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인지도 있는 오픈 소스는 xe와 gnu 등이 있지욤!!(개인 생각) 정보
현재 인지도 있는 오픈 소스는 xe와 gnu 등이 있지욤!!(개인 생각)-
CrazySnoopy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회원게시물 (112.♡.♡.194)
- 1,610

본문
오픈 소스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원래 xe를 관심 있게 보았다가 에이젼시 잠깐 근무하면서 그누보드를 알게 되었습니다.
각설하고
최근에 xe가 부분 상용화하여 어느정도 성공적인 결과를 거두었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기존에 xe를 기반으로 상용 배포하던 분들이 오픈 시장에 나오면서
유명한 xe 개발업체가 오픈시장에서 경쟁력을 잃는 모습을 보며
일장일단이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xe는 현재 nhn에 후원을 받으며 많은 개발자들이 많은 노력을 기울기고 있습니다.
개발입장에 후원을 받는 다는 것은 안정적인 개발이 지속 가능하게 합니다.
이번에 gnu의 법인화는 좋은 계기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gnu에 부분 상용화를 기획 하고 있는 것은 xe의 어느정도 모델이 된 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앞서 저는 gnu가 좀더 스킨이외에 개발자들과 조금더 커뮤니케이션이 있어
자체 핵심 모듈이 더욱 견고해지고 코드의 간결화와 상호협동 작업이 수월 할 수 있는 작업이 선행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gnu 법인화가 되어서 더욱 박차를 가하시겠지만, 좋은 프로그램일 수록 많은 개발자들과의 피드백을 통한
발전이 있어야한다고 거듭 강조하고 싶습니다.(xe, wordpress는 한명이 개발하여 발전하지 않았습니다.)
wordpress의 참여도를 보아도 정말 훌륭한 무료 기능이 많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nhn에서 요즘 눈에 띄게 하는 활동이 개발자들과 소통 공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체 프로젝트 페이지를 만들어서 충분히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우리 gnu에서도 이런 부분이 개선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냥 너무 두서없이 이리저리 글을 비벼서 쓴 글이라서 간단하게 정리하겠습니다.
1. gnu의 부분 상용화는 아직은 이른 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2. gnu 핵심 부분을 많은 개발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법인화가 되어서 회사 재산임이 분명하지만 오픈 소스이며 개방적인 라이센스로 많은 이들이 혜택을 보고
있으며, 이것은 계속 발전해야 생명력을 연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현재 스킨 부분에서 많은 개발자 분들이 참여 하여 활동 하시지만, gnu의 핵심 모듈에 대해서 같이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여 언급한 부분 입니다.
4. 부분 상용화가 된다면 스킨쪽에 일부 개발자들에게 공유하는 의욕을 꺽을 수 도 있다고 조심스럽게 생각해 봅니다. 자신이 노력한 결과물을 무료로 공개하는데 일부에서는 충분히 상품가치가 있어서 상용화 한다면 일부 독식 당하며, 무료 배포의 의지는 약해질 수 있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아직 시기 상조라고 생각합니다.
5. gnu는 분명히 개인의 것이라기 보다 온라인에서 활동하고 있는 많은 이들에게 좋은 선물입니다.
---------------------------------------------------------------------------------------------
글을 쓴 이유 : ㅜ.ㅜ 잠시 업무시간에 접속을 못할 꺼라고 생각하니 많이 서운해서 그동안 생각했던 것을
정리해서 제 생각을 공유하고 싶었어요.(절대 커뮤니티에서 농담글을 못써서 이러는 것이
아니예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궁금한 점은 소스를 보면 누가 추가 도움을 주었다고 보안이라 일부 소스들에 써있는데요
그외는 여기 관리자님이 혼자 다 만드신 것인지 평소에 궁금했어요!!
추천
0
0
댓글 8개
xe는 안정화버전 나오기 전까진 계속 땅팔겁니다.
개인적으로 xe의 삽질은 nhn 덕분이라고 추측하고있습니다.
그누는 영카트라는 쇼핑몰도있고..
이미 개별개발자별로 빌더단위의 상용모델이 존재합니다.
개별판매중인 유료스킨도있구요...
유료모델이 더 생긴다고 크게 영향은 받지 않을겁니다..
개인적으로 xe의 삽질은 nhn 덕분이라고 추측하고있습니다.
그누는 영카트라는 쇼핑몰도있고..
이미 개별개발자별로 빌더단위의 상용모델이 존재합니다.
개별판매중인 유료스킨도있구요...
유료모델이 더 생긴다고 크게 영향은 받지 않을겁니다..

