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함께 보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미래 정보
그림과 함께 보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미래본문
다시 글을 쓰기엔 너무 충격이 크고..

변경된 것 처럼 보이시는건 기분탓입니다.
그때 그릴려했던 콘티를 다시 그려서 원본파일을 올리고,
각 번호에 따른 설명을 붙여볼까합니다.

변경된 것 처럼 보이시는건 기분탓입니다.
#01
기존의 커뮤니티 사이트들이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해서 썼던 방법중 하나가 포인트를 활용하는 방법인데,
이름앞에 네임콘(Name + Icon)을 달아준다던지, 게시글의 제목의 색상을 바꾸는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꾸미는 위주로, 포인트를 소비하여 아이템을 구매하는 형식이 였습니다.
#02
해당 기능을 적용한 스킨을 제작하여 사용자들이 포인트로 구매할 수 있도록 만들었죠.
#03
만세!! 이쁜 네임콘이다!
#04
그런데 커뮤니티에서 그런 아이템들을 활용하긴 하는데.. 한번하면 사실 잘 안바꾸거나 마음에 드는 것이 올라오지 않으면 왠지 시큰둥해지곤 했습니다. 뭔가 좀더 특별해지고 싶고, 내가 조금더 편집할 수 있는 권한이 없을까?
#05
막상 특정 아이템에 대해서나, 아니면 아예 무언가 깔맞춤(비슷한 계열색을 알맞게 배치한다는 의미)을 하려면 여러가지를 수정해야했죠. 각 아이템별 게시판도 달랐고 회원정보에 포함된 곳은 회원정보 수정페이지까지 으악!!!
#06
이런 것들이 대부분 보여주는 기능만 ON/OFF 하고, 시스템적인 제약이 컸기 때문입니다. 서버 관리자만이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이 많았고, 사용자는 그저 불평없이 반 강제적 사용이였습니다.
이러한 것을 뛰어넘기 위해 여기저기서 '개인화 홈'을 시작하였지만 메리트가 없었습니다. UX변경의 기능 뿐 전혀 개인화라고 볼 수 없는 것이 였으니까요.
이때 어떤의미로 진정한 개인화는 블로그 툴들이 하고있었습니다.
인스톨은 기본기능만, 거기서 자기가 쓸 기능만 활성화 시켜서 쓰는것, 네 위젯(Widget)입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블로그형 위젯들은 많은데 커뮤니티형 위젯들은 많지 않았습니다. 이유는 생각보다 간단한데 누군가 나서서 독립적으로 개발을 해야 하는부분입니다. 스킨등에 붙어야 할 것이 아닌 각 위젯마다 따로 개발을 해야한다는 점이죠.
커뮤니티들은 만들어진 게시판프로그램의 스킨들을 주로 사용합니다. 다운로드만해서 업로드만하면 아주 조금의 커스텀만해서 자기 입맛대로 바꿀 수 있으니까요.
그러니 그런 보드사용자 사이트들에서 위젯을 개발/공유하는 마인드가 일어나지 않는 한, 커뮤니티 사이트는 계속 정체되거나 생각이 깨어있는 분들이 운영하는 곳만 점차 즐거움이 가득해지겠죠.
물론 그런것 다 필요없어도 잘 되는 사이트는 '전문성을 띄고 있는 커뮤니티가 되겠습니다'
구글은 검색포털입니다.
이러한 구글은 자신들이 서비스하는 검색과 몇가지 RSS를 더 받아와서 서비스하는 '개인화 홈'을 서비스 하였습니다. 하지만 개인화 홈은 주로 개발자 홈으로 쓰였습니다.(....) 이러한 구글이 모바일에 가능성을 보고 점점 모바일에 비중을 두기 시작하면서 나중에는 구글 크롬, 그리고 크롬웹스토어를 만들게 됩니다. 크롬앱스토어는 자신의 크롬브라우저에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는 앱을 모아둔 서비스입니다.
이러한것에 중점을 두는 것은 어떠한 것을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같은 가격과 같은 형태의 전세집 이라도 자신이 원하는게 많은 곳으로 가고 싶어하는 것.
왠지 비슷하지 않습니까?
'작은 도구들을 통해서 본래의 서비스에 충성하며 사용한다'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입니다.
#7
커뮤니티 앱(위젯)스토어는 기본적으로 모든 기능을 재공 하는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해당 기능을 허용'하는 기반으로 만들어서 운영하면 활성화가 될 것입니다. 그럴려면 작은 웹앱이라도 상당히 '식당 아주머니의 다양한 손님 입맛 맛추기'에 필적하는 코딩센스가 필요합니다. 지금 당장은 조금 시작하기 두렵고 힘들지 모르겠으나 그것을 통해 얻을 수 있는것은 스킨만 만들때와 다르게 정말 사용성에 중점을 두는 실무적 개발이 가능해집니다.
자신의 실력도 어느정도 닦을 수 있으면서, 그동안 포화상태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던 커뮤니티에 포인트의 가치를 올리면서 회원들도, 서비스 재공자도 윈-윈 할 수 있는 서비스가 가능해집니다.
#8
사용자가 이렇게 위젯을 활용하며 커뮤니티를 쓰게 된다는 것은,
지금 현재 게시판만 모바일에서 보여주기만 하는 단순한 커뮤니티 사이트와는 좀더 차별화된 서비스를 꾀할 수 있게 됩니다.
커뮤니티사이트로 방향을 잡고 있다면, 커뮤니티형 앱스토어에 대해서도 같이 생각해보고 싶지 않으십니까.
제가 말한것은 정말 부족한 생각이지만, 여럿이 모여 생각하면 그누보드의 플러그인으로써 가칭'그누앱스'가 만들어지지 않을까요^^
추천
0
0
댓글 36개

