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10년을 책임질 언어 (젊은분들은 필독) 정보
향후 10년을 책임질 언어 (젊은분들은 필독)
본문
1세대 언어 (HTML) 1991 - 1999
2세대 언어 (LAMP) 2000 - 2009 (CGI 로 시작해서 PHP, 파이썬, RoR 등)
3세대 언어 Node.js 2010 - 현재
저도 두달전쯤인가, github 에서 Node.js 채팅프로그램 하나 가져다 localhost 에서 설치해봤는데, 그냥 직감적으로 이게 미래구나 싶었었습니다.
Node.js 에 관한 비슷한 내용의 블로그글들을 자주 접하게 되네요. (취미가 웹서핑, 글 읽기 입니다.)
몇가지 넘어야 할 과제가 남아 있지만, 구글에서 밀어주고 있는거고, (그거야 뭐 파이썬도 마찬가지지만) 앞으로 소/중 규모 웹사이트들은 모두 Node.js 세상이 되겠네요. 대형 사이트, 컨텐츠 위주 사이트는 당연히 django 가 가장 효율적이니 가장 유력해 보이고...(뭐 굳이 구글이 밀어주고 있는 부분을 보지 않더라도...)
웹프로그래밍의 역사, 향후 전망등을 보니, 참 재미있습니다.
젊은분들은 진로선택만 잘하면 엄청난 기회가 생기게 되는 것 같습니다.
추천
0
0
댓글 25개

늘 새로운것이 나오네요 ㅎㅎ 배움엔 끝이 없습니다 ㅎㅎ 좋은정보감사요

www 가 문서화, DB화, 그리고 이제 application 화 되어가는 과정인 것 같습니다.
www 가 출범되기 전부터 인터넷을 사용해오던 저로서는 매우 흥미로운 부분입니다.
그런데 저 대학교 다닐때는 컴퓨터 전공하려면 필수적으로 수학 (저는 수학이 아니라 산수도 잘 못합니다.) 을 잘해야 했거든요. 언어 배우기 전에 수학 theory 같은걸 배워야 하니까 엄두도 못냈죠.
그부분이 참 아쉽습니다. 요즘은 컴퓨터 전공 수학이랑 상관도 거의 없던데...
www 가 출범되기 전부터 인터넷을 사용해오던 저로서는 매우 흥미로운 부분입니다.
그런데 저 대학교 다닐때는 컴퓨터 전공하려면 필수적으로 수학 (저는 수학이 아니라 산수도 잘 못합니다.) 을 잘해야 했거든요. 언어 배우기 전에 수학 theory 같은걸 배워야 하니까 엄두도 못냈죠.
그부분이 참 아쉽습니다. 요즘은 컴퓨터 전공 수학이랑 상관도 거의 없던데...

node.js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나보네요.
그런데, 저 세가지를 '언어'로 말하시기는 좀..
링크를 보니까 'Age'로 썼더군요.. 그냥 '세대' 라고 하시면 더 정확할텐데..
음.. 제가 알기로는, node.js의 활용은 오히려 중/소규모의 사이트가 아니라
엄청난 실시간 트래픽이 있는 대형사이트에 적합할 것 같은데요..
물론 중소규모의 사이트라고 사용하지 말라는 법은 아니지만..
그리고, 요즘 컴퓨터 전공도 수학이랑 많은 관계가 있습니다. ^^
node.js 만든 Ryan Dahl 도 수학전공이었고요.. ^^
그런데, 저 세가지를 '언어'로 말하시기는 좀..
링크를 보니까 'Age'로 썼더군요.. 그냥 '세대' 라고 하시면 더 정확할텐데..
음.. 제가 알기로는, node.js의 활용은 오히려 중/소규모의 사이트가 아니라
엄청난 실시간 트래픽이 있는 대형사이트에 적합할 것 같은데요..
물론 중소규모의 사이트라고 사용하지 말라는 법은 아니지만..
그리고, 요즘 컴퓨터 전공도 수학이랑 많은 관계가 있습니다. ^^
node.js 만든 Ryan Dahl 도 수학전공이었고요.. ^^