배추빌더도 있습니다.
우왕ㅋ굳ㅋ
우왕ㅋ굳ㅋ

오잉!! 저도 영카드나 다른 빌더 존재는 알고 있는데 제가 말씀드린 요는
gnu를 더욱 확장성 좋게 개발자들과 연구하거나 장점을 더욱 어필할 수 있도록 같이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씀드린 거예용.
앞에도 적었는데 xe를 상용화한 업체에서 오픈경쟁에 들어가서 희비가 엇갈린 경우도 있고,
단기적인 가시적 효과보다는 gnu를 더욱 같이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여 적은 글입니다
헤헤헤헤 그냥 제 생각이 그렇다구용
gnu를 더욱 확장성 좋게 개발자들과 연구하거나 장점을 더욱 어필할 수 있도록 같이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씀드린 거예용.
앞에도 적었는데 xe를 상용화한 업체에서 오픈경쟁에 들어가서 희비가 엇갈린 경우도 있고,
단기적인 가시적 효과보다는 gnu를 더욱 같이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여 적은 글입니다
헤헤헤헤 그냥 제 생각이 그렇다구용

그리고 WP 말씀하시는데, 잘 살펴보세요. 무료로 쓸만한 plug in 은 몇개 안되고 전부다 유료 입니다.
저도 WP plugin 돈주고 몇번 사서 썼습니다. 디자인 실증나면 또 다른걸로 바꾸고. 돈주고 사서 써도 돈 하나도 안 아깝습니다. 값어치를 하니까.
우선 사용자들에게 오픈소스라고 던져주고, 사용자들이 돈을 쓰게 유도해야 합니다. 사용자도 질좋은 plugin 사서 쓰는거 안 아까워 합니다. 저도 제맘에 맞는 그누보드 plugin 이 있었으면, 그누보드를 썼을 것 같습니다. 마땅한 plugin 이 없어서 그누보드 사용을 포기하고 직접 다 만들었는데, 웹사이트 혼자 다 직접 만드느냐고, 정말 힘들었었습니다.
금전적으로도 엄청난 손해를 봤고. (시간낭비 때문에) 10만원, 20만원짜리 plugin 하나 있었으면 얼마나 좋았겠습니까? 사이트 만들기전 배추빌더/탑빌더 라는게 있는줄만 알았어도 정말 좋았을 것 같네요.
저도 WP plugin 돈주고 몇번 사서 썼습니다. 디자인 실증나면 또 다른걸로 바꾸고. 돈주고 사서 써도 돈 하나도 안 아깝습니다. 값어치를 하니까.
우선 사용자들에게 오픈소스라고 던져주고, 사용자들이 돈을 쓰게 유도해야 합니다. 사용자도 질좋은 plugin 사서 쓰는거 안 아까워 합니다. 저도 제맘에 맞는 그누보드 plugin 이 있었으면, 그누보드를 썼을 것 같습니다. 마땅한 plugin 이 없어서 그누보드 사용을 포기하고 직접 다 만들었는데, 웹사이트 혼자 다 직접 만드느냐고, 정말 힘들었었습니다.
금전적으로도 엄청난 손해를 봤고. (시간낭비 때문에) 10만원, 20만원짜리 plugin 하나 있었으면 얼마나 좋았겠습니까? 사이트 만들기전 배추빌더/탑빌더 라는게 있는줄만 알았어도 정말 좋았을 것 같네요.

그누보드 스킨들 유료화 해야 합니다. 우선 무료스킨들 부터 싹다 삭제해 버리고 모두 유료화 해야 합니다. 개발자 분들이 너무 어렵습니다.
배추빌더, 참 좋은 빌더지요. 그런데 다른 Top School 이라던지 다른 빌더도 그렇지만, 제값을 못 받습니다. 빌더 개발자들이 말라죽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무료자료가 너무 많이 넘쳐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무료자료들만 그누보드 커뮤니티에서 싹다 없애 버려도, 배추빌더 하나당 최소 10만원씩 받아도 아무도 문제 삼지 않습니다.
그런데 너무 속상합니다. 배추빌더, TopSchool, 다른 빌더들, 얼마나 잘만들어 놨습니까? 저런 헐값이나 무료로 공유될만한 자료가 아닙니다.
그리고 ajax 나 뱅뱅이 돌리는 XE 는 개나 줘버리세요. 점유율 3%. 네이버 아니였으면 XE 시장 점유율 지금 1%도 안될듯.
오해있으실까봐 그러는데, 저 개발자도 아니고, 웹디도 아니고, 그냥 일반 사용자/의뢰자 입니다.
배추빌더, 참 좋은 빌더지요. 그런데 다른 Top School 이라던지 다른 빌더도 그렇지만, 제값을 못 받습니다. 빌더 개발자들이 말라죽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무료자료가 너무 많이 넘쳐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무료자료들만 그누보드 커뮤니티에서 싹다 없애 버려도, 배추빌더 하나당 최소 10만원씩 받아도 아무도 문제 삼지 않습니다.
그런데 너무 속상합니다. 배추빌더, TopSchool, 다른 빌더들, 얼마나 잘만들어 놨습니까? 저런 헐값이나 무료로 공유될만한 자료가 아닙니다.
그리고 ajax 나 뱅뱅이 돌리는 XE 는 개나 줘버리세요. 점유율 3%. 네이버 아니였으면 XE 시장 점유율 지금 1%도 안될듯.
오해있으실까봐 그러는데, 저 개발자도 아니고, 웹디도 아니고, 그냥 일반 사용자/의뢰자 입니다.