꺄오 그림 아주잘그리시네영 ㅎㅎ
헉 아닙니다. ㅠㅠ;;

오 정말 잘 그리시는데요?
이참에, 그누 만화시리즈 하나 그리심은..^^
"커뮤니티형 앱스토어에 대해서도 같이 생각해보고 싶지 않으십니까." -- 넵
같이 이야기 할 수 있는 곳 마련하시면 매일 갈께요.^^
이참에, 그누 만화시리즈 하나 그리심은..^^
"커뮤니티형 앱스토어에 대해서도 같이 생각해보고 싶지 않으십니까." -- 넵
같이 이야기 할 수 있는 곳 마련하시면 매일 갈께요.^^
그누 커뮤니티에 이런 둥지가 바로 쏙 메뉴로 생긴다면
우르르 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ps. 만화시리즈하면 저 회사에서 짤립니다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우르르 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ps. 만화시리즈하면 저 회사에서 짤립니다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일단은 "개발자 토크"에서 시작하시는 것은 어떨지요?
콜 입니다^^!

직화오리도 토크에서 시작하실떄 뿡뿡 =3=3 넣어주세요 ㅋ
구글 웹스토어처럼 ..???
좋은생각이네요.. 근데.. 그렇게되면 .. 스킨보다 위젯들이 많아지는 부작용도 존재할거라고 생각합니다.
분명 위젯 웹스토어가 일자리창출하고 좀더 高수익을 낼수도 있겠으나 반대로 위젯이라는 이유로
수익이 많지 않을수도 있을것같네요..
거기다가 지금까지 코드수정도 쉽고 확장성도 뛰어난 그누보드가 위젯화..
xe , 킴스큐 랑 똑같은 방향을 나아가게 되는거아닌지 모르겠네요..
모듈로하는 xe 나 모듈 , 위젯을 사용하는킴스큐..
장단점 있겠지만 .. 초보분들은 커스터마이징이 어려울것같네요..
제로보드의 모듈화 , 커스터마이징 힘듬 속도 문제로 그누보드로 넘어오지 않았나요..?
킴스큐 는 마켓이 잘활성화 되어있고 마니아층 형성때문에 발전하는것 같기도 ..
실없는 소리 한것같네요 .. <__>
글이 잘이어 지지않고 따로놀더래도 양해부탁드려요..
그냥 단순 생각 을 집필한 ..!
좋은생각이네요.. 근데.. 그렇게되면 .. 스킨보다 위젯들이 많아지는 부작용도 존재할거라고 생각합니다.
분명 위젯 웹스토어가 일자리창출하고 좀더 高수익을 낼수도 있겠으나 반대로 위젯이라는 이유로
수익이 많지 않을수도 있을것같네요..
거기다가 지금까지 코드수정도 쉽고 확장성도 뛰어난 그누보드가 위젯화..
xe , 킴스큐 랑 똑같은 방향을 나아가게 되는거아닌지 모르겠네요..
모듈로하는 xe 나 모듈 , 위젯을 사용하는킴스큐..
장단점 있겠지만 .. 초보분들은 커스터마이징이 어려울것같네요..
제로보드의 모듈화 , 커스터마이징 힘듬 속도 문제로 그누보드로 넘어오지 않았나요..?
킴스큐 는 마켓이 잘활성화 되어있고 마니아층 형성때문에 발전하는것 같기도 ..
실없는 소리 한것같네요 .. <__>
글이 잘이어 지지않고 따로놀더래도 양해부탁드려요..
그냥 단순 생각 을 집필한 ..!
음 꼭 SIR에 달자라는 소린 아니고 ㅎㅎㅎ
커뮤니티들이 저런 형식으로 변해야, 좀더 근미래 또는 현재에 닥쳐올 여러가지들,
N스크린, 클라우드, 모바일앱 등...
저런것들에 대비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왜냐면 기존의 모바일은 커뮤니티의 BBS를 모바일화 해서 보는 데 중점이였지만
현재의 모바일은 커뮤니티에서 뷰만 하는것이 아닌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늘었다는 점에서 생각한 것입니다 : ) !
커뮤니티들이 저런 형식으로 변해야, 좀더 근미래 또는 현재에 닥쳐올 여러가지들,
N스크린, 클라우드, 모바일앱 등...
저런것들에 대비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왜냐면 기존의 모바일은 커뮤니티의 BBS를 모바일화 해서 보는 데 중점이였지만
현재의 모바일은 커뮤니티에서 뷰만 하는것이 아닌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늘었다는 점에서 생각한 것입니다 : ) !
실없는 소리 였군요.. 딴소리 ㅋㅋ
한방향으로만 생각하다보니 ............
뭐 어쨋든 추천!
미래는 어떠한 서비스가 나오게될지 기대가되고 궁금하긴하네요 ..
한방향으로만 생각하다보니 ............
뭐 어쨋든 추천!
미래는 어떠한 서비스가 나오게될지 기대가되고 궁금하긴하네요 ..

