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제작이 왜 비싸냐구요?? 정보
홈페이지 제작이 왜 비싸냐구요??
본문
그 이유들 중 사소한(?) 하나만 짚어드릴게요..
홈페이지 제작을 하고 돈을 받으면 상업적 사용이 됩니다.
즉, 싸게 혹은 무료로 제작 솔루션들(포토샵부터 시작해서 프로그래밍 툴들 모두 다)을 가지더라도..
실제론 불법이 됩니다.
저작자만 불법일 뿐 아니라 저작물을 돈을 주고 구매한 사람도 불법입니다. 다들 아실테고..
자 그러면 간단하게 몇 가지 짚어볼게요..
프리랜서분들 기준 잡아볼께요.. 세금? 3.3도 빼고... 당연히 부가세 소득세 죄다 뺀다고 볼게요.
(사실 이쯤에서 이미 불법이긴 하네요..)
포토샵이 얼마일까요..?
일러스트는요?
에디트플러스는요? (프로그래밍 딱이 들어가지 않는단 전제 하에 편집툴만 취급. 즉, 돈 거의 0에 가깝게)
플래쉬 넣어볼까요...?
이미지 저작권은요?? 자작한다..? 몇일 공들여서 제작하여 홈페이지 제작비 10만원 이래 외칠 사람 있을까요?
이미지 저작권.. 좀 더 세부적으로 사진은요??
초상권은요??
자 이제 글자입니다. 폰트는요?? 단 한 가지 쓰더라도.. 상용으로도 공개된 일부 제외하곤 죄다 유료입니다.
게다가 그 글씨 개별 사용에 대한 라이센스는요?? 저작자의 패키지 구매 비용은요?
만약 이 사람이 3D 모델링을 해야한다면요?? 3DS 가격은요? 캐드는?? 와우..
물론 일부입니다. 대갠 인건비겠죠.
작업할 때마다 패키지들을 매번 구입하는건 물론 아닙니다.
하지만 글꼴에.. 필요에 따라 이미지까지 간다면...?
어도비 패키지 구매해서 대개 3년 쓴다고 했을 때.. 이 작업자는 월 10만원 전후의 유지비가 들기도 하죠.
작업을 얼마나 수주할 지 몰라도... 작업 수주 시 홈페이지 10만원이니 뭐니 이런 소린 절대 나올 수 없죠.
불법이 개연되지 않고서는...
그리고 그 불법으로 인한 폭탄은 제작자 뿐 아니라 의뢰자에게도 돌아갑니다.
추천
0
0
댓글 22개

