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v는 객체지향적인 성향이 있나요? 정보
div는 객체지향적인 성향이 있나요?
본문
div로 레이아웃을 만들때마다 table과 다르게 독립적인 느낌이 많이 들어요.
그래서 요놈이 객체지향적 성향이 있는 것 같아서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추천
0
0
댓글 18개
객체지향이라는건 인스턴스를 생성할수있어야되는거 아닌가요 ..
new array() 같은거 말이죠 ..
아닌가...
new array() 같은거 말이죠 ..
아닌가...

개념이 별 연관성이 없는것 같으다는 ;;

객체지향이라는건 재활용이 가능한 소스여야 되서, 개념은 조금 다를거에요 ㅋㅋㅋㅋㅋㅋㅋ

짧은 소견남깁니다. 정확한 지식이 아닐 수 있습니다.
HTML은 문서의 역할을 합니다.
쉽게 말하면. 위에서 아래로 쫙 읽히는 기능을 하는것이죠.
위에서 아래로 읽히는 기능은 중간에 돌리거나 또는 빠져나가는 기능을 할 수 없습니다.
순차방식이닌까여...
이러한, 순차방식을 동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자바스크립트입니다.
예를 들어서 그 부분에서 잠깐 멈추고, 알림을 출력한다음 사용자가 확인을 누르면 다시 읽은 방식을 동적스크립트 언어라 합니다.
PHP도 동적스크립트의 언어이것이죠.
(성장과정 생략)
아무튼 CSS와 XHTML에 탄생으로 저장공간을 (힙영역)을 만들 수 있게 되었는데.
그게 바로 DIV입니다.
DIV 메모리 공간을 만들고, CSS로 클래스로 관리하며, 자바스크립트로 동적으로 만드는 것이죠.
(이후 생략)
지식이 짧아서 ... 도움이 되실련지 모르겠습니다.
HTML은 문서의 역할을 합니다.
쉽게 말하면. 위에서 아래로 쫙 읽히는 기능을 하는것이죠.
위에서 아래로 읽히는 기능은 중간에 돌리거나 또는 빠져나가는 기능을 할 수 없습니다.
순차방식이닌까여...
이러한, 순차방식을 동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자바스크립트입니다.
예를 들어서 그 부분에서 잠깐 멈추고, 알림을 출력한다음 사용자가 확인을 누르면 다시 읽은 방식을 동적스크립트 언어라 합니다.
PHP도 동적스크립트의 언어이것이죠.
(성장과정 생략)
아무튼 CSS와 XHTML에 탄생으로 저장공간을 (힙영역)을 만들 수 있게 되었는데.
그게 바로 DIV입니다.
DIV 메모리 공간을 만들고, CSS로 클래스로 관리하며, 자바스크립트로 동적으로 만드는 것이죠.
(이후 생략)
지식이 짧아서 ... 도움이 되실련지 모르겠습니다.

div 랑 객체지향은 상관잉 없죠

그럼 div는 하나하나 연결된 기차나 줄줄이 비엔나처럼 하나씩 물고있는 그런 특성이 있나요?(질문이 좀 그렇네요 하하;;;)

DIV는 포토샵의 레이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종이를 나열하는 것이죠.
아 참고로 static 예약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음.. 쉽게 말하면.. 상속이겠죠. ^^
* static은 상속으로 이해하시지 마세요.
즉.. 종이를 나열하는 것이죠.
아 참고로 static 예약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음.. 쉽게 말하면.. 상속이겠죠. ^^
* static은 상속으로 이해하시지 마세요.

저는 포토샵레이어를 포개놓고 쌓는다는 개념으로 이해해서요.ㅎㅎ(뭔가 이상해요;)

그게 맞는 답입니다 ^^
/* 주석처리해주세염
다만 글의 내용이 객체 이냐 아니냐를 말씀하시는 것 같아서..
객체지향언어는 아니지만
객체처럼 활용할 수 있다는 댓글을 단겁니다. ^^
*/
/* 주석처리해주세염
다만 글의 내용이 객체 이냐 아니냐를 말씀하시는 것 같아서..
객체지향언어는 아니지만
객체처럼 활용할 수 있다는 댓글을 단겁니다. ^^
*/

쌓는 거하고 나열하는거하고 어떻게 공존할수가 있죠? (아 어렵다.);;
제가 뭔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것 같아서요.
저는 종이를 쌓는거하고, 종이를 나열하는것을 서로 다르게 구별해서 생각하거든요.
제가 뭔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것 같아서요.
저는 종이를 쌓는거하고, 종이를 나열하는것을 서로 다르게 구별해서 생각하거든요.