물론이죠. 대기업도 사용가능하지만, 중소 사이트, 그러니까 hardware 스펙이 딸리는 경우, performance 때문에 node.js 가 매우 유리하다는 글을 읽었습니다.
그리고 그러니까, 제가 프로그래머가 아닌거죠. 그냥 평생 주말 키보드 워리어.
프로그래밍이랑 수학이랑 상관이 있겠죠. 단지 요즘 대학은 Computer Sci 의 경우 수학과목을 요구안한다 그 얘기 입니다. 수학을 못해도 프로그래머가 될수 있다, 이 얘기 입니다.
한국말, 가끔 어려워요. ^^
그리고 그러니까, 제가 프로그래머가 아닌거죠. 그냥 평생 주말 키보드 워리어.
프로그래밍이랑 수학이랑 상관이 있겠죠. 단지 요즘 대학은 Computer Sci 의 경우 수학과목을 요구안한다 그 얘기 입니다. 수학을 못해도 프로그래머가 될수 있다, 이 얘기 입니다.
한국말, 가끔 어려워요. ^^

node.js 이게먼가요;;; 어떤걸 배우면 좋다는지 잘모르겠네요 ㅠㅠ
제이해력이 후덜덜;;ㅋㅋ
제이해력이 후덜덜;;ㅋㅋ

The asynchronous event-driven I/O of Node.js is currently evaluated by many enterprises as a high-performance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synchronous I/O of multi-threaded enterprise application server.
이 한줄만 이해하시면 node.js 에 대한 모든 이해를 하시는 것 입니다. 저는 한국말로 번역 못하구요, 다른분께 패스. ㅎㅎ
이 한줄만 이해하시면 node.js 에 대한 모든 이해를 하시는 것 입니다. 저는 한국말로 번역 못하구요, 다른분께 패스. ㅎㅎ
인터넷에 관련 강좌를 오전에 듣고있습니다.
윈도우용도 나와서 다행히 설치해보고 사용해보았는데, 새로운 개념이 많아서 머리가 신선해집니다.
소개글은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library/os-nodejs/
에 있지만, 개념만 설명되어있긴 하네요.
npm 으로 express설치해서 실시간 웹 샘플도 만들어보았지만 정작 해야할 것을 생각하는건 기획적인 마인드도 있어야할 것 같네요.. 아직 2년정도밖에 안됬다니..
윈도우용도 나와서 다행히 설치해보고 사용해보았는데, 새로운 개념이 많아서 머리가 신선해집니다.
소개글은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library/os-nodejs/
에 있지만, 개념만 설명되어있긴 하네요.
npm 으로 express설치해서 실시간 웹 샘플도 만들어보았지만 정작 해야할 것을 생각하는건 기획적인 마인드도 있어야할 것 같네요.. 아직 2년정도밖에 안됬다니..
제가 이해한 바, 기존에 아파치같은 웹서버-클라이언트 개념과 약간 다르게,
서버가 이벤트를 받으면 동작하도록 Ready~하고 있고 요거는 한 프로세스 내에서 수많은 이벤트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기 때문에 대량처리도 쉽게 가능하다는..
서버가 이벤트를 받으면 동작하도록 Ready~하고 있고 요거는 한 프로세스 내에서 수많은 이벤트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기 때문에 대량처리도 쉽게 가능하다는..

미래를 책임질 언어라면,,
1. javascript next (현재 논의중의 commons js)
2. python
3. scala (제가 자바쪽이라 넣어봤습니다.)
아쉽게도 php는 빠졌습니다.
1. javascript next (현재 논의중의 commons js)
2. python
3. scala (제가 자바쪽이라 넣어봤습니다.)
아쉽게도 php는 빠졌습니다.

이분이 정말 현역임.

뭐 php 프로그래머분들 (특히 php 경력 오래된 미국 프로그래머 분들), php 언어가 만들어질때 초창기 contribute 하셨던 프로그래머 분까지, php 가 금방 죽어 없어진다고 하는 글들을 많이 읽어 봤는데요, php 가 그렇게까지 비관적인 건지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CGI 도 멀쩡하게 살아 있는것만 봐도, php 는 더 발전할 것 같습니다. (제 생각으론) 단지 그 범위가 앞으로 많이 좁아진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는 것 같습니다.
CGI 도 멀쩡하게 살아 있는것만 봐도, php 는 더 발전할 것 같습니다. (제 생각으론) 단지 그 범위가 앞으로 많이 좁아진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는 것 같습니다.

scala는 또 처음 들어보네요.. ^^;
OO에 functional 까지.. 정말 배울게 많아요.. -_-
dart는 어떻게 될까요?
OO에 functional 까지.. 정말 배울게 많아요.. -_-
dart는 어떻게 될까요?

Dart 는 반발이 심하다네요... (구글의) 아주 비싼 장난감이 될거다... 뭐 이런 얘기가 블로그에 많이 뜨네요.

스칼라는 잘 모르지만, 개인적인 입장에서 기존 자바언어의 데이타 처리가 너무 개발자를 짜증나게 하기 때문에 데이타 처리를 php 처럼 쉽게 할수 있도록 하겠다는 컨셉같습니다.
php의 강력함중 하나는 자료처리죠. 배열과 해쉬가 언어자체에 녹아있잖아요.
php의 강력함중 하나는 자료처리죠. 배열과 해쉬가 언어자체에 녹아있잖아요.
대세는 node.js인가요?
회의적인 의견들도 몇몇 있던데, 어떻게 될지는 두고봐야 겠네요.
회의적인 의견들도 몇몇 있던데, 어떻게 될지는 두고봐야 겠네요.