폰트나 이미지까지 구입비 호스팅 도메인 그런거 아예 생각도 안하죠..
그리고 인건비가 일주일 작업해서 30만원 할경우 4개월이면 120만원에 전기세 이것 저것 유지하면 대박이죠 또 수정건까지 생기면
최소한 일주일 하면 최소한 100~200만원 이상이 기본이 현실적이고 유지가 될수가있게죠 2인기준으로요
그러나 의뢰분들은 무료 홈피도 많은데 왜 비싸냐~
아님 만들고 난후 다른곳에 이것저것 어디서 들고 난후 비싸고 왜 우리홈피엔 이게 없냐
이거 추가해주고 저거 추가해줘라.......
말을 하면 끝도 없죠 모~ 그래도 의뢰자가 맘에 들때까지 ...
그리고 인건비가 일주일 작업해서 30만원 할경우 4개월이면 120만원에 전기세 이것 저것 유지하면 대박이죠 또 수정건까지 생기면
최소한 일주일 하면 최소한 100~200만원 이상이 기본이 현실적이고 유지가 될수가있게죠 2인기준으로요
그러나 의뢰분들은 무료 홈피도 많은데 왜 비싸냐~
아님 만들고 난후 다른곳에 이것저것 어디서 들고 난후 비싸고 왜 우리홈피엔 이게 없냐
이거 추가해주고 저거 추가해줘라.......
말을 하면 끝도 없죠 모~ 그래도 의뢰자가 맘에 들때까지 ...
ㅋ 따지고들면 더무섭죠 전이미지사 써도 라이센스 꼭읽어봄니다 돈주고 사도 제약이있거든요. 영문버전에쓰는지 쇼핑몰에쓰는지 용도 따라서 다틀리죠
정상적으로하면 싸게할수가없습니다
정상적으로하면 싸게할수가없습니다
라이선스가 없는 포토샵으로 만든 이미지를 돈주고 삿다고 해서 구매자도 법적으로 문제가 된다는 것은 무슨 논리인지..
저는 한번도 불법소프트웨어 사용자 말고 그 결과물을 구매한 구매자들까지 법적으로 문제되었다는 얘기는 듣도 보지도 못했습니다
저는 한번도 불법소프트웨어 사용자 말고 그 결과물을 구매한 구매자들까지 법적으로 문제되었다는 얘기는 듣도 보지도 못했습니다
소송이들어오면 제작자한테갈까요 홈페이지 주인한테갈까요. 소송은 10중8,9는주인한테가죠 2차로홈페이주인이 제작자 상대로 손배청구를하거나제작사실을증명 해야돼지요
저는 문제되는경우많이봤습니다
글세요 저는 한번도 못봐서... 포토샵 라이선스가 정확하게 어떤지는 모르겠으나 포토샵툴을 설치하고 그결과물을
판매한 사람의 책임이지 결과물(파일)을 구매한사람에게 법적 책임을 묻는다는 것은 ..
글세요 저는 한번도 못봤슴더
판매한 사람의 책임이지 결과물(파일)을 구매한사람에게 법적 책임을 묻는다는 것은 ..
글세요 저는 한번도 못봤슴더
많이 보셨다면 한가지 실제 예를 알려주세요..
궁금하네요
궁금하네요
법무법인이나 업체에서내용증명을어디로 보낼까요 1차는 무조건 업체로감니다
정확하게는 원 제작자가 오리발내밀면 그증명을 해당업체에서 해야하는거지요 물론 계약서상 책임소재부분을 명확히 했다면 문제될건없지요 일단 정품가지고있는 업체와 거래했다면 아예 할필요가 없는 고민이지요
정확하게는 원 제작자가 오리발내밀면 그증명을 해당업체에서 해야하는거지요 물론 계약서상 책임소재부분을 명확히 했다면 문제될건없지요 일단 정품가지고있는 업체와 거래했다면 아예 할필요가 없는 고민이지요
그리고 홈페이지 제작 가격 문제는 시장에 의해 결정되는 겁니다.
10만원 불르면 안하면 그만인거죠 다만 누군가는 10만원에 ㅋㅋㅋ 제작해주는 사람들이 있겠죠
아이웹스토리님 께서는 본인 홈페이지가 가치가 있다면 1000만원 1억 부르시면 되는겁니다.
10만원 불르면 안하면 그만인거죠 다만 누군가는 10만원에 ㅋㅋㅋ 제작해주는 사람들이 있겠죠
아이웹스토리님 께서는 본인 홈페이지가 가치가 있다면 1000만원 1억 부르시면 되는겁니다.

아뇨... 대략적으로 쓴거지... 싸우자고 쓴 건 아닙니다??
소프트웨어에 대한건 직접성은 떨어지죠 의뢰자에겐.. 하지만 처벌 부과 기준은 우선 결과물 최종 수령자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의뢰자는 이를 방치하지 않아야할 의무가 있고.. 확인해야할 의무가 있으며... 결과물에 대한 책임을 명시해야할 의무도 있습니다. 물론 작업자를 알려주면 되지만 연락이 안되면요?? 책임이 간접적이지만 돌아갑니다. 그 다음에 별도로 제작자에게 소송을 걸어야겠죠. 이건 소프트웨어(일반 저작 툴 기준)이고요.
이미지를 비롯한 폰트 등으로까지 들어가면 보다 더 직접적으로 의뢰자에게 책임이 돌아갑니다.
정품을 쓰지 않았다 정도만이 아니라 이를 방치한 것에 대한 책임이 직접적으로 의뢰자에게도 갑니다. 물론 제작자에게도 가고요.
이게 사실 문제가 많이 되는 꺼리긴 하지만 사실 그렇습니다. 현실이구요.
확대 해석하면 더 포괄적으로 많이 걸립니다.
때문에라도 계약서에 의뢰자와 저작자는 함께 꼼꼼하게 작성해둬야한다는 것입니다.
소프트웨어에 대한건 직접성은 떨어지죠 의뢰자에겐.. 하지만 처벌 부과 기준은 우선 결과물 최종 수령자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의뢰자는 이를 방치하지 않아야할 의무가 있고.. 확인해야할 의무가 있으며... 결과물에 대한 책임을 명시해야할 의무도 있습니다. 물론 작업자를 알려주면 되지만 연락이 안되면요?? 책임이 간접적이지만 돌아갑니다. 그 다음에 별도로 제작자에게 소송을 걸어야겠죠. 이건 소프트웨어(일반 저작 툴 기준)이고요.
이미지를 비롯한 폰트 등으로까지 들어가면 보다 더 직접적으로 의뢰자에게 책임이 돌아갑니다.
정품을 쓰지 않았다 정도만이 아니라 이를 방치한 것에 대한 책임이 직접적으로 의뢰자에게도 갑니다. 물론 제작자에게도 가고요.
이게 사실 문제가 많이 되는 꺼리긴 하지만 사실 그렇습니다. 현실이구요.
확대 해석하면 더 포괄적으로 많이 걸립니다.
때문에라도 계약서에 의뢰자와 저작자는 함께 꼼꼼하게 작성해둬야한다는 것입니다.
폰트말하는게 아니잖아요 폰트는 홈페이지 제작자가 만든것이 아니라 폰트제작자가 만든 1차 결과물이니 당연하게
책임을 판매자 구매자 둘다 물을수있겠죠
제가 말한것은 웹스토로님이 예를드신 불법 포토샵으로 제작된 이미지를 말하는겁니다. 다시 읽어보세요
책임을 판매자 구매자 둘다 물을수있겠죠
제가 말한것은 웹스토로님이 예를드신 불법 포토샵으로 제작된 이미지를 말하는겁니다. 다시 읽어보세요