강력추천합니다!
라고 하면.. 지운아빠님 멘탈붕괴가 오실거 같은데,,
라고 하면.. 지운아빠님 멘탈붕괴가 오실거 같은데,,
관리자 : 내방으로 ~
이게 갑자기 떠오르는건 저 뿐인가요^^;;;;
이게 갑자기 떠오르는건 저 뿐인가요^^;;;;

궁금한점 하나.. (아마 제가 이해력이 떨어져서일텐지만..-_-)
앱을 구입한다는 것이 커뮤니티 운영자 입장과, 커뮤니티 회원 입장 두가지가 있을것 같은데요..
앱스토어에서 회원이 직접 구매할 수 있는 것을 생각하시나요?
음.. 일종의 앱스토어 플러그인이 설치된 (그누보드기반) 커뮤니티에서 원격 앱스토어를 접근할 수 있는 것일까요?
아니면, 운영자가 직접 앱을 (구매 또는 구현) + 설치 한 경우에, 회원들이 구매할 수 있는 것일까요?
앱을 구입한다는 것이 커뮤니티 운영자 입장과, 커뮤니티 회원 입장 두가지가 있을것 같은데요..
앱스토어에서 회원이 직접 구매할 수 있는 것을 생각하시나요?
음.. 일종의 앱스토어 플러그인이 설치된 (그누보드기반) 커뮤니티에서 원격 앱스토어를 접근할 수 있는 것일까요?
아니면, 운영자가 직접 앱을 (구매 또는 구현) + 설치 한 경우에, 회원들이 구매할 수 있는 것일까요?
아 역시 그 부분을 깊게 들어가서 적을까, 하다가 제외했던 부분입니다.ㅎㅎ
이 글 제목을 '커뮤니티의 미래'라고 두리뭉실하게 잡았는데 왜냐하면 커뮤니티라는게 정형화 된 종목이 없다 생각해도 될 정도로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티가 있습니다. 이런 커뮤니티의 성격에 따라, 말씀하시는 부분에 대해서 따로 이야기 해야할 만큼의 분량이 나올 수 있으므로, 일단은 지금의 커뮤니티가 정체되는 이유가 무엇이고 또, 어떤 시스템(예:포인트제)이 정체가 되었고에 대해서 부족한 저 이지만, 좀더 많은 커뮤니티를 운영하시는 분들과 회원분들에게 큰 그림부터 이야기를 하고 세부적으로 따로 토론을 진행하는게 맞지 않나 생각해서 이러게 적었습니다.
앱을 구입한다는 것은 각 해당 커뮤니티의 포인트를 통해서 구입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정말 큰 그림을 그리려면 제가 작성한 글에 좀더 전문적인 부분까지 파고 들어가야 하니 모두 공감하기에는 머리아프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ㅎㅎㅎㅎ
이 글 제목을 '커뮤니티의 미래'라고 두리뭉실하게 잡았는데 왜냐하면 커뮤니티라는게 정형화 된 종목이 없다 생각해도 될 정도로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티가 있습니다. 이런 커뮤니티의 성격에 따라, 말씀하시는 부분에 대해서 따로 이야기 해야할 만큼의 분량이 나올 수 있으므로, 일단은 지금의 커뮤니티가 정체되는 이유가 무엇이고 또, 어떤 시스템(예:포인트제)이 정체가 되었고에 대해서 부족한 저 이지만, 좀더 많은 커뮤니티를 운영하시는 분들과 회원분들에게 큰 그림부터 이야기를 하고 세부적으로 따로 토론을 진행하는게 맞지 않나 생각해서 이러게 적었습니다.
앱을 구입한다는 것은 각 해당 커뮤니티의 포인트를 통해서 구입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정말 큰 그림을 그리려면 제가 작성한 글에 좀더 전문적인 부분까지 파고 들어가야 하니 모두 공감하기에는 머리아프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ㅎㅎㅎㅎ

