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이 200ms가 나오는 서버를 사용하면 실제로 얼마나 느려질까요?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핑이 200ms가 나오는 서버를 사용하면 실제로 얼마나 느려질까요? 정보

핑이 200ms가 나오는 서버를 사용하면 실제로 얼마나 느려질까요?

본문

현재는 핑이 3ms 미만이 나오는 서울소재 IDC에 위치한 서버를 이용중인데요.

캐나다 서버를 이용해 보려고 합니다. 핑이 200ms가 나오는데요.

그냥 지연시간이 200ms만 추가되는거라면 할만할거 같은데, 문제는 실 적용시 더 큰 차이가 날까봐...

이런건 어떻게 대충 때려 맞출만한 방법이라도 있을까요?


추천
0
  • 복사

댓글 6개

TTL 값만으로는 실제 서비스 속도는 산출 할수 없습니다..
사용자 회선 - 국내 ISP - 외국과 계약된ISP 회선 - 외국 ISP - 외국 IDC(해외트래픽 계약특약이 있을수 있음)
따라서 접속환경과 해외 트래픽 보유상태등에 따라서 틀려질겁니다..
그래도 계산 해야하신다면 SK LG KT 각 회선별로 계정에 10M정도의 파일 업로드 하시고 다운로드 속도 한번 보시길 바랍니다.
호스팅 업체에서 속도 테스트를 제공해서 대역폭 속도는 KT랑 LG에서 10Mbps 가량 나오는거 확인했습니다. 대역폭 문제가 상관 없이 단순히 네트워크 지연시간에 의한 지연이 어느정도인지 궁금할 뿐입니다.
http://nspeed.naver.com/pc/profile/list 여기서 한번 테스트 해보시길 바랍니다.
10Mbps = 1.25MB/s 동시접속이 없다는 가정하에 로딩페이지(1) 이미지(2) CSS(1) JS(1) 5번의 요청 발생으로 지연시간으로 1초 페이지가 1.25 메가라면 1초 총2초 걸리겠네요
 단 사용자와 IDC서버간의 loss는 서버의 처리 시간 브라우저 동시요청 갯수도 무시하겠습니다.
결론은 TTL만으로는 속도 대충 때려 마추지 못합니다.
저는 해외에서 VPN연결하여 서버를 잠시동안 운영해봤는데 지연율이 300ms초중반 찍었습니다.
LG회선
KT회선
SK회선

파일 다운로드 업로드

동시 한회선당 3개씩 하는데

업로드 20~50kb
다운로드 30~50kb 왓다리 갔다리 했네요 한국실정에는 많이 느리지만 해외 친구들에게 링크 알려주니까

이정도면 간단한 웹 서버로 손색이 없다고들 하네요 ;;;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