아쉬운쪽이 손해보더라도 한다면 그건 거래성립이에요ㅎ
추후 너무한다 등등은 불만사항이지 ... 홈페이지 제작 요즘 빌더설치해주고 돈받는곳이 많음ㅡㅡ
추후 너무한다 등등은 불만사항이지 ... 홈페이지 제작 요즘 빌더설치해주고 돈받는곳이 많음ㅡㅡ

설치비도 돈 받는게 틀리진 않는 듯 합니다. 실제 OS 설치하고 설치비 받던 시절도 있었으니깐요.. 출장비도 있겠지만..

뭐 그냥 쓴건데 또 마구 끝까지 무시는 분도 계시네요..
그렇다고요.. 그냥요...
물론 자유경쟁시장에서 가격에 대해 왈가왈부할 필요 없다고 할 분들도 물론 계시고.. 맞아요.
맞습니다.
그렇다면요.. 이렇게도 볼 수 있겠지요.
시장 가격이 무너지면... 수요와 공급의 기본에만 집착하여 방치하는 것만이.. 과연 제공자와 제공받는자는..???
자신의 권리를 찾을 필요성이 있죠.
시장의 복잡성과 변화성을 고려한다면... 자유로우나 개입이 커야만 하는 시장의 근원적 이중성이 있는거죠.
그냥 놔둔다... 맞지만 틀리기도 한 것이랍니다.
나만 잘하면 된다? 이도 틀렸죠. 나만 되면 되는게 아니라 적극적으로 시장 개선에 갑과 을은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야한다고 봅니다.
의무입니다..라고 말하고 싶네요. 개인적 의견입니다.
그렇다고요.. 그냥요...
물론 자유경쟁시장에서 가격에 대해 왈가왈부할 필요 없다고 할 분들도 물론 계시고.. 맞아요.
맞습니다.
그렇다면요.. 이렇게도 볼 수 있겠지요.
시장 가격이 무너지면... 수요와 공급의 기본에만 집착하여 방치하는 것만이.. 과연 제공자와 제공받는자는..???
자신의 권리를 찾을 필요성이 있죠.
시장의 복잡성과 변화성을 고려한다면... 자유로우나 개입이 커야만 하는 시장의 근원적 이중성이 있는거죠.
그냥 놔둔다... 맞지만 틀리기도 한 것이랍니다.
나만 잘하면 된다? 이도 틀렸죠. 나만 되면 되는게 아니라 적극적으로 시장 개선에 갑과 을은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야한다고 봅니다.
의무입니다..라고 말하고 싶네요. 개인적 의견입니다.
시장이 시장 왜 무너진다고 생각하시는 모르겠네요. 갑과 을이라고 하셨는데 을이라면 소비자를 말하는 것같은데
소비자가 왜 몇몇 홈페이지 제작자들 밥그릇까지 책임을 져야 하는건지 이해를 못하겠네요
그건 아니라고 봅니다.
연필을 예를 들면 과거 연필이 처음나왔을때는 연필 한자루가 비싸게 팔렸겠죠 하지만 지금 연필이 싸다고
불평하는 판매자나 소비자가 있나요?
저급한 홈페이지 싸게 파는 사람이있다면 고급화 된 홈페이지를 비싸게 파는 사람들도 있는 겁니다.
소비자가 왜 몇몇 홈페이지 제작자들 밥그릇까지 책임을 져야 하는건지 이해를 못하겠네요
그건 아니라고 봅니다.
연필을 예를 들면 과거 연필이 처음나왔을때는 연필 한자루가 비싸게 팔렸겠죠 하지만 지금 연필이 싸다고
불평하는 판매자나 소비자가 있나요?
저급한 홈페이지 싸게 파는 사람이있다면 고급화 된 홈페이지를 비싸게 파는 사람들도 있는 겁니다.
아 갑과 을 반대로 말했네요 아마도 글쓴분은 갑이 소바지고 을이 홈페이지 판매자로 말씀하신것같은데
무슨 근로 관계인가요? 소비자와 판매자 개념이지
글쓴이가 용역 계약으로 일을한다면 몰라도 지금까지 말한것으로 보아 홈페이지를 제작하여 판매하는 판매자 말한거 아닌가요?
무슨 근로 관계인가요? 소비자와 판매자 개념이지
글쓴이가 용역 계약으로 일을한다면 몰라도 지금까지 말한것으로 보아 홈페이지를 제작하여 판매하는 판매자 말한거 아닌가요?