네, 그렇군요. ^^
복잡한 내용이라면 별도의 장소에서 더 들어봤으면 좋겠습니다. ^^
복잡한 내용이라면 별도의 장소에서 더 들어봤으면 좋겠습니다. ^^
항상 지켜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전진님네에서 거의 눈팅하며 살다시피 하고있습니다^^!
저도 전진님네에서 거의 눈팅하며 살다시피 하고있습니다^^!

진심 그림 탐나네요
제방으로좀 오실래요?ㅎㅎ
그리고 진짜좋은 공부 하고 갑니다^^
제방으로좀 오실래요?ㅎㅎ
그리고 진짜좋은 공부 하고 갑니다^^
저도 아직 정리가 많이 부족해서 걱정하고 있었는데 감사합니다.ㅠㅠ
지난번엔 너무 빽빽한 글씨로만 써서
이번엔 좀 다르게 해보자는 생각에 발 그림그려가며 해보았습니다 ㅠㅠ;;;
지난번엔 너무 빽빽한 글씨로만 써서
이번엔 좀 다르게 해보자는 생각에 발 그림그려가며 해보았습니다 ㅠㅠ;;;

그림 잘그리신다!!
헉 아닙니다 ㅠㅠ;; 그림 읽어주셔서 (?!) 감사합니다 ㅠㅠ

전문성과 그림실력을 합쳐 연재하시면
IT계의 마음의소리가 되실것 같습니다. 키보드소리 뭐 이런걸로..
필체 그림체 예사솜씨가 아니시네요.
앞으로 참고될만한 좋은 글 많이 부탁드려요
IT계의 마음의소리가 되실것 같습니다. 키보드소리 뭐 이런걸로..
필체 그림체 예사솜씨가 아니시네요.
앞으로 참고될만한 좋은 글 많이 부탁드려요
으악 .. 그정도까진 아닙니다 ㅎㅎㅎ
조석님한테 저 혼납니다 ㅠㅠ ㅎㅎㅎㅎ
시간날때 마다 좋은 내용이 있으면 항상 함께 생각하는 글을 올리도록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석님한테 저 혼납니다 ㅠㅠ ㅎㅎㅎㅎ
시간날때 마다 좋은 내용이 있으면 항상 함께 생각하는 글을 올리도록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킴스큐 방식이네요~
Nick: Terrorboy
Nick: Terrorboy
킴스큐하고 다른방식입니다.
그렇게 이야기하자면, 킴스큐와 xpress engine과 같은 방식이지 않나요 : )
마켓에 '모듈'이라고 올라가있지만 사실 애드온이 아닌가 싶네요.
커뮤니티 활성화 방법론에는 사용자별 개인화가 중심이 되는 앱을 이야기하는 것이지,
만드는 사람 , 또는 운영자가 그 앱을 컨트롤 하는 것을 이야기하는게 아닙니다 : )!
그렇게 이야기하자면, 킴스큐와 xpress engine과 같은 방식이지 않나요 : )
마켓에 '모듈'이라고 올라가있지만 사실 애드온이 아닌가 싶네요.
커뮤니티 활성화 방법론에는 사용자별 개인화가 중심이 되는 앱을 이야기하는 것이지,
만드는 사람 , 또는 운영자가 그 앱을 컨트롤 하는 것을 이야기하는게 아닙니다 : )!

