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카페에서 웹표준+웹전근성 논쟁중 제가 작성할려는 글인데 검증좀 해주세요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모카페에서 웹표준+웹전근성 논쟁중 제가 작성할려는 글인데 검증좀 해주세요 정보

모카페에서 웹표준+웹전근성 논쟁중 제가 작성할려는 글인데 검증좀 해주세요

본문

모카페에서 논쟁중에 메모장으로 작성하고 올릴려는데 점검...
그래서 또 하드에 두면 무심결에 지울것 같아서 1차적으로 검증과 함께 올립니다.

1. 의미있는 클래스 명이 명백히 구조와 표현의 분리가 성립되기 때문이죠.

CSS의 셀렉터명은 ID와 Class 로 명명할수 있습니다.
ID의 경우에는 페이지에서 고유하게 사용해야되므로 자바스크립트, 선형구조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고유할경우 사용하는것이 타당할것이라는건 동의하실듯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클래스의 명명규칙을 먼저 말씀드리면

1) 선언된 ID에서 하위 엘리먼트에 영향을 줄것으로 예상되는가? 아니라면 태그로 접근
ex) #id tag (상위 상속ID가 있을경우 같이 #id #id tag)

2) 해당 클래스에 표현셋이 존재하는가? 그렇다면 표현셋으로 분류
ex) #id .class { ... }
#id .class .red { ... color:red; }
#id .class .blue { ... color:blue; }
#id .class .lt { ... align:left; }
#id .class .rt { ... align:right; }
...
3) 1)항에 포함되지만 하위 태그가 3회이상 사용될것으로 예상
ex) #id ul li ul li {...}
-> 표현하고자 하는 상위 ul이나 li에 클래스명 지정
#id .class {...}

이정도로 기본 규칙을 잡고 하는편이지만 상황에 따라서 틀려집니다.
클래스명이라는게 ID와 다르게 사용의 반복성에 있습니다.
ex1) #head .wrap {...}, #main .wrap {...}
이렇게 한다고해서 충돌안한다는건 아실겁니다.
ex2) <span class="lt red"></span>
이렇게 하고 정렬과 색상값을 따로 선언하고 같이 적용 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따라서 클래스명이 명백하게 구조와 표현을 분리하는게 필수조건이라고는 말씀드릴수 없습니다.


2. 웹표준과 웹전근성은 명확하게 정의 될수 있다?
제가 잘못 알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기본정의는 어느정도 명확할지 모르지만 둘을 땔수는 없습니다.

웹표준의 시작은 익스플로러와 네스케이프 등등 브라우저의 춘추전국시대때 서로 각기 다른방식으로 tag명을 명명하고 렌더링하는 방식의 차이에서 그 표준안을 만들기 위해서 W3C라는 비영리단체가 주축이되서 현재도 작업중입니다.(W3C는 IBM, MS, 구글, 오라클 등등.. 많은 단체에서 후원중입니다)
W3C는 말그대로 A 태그는 이렇게 표현되게 해주세요 라고명시하면 그걸 가져가서
브라우저 제작사(익스-ms, 크롬-구글, 파폭-모질라, 사파리-애플...)가 자기네들 기준으로 해석해서 만듭니다(그래서 크로스브라우징이 필요하죠 ㅠ)
따라서 웹표준은 정해진 태그를 표현에 알맞게 사용하면 되는겁니다.
바르지 못한 표현방법을 몇가지만 소개한다면
레이아웃 = table 보다는 div를 권장
메뉴네비게이션 = table 보다는 list계열 tag사용(ul, ol, li ...)권장
글자크기 = hn계열은 타이틀적인 성향이 없다면 p, span 으로 감싸서 스타일적용
등등...
웹표준은 태그의 사용목적에 알맞게 사용하자는 것이며
그에 포함해서 구조는 Html로 표현은 Css로 하자 등등 의미가 확대 되고 있습니다.

웹접근성은 뭐냐?
1차적인것은 모든 사용자와 모든기기에서 해당컨텐츠(문서)에 접근해서 동일한 결과를 도출할수있게 해야된다는것입니다.
그 나머지는 다 파생된것입니다.
자바스크립트 이슈, 이미지태그 alt값, 장애인차별금지, 플래시대체메뉴, 동영상 대체텍스트 추가 등등...
자세한 내용은 http://www.wah.or.kr 참조

그럼 둘의 교집합은 뭐냐?
이미지태그 alt값 사용 - 웹표준을 지키면 해결(의미없는 이미지의 경우일때는 alt=""으로 대체가능)
플래시 대체 수단 - 플래시 미지원기기의 경우와 스크린리더기의 접근이 가능한 대체수단은  태그이므로 웹표준과 교집합 발생
동영상 대체텍스트 - 플래시 대체와 같은 맥락

따라서 둘을 완벽하게 분리해서 말하기는 쉽지 않다는겁니다.
전체 사이트가 플래시 사이트를 보자면 플래시 삽입 태그의 사용이 잘못되지 않다면 웹표준 위반이라고 보기는 힘듭니다. 하지만 웹전근성에는 위반됩니다.
올바른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한 웹표준 사이트라면 대체콘텐츠가 없다는 가정하에서는 90%이상은 웹접근성은 확보가 되므로 태생은 틀리지만 과정은 상당부분 교집합이 발생합니다.

이상 개인적인 생각이므로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추천
0
  • 복사

댓글 10개

웹접근성 품질마크를 6개정도 따봤어요.
따면서 이미딴 다른사이트중에서는 테이블레이아웃도 있구요. img 에 alt값을 안쓰고 IR등으로 다른방법으로 대체텍스트를 넣기도합니다. 때때론 img에 불필요한 alt 대체텍스트로 혼란으 가져온단이유로 삭제하라고 재검사도 받았구요

말씀드리고 싶은 웹접근성이라는건
손떨림,뇌졸증,마우스감도정밀조절이어렵거나,번쩍이는색상에 발작,색맹,저시력, 혹은 시간제한을 따라가기힘든 근육속도 저하자 키보드운용등등 다양한 능력의 사람들을 배려하는 디자인이라고 보여집니다

아참 그리고 제생각은 웹표준을 준수하면 접근성이 향상되는건 부수적결과일뿐 둘은 별개라고 생각되네요.
웹표준을 준수해도 문서구조가 시멘틱하지못하면 접근성도 줄어드니까요
모든 기기를 쓰고 모든 사용자를 안넣어서 오해의 소지가 있었나보네요
수정하겠습니다.
그리고 서두나 말미에서도 둘이 교집합이 발생한다고 했지 같다고는 말한적이 없는데요 ;

테이블레이아웃 코딩은 웹전근성의 측면에서는 통과대상이 될수 있습니다 하지만 웹표준에서는 권장하지않는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