헐 이야기가 스킨으로 자꾸 흘러가는 군욤 'ㅁ';;;; !!
다양한 의견들을 같이 나눌 수 있어서 매우 기쁩니다.
하지만 저는 스킨보다는 gnu 자체를 협업을 위한 재정비를 말씀드리는 것이고
유료가 나쁘다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조금 이르지 않나 하는 그냥 제 생각을 적어보았습니다.
다양한 의견들을 같이 나눌 수 있어서 매우 기쁩니다.
하지만 저는 스킨보다는 gnu 자체를 협업을 위한 재정비를 말씀드리는 것이고
유료가 나쁘다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조금 이르지 않나 하는 그냥 제 생각을 적어보았습니다.

해외사례를 보면 (드루팔, Wp, 줌라, 마젠토, 오픈카트 등등..) Core 가 유료였던 적은 없고, plugin, module (한국식으로 말하면 스킨/빌더 죠) 가 유료입니다.
유료스킨이 왜 웹디에게 좋은가? asp 보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겁니다. php 는 무료니까 단가가 낮아지죠? asp 가 뭐 잘났다고 단가가 왜 더 높나요? 유료니까 단가를 비싸게 때릴수 있는겁니다.
유료스킨은 조금이른게 아니라 아주 많이 늦은거죠. 무료스킨때문에 능력있는 분들이 허덕입니다. 돈이 안벌리니 웹개발하고 싶은 사람도 없습니다. 한국 IT 에 아주 않좋은 현상입니다.
개발자들이 돈을 많이 벌어야 core 에 대한 contribute 을 할텐데 (예를 들자면 그누보드 DTD) 돈이 없으니 그누보드 개발에 참여할 여력도 안생깁니다. 그래서 결국 이 상황이 조금만 더 유지되면, 그누보드도 망하고, 개발자도 망하고, 다 망합니다.
WP 가 아직 많이 안 알려져서 그렇지 눈치빠른 사용자들이 WP 에 대해 알게 되면 다 그리고 옮겨갈겁니다. (WP 로 웹사이트 구축하는게 그누보드 보다는 쉽지요.)
아주 심각한 문제인데, 아무도 인식을 못하는 것 뿐 입니다. 조금더 방치하면 다 굶어 죽습니다. 오픈카트 한글화 100% 되봐요. 누가 영카트 사겠습니까?
뭐 제 문제는 아니지만, 3자 입장에서 정말 답답하고 안타깝네요.
유료스킨이 왜 웹디에게 좋은가? asp 보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겁니다. php 는 무료니까 단가가 낮아지죠? asp 가 뭐 잘났다고 단가가 왜 더 높나요? 유료니까 단가를 비싸게 때릴수 있는겁니다.
유료스킨은 조금이른게 아니라 아주 많이 늦은거죠. 무료스킨때문에 능력있는 분들이 허덕입니다. 돈이 안벌리니 웹개발하고 싶은 사람도 없습니다. 한국 IT 에 아주 않좋은 현상입니다.
개발자들이 돈을 많이 벌어야 core 에 대한 contribute 을 할텐데 (예를 들자면 그누보드 DTD) 돈이 없으니 그누보드 개발에 참여할 여력도 안생깁니다. 그래서 결국 이 상황이 조금만 더 유지되면, 그누보드도 망하고, 개발자도 망하고, 다 망합니다.
WP 가 아직 많이 안 알려져서 그렇지 눈치빠른 사용자들이 WP 에 대해 알게 되면 다 그리고 옮겨갈겁니다. (WP 로 웹사이트 구축하는게 그누보드 보다는 쉽지요.)
아주 심각한 문제인데, 아무도 인식을 못하는 것 뿐 입니다. 조금더 방치하면 다 굶어 죽습니다. 오픈카트 한글화 100% 되봐요. 누가 영카트 사겠습니까?
뭐 제 문제는 아니지만, 3자 입장에서 정말 답답하고 안타깝네요.

많은 인원이 달라붙고, 발전적인 의견을 나눠봤으면 좋겠습니다. ^^
이쪽은 전문가가 아니지만 어떤 말씀을 하시는지는 대충 알겠습니다.
그런 얘기를 나눠 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면 꼭 한 번 참석해보고 싶네요...
cshop님의 말씀에도 일부 공감을 합니다.
그누보드가 워드프레스에 0순위 대항마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쪽은 전문가가 아니지만 어떤 말씀을 하시는지는 대충 알겠습니다.
그런 얘기를 나눠 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면 꼭 한 번 참석해보고 싶네요...
cshop님의 말씀에도 일부 공감을 합니다.
그누보드가 워드프레스에 0순위 대항마가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