다 만드시면 메일로 하나 보내주세요. ㄳ
white***@naver.com 입니다. ㅋ
white***@naver.com 입니다. ㅋ
아 관리자님한테 물들었군요 ㅠㅠㅠㅠㅠ
관리자님께 저번에 뭐든 말하면 '만들어 올려주세요'
흐어어어겋으허으허읗어ㅡㅎ허어흐허ㅡㄱ
관리자님께 저번에 뭐든 말하면 '만들어 올려주세요'
흐어어어겋으허으허읗어ㅡㅎ허어흐허ㅡㄱ

물든게 아니라 비슷한 사람을 뽑으신 듯요? ㅎㅎ;;
암튼 ********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이메일주소 노출방지 *** 입니다.ㅋ
암튼 ********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이메일주소 노출방지 *** 입니다.ㅋ
아 .. 전 del father 일줄... (도망가야지 ㅠㅠ)

구현을 어떻게 할지가 궁금하네요..
이런 위젯들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다 만들어 놓는 것은 어짜피 불가능할테고,
위젯들이 유연하게 그누보드? 시스템에 붙어갈 수 있어야 할텐데요..
그누보드에서 받아서 사용할 수 있는 정보는, 그래도 운영자가 결정해야 할것 같고,
화면에서 어디에 위치할지는.. 아무런 생각이 나지 않아요..
스킨처럼, 위젯의 종류를 미리 정해놓고, 해당 종류가 사용할 수 있는 정보와 정해진 위치를 주어야 할까요?
그럼, 일종의 마이크로 스킨 같은 느낌이 날것 같은데.. 물론 사용자의 위젯 관리기능이 전혀 새로운 개념이겠지만요..
이런 위젯들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다 만들어 놓는 것은 어짜피 불가능할테고,
위젯들이 유연하게 그누보드? 시스템에 붙어갈 수 있어야 할텐데요..
그누보드에서 받아서 사용할 수 있는 정보는, 그래도 운영자가 결정해야 할것 같고,
화면에서 어디에 위치할지는.. 아무런 생각이 나지 않아요..
스킨처럼, 위젯의 종류를 미리 정해놓고, 해당 종류가 사용할 수 있는 정보와 정해진 위치를 주어야 할까요?
그럼, 일종의 마이크로 스킨 같은 느낌이 날것 같은데.. 물론 사용자의 위젯 관리기능이 전혀 새로운 개념이겠지만요..
위젯을 어디 놓을지를 꼭 정해진 픽셀안에서 해야한다면 저도 머리 아플것입니다.
브라우저는 어쩔때는 책상이 되고 어쩔때는 서랍이 되고 어쩔땐 바탕화면이 되면됩니다.
앱의 위치는 마이페이지가 전체 목록이라면,
그 이외의 부분은 해당사이트안에서 몇군데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해서 박을 수 있는 div를 할당해주는 방법이 제일 좋은것 같습니다.
그것이 붙박이로 쓸지, 리모트컨트롤레이어로 쓸지, 바탕화면전체를 쓸지 정도만 위젯에서 타겟지정하게 해주는 방법은 어떨런지요.
전체화면 기준이면 사용자의 위젯영역 div는 body 기준 absolute가 되고,
특정 사이드바 아래쪽에 위치시키면 해당 위치인 div의 relative 기준으로 위젯이 absolute 되도록 ^^;; 이것도 너무 좀 그럴까요;;
브라우저는 어쩔때는 책상이 되고 어쩔때는 서랍이 되고 어쩔땐 바탕화면이 되면됩니다.
앱의 위치는 마이페이지가 전체 목록이라면,
그 이외의 부분은 해당사이트안에서 몇군데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해서 박을 수 있는 div를 할당해주는 방법이 제일 좋은것 같습니다.
그것이 붙박이로 쓸지, 리모트컨트롤레이어로 쓸지, 바탕화면전체를 쓸지 정도만 위젯에서 타겟지정하게 해주는 방법은 어떨런지요.
전체화면 기준이면 사용자의 위젯영역 div는 body 기준 absolute가 되고,
특정 사이드바 아래쪽에 위치시키면 해당 위치인 div의 relative 기준으로 위젯이 absolute 되도록 ^^;; 이것도 너무 좀 그럴까요;;