미래 예측에 몇가지 도구들이 있는데요...
http://www.google.com/trends/?q=node.js
http://www.google.com/trends/?q=php
이런 tool 들을 사용해서 미래 예측을 합니다. 컴퓨터 언어는 결국 traction 이 얼마나 붙느냐가 관건이니까...
http://www.google.com/trends/?q=node.js
http://www.google.com/trends/?q=php
이런 tool 들을 사용해서 미래 예측을 합니다. 컴퓨터 언어는 결국 traction 이 얼마나 붙느냐가 관건이니까...

이런 통계도 재밌겠네요.. ^^
http://www.indeed.com/jobtrends?q=php%2C+node.js&l=
http://www.indeed.com/jobtrends?q=php%2C+node.js&l=

그렇죠? 가봐야 알듯..
그래도 잇점이 너무 많아서..^^
그래도 잇점이 너무 많아서..^^

제 생각에는 node.js 가 독주를 할 것 같지는 않고, 분명 다른 경쟁자들이 생길것 같습니다. node.js 가 혼자 독주하기엔 pie 가 너무 크죠.

node.js 로 할수 있는건 이미 자바나 python 에서도 할수 있습니다.(물론 C에서도)
node.js 의 장점은 기존 자바스크립트 개발자(front end) 가 쉽게 server side를 개발할수 있다는것입니다.
둘다 할줄 아는 개발자에겐 node는 매리트가 없습니다.
현실에서는 front end 개발자가 넘치고 있고, server side를 같이 개발해야 할일이 많기 때문에, nodejs의 미래가 밝다고 볼수 있죠.
node.js 의 장점은 기존 자바스크립트 개발자(front end) 가 쉽게 server side를 개발할수 있다는것입니다.
둘다 할줄 아는 개발자에겐 node는 매리트가 없습니다.
현실에서는 front end 개발자가 넘치고 있고, server side를 같이 개발해야 할일이 많기 때문에, nodejs의 미래가 밝다고 볼수 있죠.

node.js 의 매력은 프로그래머가 아니더라도 어느정도 javascript 에 대한 이해가 있으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entry barrier 가 낮다
라고 하던데 (실제 저도 접해보니 그렇고) 이게 곰곰히 생각해보면 결국 노예도구가 될수 있을수도 ..... -..-;;
라고 하던데 (실제 저도 접해보니 그렇고) 이게 곰곰히 생각해보면 결국 노예도구가 될수 있을수도 ..... -..-;;

node.js의 장점은,
제가 알기로, callback based javascript이라는 밖으로 드러나는 언어도 그렇지만,
c로 짠 event loops 라이브러리와 non-block 스타일로 완전히 다시 코딩한 io라이브러리라고 들었는데요.. 맞나요? ^^;
아마 이전에도 비슷한 라이브러리가 있었겠지만, v8 엔진과 바인딩한 javascript 언어를 개발환경으로 했다는 점이 높게 사는 걸까요?
제가 알기로, callback based javascript이라는 밖으로 드러나는 언어도 그렇지만,
c로 짠 event loops 라이브러리와 non-block 스타일로 완전히 다시 코딩한 io라이브러리라고 들었는데요.. 맞나요? ^^;
아마 이전에도 비슷한 라이브러리가 있었겠지만, v8 엔진과 바인딩한 javascript 언어를 개발환경으로 했다는 점이 높게 사는 걸까요?

지금 새로운 언어 하나를 배우라고 한다면, python을 배우겠습니다.

저 파이 th언 쓸줄 아는데.
그것도 3.x 버전으로
print("Hello World") ㅋㅋㅋ
그런데 사용자 입장에서는 파이썬이 별 매력이 없는게 당장 django 웹 호스팅 해주는 곳도 찾기가 어렵습니다.
저처럼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도 django 같은 framework 며칠 접해보고 그 매력에 푹 빠졌습니다. 파이썬 framework 들이 좋기는 정말 좋더라구요.
개발자 분들의 개발 시간이 엄청 절감될 것 같습니다.
그것도 3.x 버전으로
print("Hello World") ㅋㅋㅋ
그런데 사용자 입장에서는 파이썬이 별 매력이 없는게 당장 django 웹 호스팅 해주는 곳도 찾기가 어렵습니다.
저처럼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도 django 같은 framework 며칠 접해보고 그 매력에 푹 빠졌습니다. 파이썬 framework 들이 좋기는 정말 좋더라구요.
개발자 분들의 개발 시간이 엄청 절감될 것 같습니다.

덕분에 공부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