
안그래도 게토의 좀 답답한 부분(각종 상황에서의 손님 요금계산,정산)이 많아 오픈도 하기전에 많은 좌절을 느끼고 있답니다.
저라면 넷커맨드를 썼을것 같은데.. 업자분 선택이니 뭐 어쩔 수 있나요..--;
간만에 보는 현문현답입니다. 잘 봤습니다. 짝짝짝~~
컥 돈 마니들껀데요
^^ 고생 많이 하셨겠네요.
+게토와 넷커맨드 참 죻죠, 그런데 컴퓨터를 잘 다루시는 분들은 넷커맨드가 좋다고 하시는데, pc방 사장님들 컴퓨터의 초보분들은 게토가 좋다고 하더군요. ^^ 내부적인 미묘한 차이로 인해서 pc방 사장님들은 그래도 게토가 편하다고 하니, 아시는 분이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이라면 게토로 쓰게 하세요. A/S도 유료프로그램이라 잘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허브는 꼭 좋은거 쓰셔야 합니다.
+이건 참고로... 저 아시는 분도 pc방을 하셔서. 제가 도와드렸었는데.
현재 쓰시는 전용선 말고, 별도의 임대선(일반 메가패스, 두루넷등 등)을 하나 더 신청하셔서
프로그램 다운로때 쓰셔도 좋고(전용선이 느릴경우 유동아이피선이 훨씬 빠름), 그리고 ip공유기를 연결해서
pc방 한쪽 벽면의 컴퓨터 몇대만 ip공유선으로 연결해 놓으면 좋은 점이 많습니다.
일단 일반인들에게는 무료이면서 pc방에는 유료인 게임을 항상 무료로 쓰실 수 있다는 점입니다.
^^
귀찮은 점도 있겠지만, 의외로 효과를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게토와 네트워크 연결은 안되지만, 그냥 해당 pc자리를 시작시켜놓고 손님 나가실때 중지해서 시간계산하면 되기도 합니다 ^^
요즘 한가지 게임만 하다가 가시는 분들이 많아서, 이런 온라인 게임 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오히려 처음 두대만 해놓았다가 요즘은 10정도 그렇게 해놓았다고 하더군요.
온라인 게임 전용석이라 해야하나 ^^, 그리고 학생들이 우루루 수업끝나고 일시간 밀려들때 그 자리가 딱이라고 하더군요, ^^
참 그런자리에는 화상채팅카메라를 놓으면, 저녁에는 어른들이 화상채팅하며 즐기기도 하기 때문에 오히려 더 인기라고 하더군요.
속도도 빠르니 까요 ^^
+게토와 넷커맨드 참 죻죠, 그런데 컴퓨터를 잘 다루시는 분들은 넷커맨드가 좋다고 하시는데, pc방 사장님들 컴퓨터의 초보분들은 게토가 좋다고 하더군요. ^^ 내부적인 미묘한 차이로 인해서 pc방 사장님들은 그래도 게토가 편하다고 하니, 아시는 분이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이라면 게토로 쓰게 하세요. A/S도 유료프로그램이라 잘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허브는 꼭 좋은거 쓰셔야 합니다.
+이건 참고로... 저 아시는 분도 pc방을 하셔서. 제가 도와드렸었는데.
현재 쓰시는 전용선 말고, 별도의 임대선(일반 메가패스, 두루넷등 등)을 하나 더 신청하셔서
프로그램 다운로때 쓰셔도 좋고(전용선이 느릴경우 유동아이피선이 훨씬 빠름), 그리고 ip공유기를 연결해서
pc방 한쪽 벽면의 컴퓨터 몇대만 ip공유선으로 연결해 놓으면 좋은 점이 많습니다.
일단 일반인들에게는 무료이면서 pc방에는 유료인 게임을 항상 무료로 쓰실 수 있다는 점입니다.
^^
귀찮은 점도 있겠지만, 의외로 효과를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게토와 네트워크 연결은 안되지만, 그냥 해당 pc자리를 시작시켜놓고 손님 나가실때 중지해서 시간계산하면 되기도 합니다 ^^
요즘 한가지 게임만 하다가 가시는 분들이 많아서, 이런 온라인 게임 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오히려 처음 두대만 해놓았다가 요즘은 10정도 그렇게 해놓았다고 하더군요.
온라인 게임 전용석이라 해야하나 ^^, 그리고 학생들이 우루루 수업끝나고 일시간 밀려들때 그 자리가 딱이라고 하더군요, ^^
참 그런자리에는 화상채팅카메라를 놓으면, 저녁에는 어른들이 화상채팅하며 즐기기도 하기 때문에 오히려 더 인기라고 하더군요.
속도도 빠르니 까요 ^^
참 참
이왕 장사 잘 되려고, 사업하시는거 이니, 좀더 돈을 쓰셔서 웰빙에 신경쓰세요.
공기정화기는 예전에 필수이지만
지금은 산소발생기가 꼭 필요합니다.
광고할때도 그냥 최신형 뭐 이런 것보다, 산소발생기가 있어서 오히려 더 맑은 산소를 마음껏 마실 수 있는 공간이라는 자연친화적인 광고를 하세요.
부모들도 웰빙이라 하면, 다른 pc방보다 더 그나마 안심하고, 어른들이 산소발생기 있다고 하면 굉장히 좋아합니다.
그리고 컴퓨터 앞에는 본 pc방에는 산소가 발생하여 농도 몇 %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써있으면
괜시리 건강에 좋다고 하니까 무척 단골이 많아집니다.
이왕 장사 잘 되려고, 사업하시는거 이니, 좀더 돈을 쓰셔서 웰빙에 신경쓰세요.
공기정화기는 예전에 필수이지만
지금은 산소발생기가 꼭 필요합니다.
광고할때도 그냥 최신형 뭐 이런 것보다, 산소발생기가 있어서 오히려 더 맑은 산소를 마음껏 마실 수 있는 공간이라는 자연친화적인 광고를 하세요.
부모들도 웰빙이라 하면, 다른 pc방보다 더 그나마 안심하고, 어른들이 산소발생기 있다고 하면 굉장히 좋아합니다.
그리고 컴퓨터 앞에는 본 pc방에는 산소가 발생하여 농도 몇 %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써있으면
괜시리 건강에 좋다고 하니까 무척 단골이 많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