위에서 예로 들은, 개별 아이콘의 경우
현재의 회원 아이디/별명과 교체되어야 하는 등, position 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지 않을까요?
아무래도 php 수준의 통합이 필요할것 같은데..
그러면, 원 php 소스가 굉장히 유연하게 작성되어야 할것 같아서요.. ^^
현재의 회원 아이디/별명과 교체되어야 하는 등, position 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지 않을까요?
아무래도 php 수준의 통합이 필요할것 같은데..
그러면, 원 php 소스가 굉장히 유연하게 작성되어야 할것 같아서요.. ^^
아 예제 내용은 좀더 쉬운범위로 접근하려고 한것입니다.
전진님 말씀처럼 PHP에서 내부적인 위젯을 위해 수정이 필요합니다.
그것도 스킨단위가 아닌 common.lib을 건들여야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 )
그래서 글 내용의 대부분은 그누보드 뿐 아니라 어떤 보드를 쓰던, 또는 스스로 짠 프로그램을 써서 커뮤니티를 운영하던, 사용자에게 즐거움을 주고 자주 쓰게 하는 위젯을 개발해서 적절하게 연동해야 좀더 더 먼 미래를 바라 볼 수 있다는 거 였습니다 ^^;;
그 부분은 그런것이고 좀더 생각해보자면
그누보드 관리자모드에 플러그인 관리모드 플랫폼을 하나 더 만들어서,
관리자가 직접 개발하고 등록하도록 하는 방법론이 그나마 나은데 역시 이부분을 위해서는 그누의 핵심 몇 파일을 수정해야합니다.
아니면 extend 형태로 기본그누의 함수를 가져와서 메소드 확장을 하는 형태도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걸 기반으로 역시 스킨도 바꾸어야하지만요^^;;;;;;
전진님 말씀처럼 PHP에서 내부적인 위젯을 위해 수정이 필요합니다.
그것도 스킨단위가 아닌 common.lib을 건들여야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 )
그래서 글 내용의 대부분은 그누보드 뿐 아니라 어떤 보드를 쓰던, 또는 스스로 짠 프로그램을 써서 커뮤니티를 운영하던, 사용자에게 즐거움을 주고 자주 쓰게 하는 위젯을 개발해서 적절하게 연동해야 좀더 더 먼 미래를 바라 볼 수 있다는 거 였습니다 ^^;;
그 부분은 그런것이고 좀더 생각해보자면
그누보드 관리자모드에 플러그인 관리모드 플랫폼을 하나 더 만들어서,
관리자가 직접 개발하고 등록하도록 하는 방법론이 그나마 나은데 역시 이부분을 위해서는 그누의 핵심 몇 파일을 수정해야합니다.
아니면 extend 형태로 기본그누의 함수를 가져와서 메소드 확장을 하는 형태도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걸 기반으로 역시 스킨도 바꾸어야하지만요^^;;;;;;

아, 그렇군요.. 개념적인 제안이었군요..
이제야 좀더 명확하게 다가옵니다. ^^
물론 말씀대로 그누보드의 경우 어떻게 적용할지를 고민해야겠네요..
그누보드가 국내 커뮤니티 솔루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니, 그누보드에서 구현된다면 다른 솔루션으로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합니다.
어쨋든, 계속 토론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이제야 좀더 명확하게 다가옵니다. ^^
물론 말씀대로 그누보드의 경우 어떻게 적용할지를 고민해야겠네요..
그누보드가 국내 커뮤니티 솔루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니, 그누보드에서 구현된다면 다른 솔루션으로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합니다.
어쨋든, 계속 토론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맞습니다. 토론이 계속 되어야 합니다.
다들 생각하는 것들을 가지고 좀더 미래로 그누보드를 흐르게 해야합니다!
다들 생각하는 것들을 가지고 좀더 미래로 그누보드를 흐르게 해야합니다!

그누보드가 후킹 메소드 등을 지원한다면 쉽게 확장이 가능할텐데 아무래도 네이티브 코드로 처리된 곳이 많다보니 직접 소스를 변경하는 경우가 많네요. 그에 따라 결과적으로 모듈화에 어려움이 크니까...
누구 야근하면 해결될듯 'ㅅ' 누군진 잘 모르겠습니다. 누구아부지인거는 맞는거 같은데...
누구 야근하면 해결될듯 'ㅅ' 누군진 잘 모르겠습니다. 누구아부지인거는 맞는거 같은데...

일단 웹프로그램 - 개발자 토크 게시판에 글을 남겼습니다.
http://sir.co.kr/bbs/pg_talk.5269
http://sir.co.kr/bbs/pg_talk.5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