모든 언어(라) 하는것들은 각각의 기능을 담긴 기능을 주는데 그것을 메소드라던지 함수라 합니다. 또는 속성이라고도 하겠죠.
그 모든 것을 저장하는곳이 class입니다.
class는 틀인데.. 틀은 이름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를 인스턴스라 하죠.
DIV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이 name 속성입니다.
그래서 각각의 이름으로 역할을 분할 해주는 것이죠.
음.. 깊이 들어가네욤. ^^
그 모든 것을 저장하는곳이 class입니다.
class는 틀인데.. 틀은 이름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를 인스턴스라 하죠.
DIV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이 name 속성입니다.
그래서 각각의 이름으로 역할을 분할 해주는 것이죠.
음.. 깊이 들어가네욤. ^^

더 깊이 들어가도 될까요? :)

더 깊은곳으로 ㅡㅡ;;

제가 느끼기에 class는 어떤 집단의 약속된 표준을 정하고 저장하고 수정개편하는 자리 같아요.
class가 정해지면, class속에 사는 div들은 그 표준안에서 움직이구요.
그 class에 이름이 필요한데, 그게 인스턴트? 인거죠?
그럼 div가 소도시라면 class는 국가같은 것인가요? ( 아 어려웡.;;)
/* 그리고 쌓는거하고 나열하는거 아직 이해가 안되요. 설명좀 부탁해도 될까요? 왜 쌓는게 나열이 되죠? */
class가 정해지면, class속에 사는 div들은 그 표준안에서 움직이구요.
그 class에 이름이 필요한데, 그게 인스턴트? 인거죠?
그럼 div가 소도시라면 class는 국가같은 것인가요? ( 아 어려웡.;;)
/* 그리고 쌓는거하고 나열하는거 아직 이해가 안되요. 설명좀 부탁해도 될까요? 왜 쌓는게 나열이 되죠? */

이해되실려나 ^^
<css부분>
#흑형의역할{
얼굴색:검정으로;
타입:대답하는타입;
}
#공대그녀의역할{
얼굴색:황생?;
타입:질문하시는타입;
}
<Div name="공대그녀" class="#공대그녀의역할">질문질문질문???</div>
<Div name="흑형GDT" class ="#흑형의역할">머리아포 ㅠㅠ</div>
^^ 쌓는것..
음.. 레퍼런스... ㅡㅡ;;
음...
쉽게 말하면... 우리가 태어나면.. 1살이죠.
그리고 동생이 태어나도 1살입니다.
그럼 난 계속한살이 될수는 없죠..
1번째 div 는
태어난 div 에 아래있는것이죠.
그런데... 이걸 꼼수(?) ㅋㅋㅋㅋ 이러면 안되는데.. ㅡㅡ;
암튼 각각의 나이를 속일 수 있는데..
그 속성이 z-index입니다. ^^ 요기까정하죠
<css부분>
#흑형의역할{
얼굴색:검정으로;
타입:대답하는타입;
}
#공대그녀의역할{
얼굴색:황생?;
타입:질문하시는타입;
}
<Div name="공대그녀" class="#공대그녀의역할">질문질문질문???</div>
<Div name="흑형GDT" class ="#흑형의역할">머리아포 ㅠㅠ</div>
^^ 쌓는것..
음.. 레퍼런스... ㅡㅡ;;
음...
쉽게 말하면... 우리가 태어나면.. 1살이죠.
그리고 동생이 태어나도 1살입니다.
그럼 난 계속한살이 될수는 없죠..
1번째 div 는
태어난 div 에 아래있는것이죠.
그런데... 이걸 꼼수(?) ㅋㅋㅋㅋ 이러면 안되는데.. ㅡㅡ;
암튼 각각의 나이를 속일 수 있는데..
그 속성이 z-index입니다. ^^ 요기까정하죠

헉! 이제 알겠어요.(깨달음이 왔어요!오호호)
위에 있는 것이 클라우드 같은 것이고,
밑에 있는 것이 그걸 가져다쓰는 거군요.
위에 있는 것이 클라우드 같은 것이고,
밑에 있는 것이 그걸 가져다쓰는 거군요.

레퍼런스 생성이죠..메트릭스의 키. ㅜㅜ
DIV랑 객체지향이랑 테이블이 무슨 연관관계가 있는것인지 모르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