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수 와 갯수 어떤게 맞을가요.? 정보
개수 와 갯수 어떤게 맞을가요.?본문

추천
0
0
댓글 6개

'갯수'와 '개수'의 바른 표기 - 개수

네이버도 개수가 맞다고 하네요.
이것때문에 검색도 해보고,
네이버사전
합성어로 볼 수 있는 두 음절로 된 한자어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에만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습니다.(관련 규정: '한글 맞춤법' 제4장, 제4절, 제30항.) ‘個數’는 이에 속하지 않으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고, ‘개수’로 씁니다.
이것때문에 검색도 해보고,
네이버사전
합성어로 볼 수 있는 두 음절로 된 한자어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에만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습니다.(관련 규정: '한글 맞춤법' 제4장, 제4절, 제30항.) ‘個數’는 이에 속하지 않으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고, ‘개수’로 씁니다.

우아 그렇군요..@_@
좋은거 배워감니다..
나름 맞춤법엔 자신 있었는데 ㅋㅋㅋ
이런데 구멍이..
좋은거 배워감니다..
나름 맞춤법엔 자신 있었는데 ㅋㅋㅋ
이런데 구멍이..

아...개수군요...첨 알았단...

개수 ㅋㅋ잘 쓰겠습니다
표준말, 한글 맞춤법 저거 진짜 만에 안들어요
한글을 일부러 어렵게 만들려고 하는 짓은 아닐텐데
사용법상 얼토당토 앉은 부분에 사이시옷을 붙이라고 만들더니 갯쑤 발음을 개수로 써야 한다니..
나는 네가 오길 바라 <--> 오길 바래
보통의 설 사람은 어떤 것으로 많이 사용하는가요?
짜장면은 틀리고 자장면이 맞다고 오래도록 우기더니 이제는 둘다 표준말이 되었다죠? ㅎㅎ
한글을 일부러 어렵게 만들려고 하는 짓은 아닐텐데
사용법상 얼토당토 앉은 부분에 사이시옷을 붙이라고 만들더니 갯쑤 발음을 개수로 써야 한다니..
나는 네가 오길 바라 <--> 오길 바래
보통의 설 사람은 어떤 것으로 많이 사용하는가요?
짜장면은 틀리고 자장면이 맞다고 오래도록 우기더니 이제는 둘다 표준말이 되었다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