싸우자는겁니까...?
핵심을 안보시고 트집만 잡으시려하네요.. 하하..
전 상관 없어요.. 하지만 상황을 주시하기엔 너무 나쁜거죠..
수동적이기보단 적극적이어야 공생이 가능합니다.
악순환으로 무너지는 상황을 좌시하자는겁니까... 하하.
핵심을 안보시고 트집만 잡으시려하네요.. 하하..
전 상관 없어요.. 하지만 상황을 주시하기엔 너무 나쁜거죠..
수동적이기보단 적극적이어야 공생이 가능합니다.
악순환으로 무너지는 상황을 좌시하자는겁니까... 하하.
아니 자꾸 싸우자고 왜 물어보시는데요 ㅋㅋ 그냥 댓글다는거지
핵심에 대해 물어보고있잖아요 수동적이기 보단 적극적란 뜻이 뭔데요?
구매자가 가격을 높게 쳐주는건가요? 아니면 국가에서 적극적인 법으로 가격 제한을 해야 한다는건가요?
정확하게 뭘 주장하시는건지 모르겠습니다. 문맥상으로는 첫번째를 말하는것같은데..
과연 글쓴이 뜻대로 구매자가 가격을 높게 쳐줄까요?
핵심에 대해 물어보고있잖아요 수동적이기 보단 적극적란 뜻이 뭔데요?
구매자가 가격을 높게 쳐주는건가요? 아니면 국가에서 적극적인 법으로 가격 제한을 해야 한다는건가요?
정확하게 뭘 주장하시는건지 모르겠습니다. 문맥상으로는 첫번째를 말하는것같은데..
과연 글쓴이 뜻대로 구매자가 가격을 높게 쳐줄까요?

그냥 토론인거죠 뭐ㅎ 요새 사이트제작은 단가30만정도라서ㅎㅎ오픈소스가 너무많다는ㅋ
앱제작쪽으로 전환하세요
최신글 제작 수준이 500 정도 되요ㅋ
앱제작쪽으로 전환하세요
최신글 제작 수준이 500 정도 되요ㅋ

그러게요.. 그냥 던진 화두에 너무 과도한 반응이...
토론의 경우에라도 부분적으로 치고 들어오면 토론이 아니라 따지는거 밖에...
전 제작엔 별 불만은 없어요. 일반 제작도 고가는 있는 법이고... 앱도 초저가는 있는 법이니깐...
가볍게 던진 화두.. 그러나 생각해봐야한단 전체적 화두에.. 부분적인 것만 가지고 난리법썩이니 좀 머쓱하네요.
저분...
토론의 경우에라도 부분적으로 치고 들어오면 토론이 아니라 따지는거 밖에...
전 제작엔 별 불만은 없어요. 일반 제작도 고가는 있는 법이고... 앱도 초저가는 있는 법이니깐...
가볍게 던진 화두.. 그러나 생각해봐야한단 전체적 화두에.. 부분적인 것만 가지고 난리법썩이니 좀 머쓱하네요.
저분...
오랫만에 글좀 읽으러 왔다가 정확한 스캔은 하지 않았지만 댓글이 많아 클릭 했는데 일단 제작 업체 혹은 프리렌서라면
누구나 고민을 하는 것이 이 제작 단가 일겁니다.
물론 이부분에 있어서는 클라이언트도 반드시 생각을 할것이겠죠
제작 단가가 낮아 지는 이유는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 지기 때문이겠죠 실제 대학생까지 죄다 프리로 뛰고 이 모든것에는
오픈 소스라고 불리우는 제로보드와 그누보드에도 한 몫을 했다고 보여 집니다. 물론 상당히 고마운 보드이고 감사해야 할 일이지만
오픈 소스로 인해 누구나 뚝딱 하면 사이트를 만들 수 있고 회원 연동을 할 수 있고 이러한 환경은 불과 우리나라 뿐만은 아닐거라 보여 집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만들고자 하는 수요자 보다 사이트를 제작해 주는 공급자가 너무 많죠
그래서 대부분 메이저급이 아닌 이상 지방은 대부분 유지 보수 쪽으로 유지를 하는 이유이기도 하고 프리렌서는 유지보수를 하는데 한계가 있기에 대부분 제작에 뛰어 들고 중소 업체는 프리 잡아다가 단가를 내려 또다시 하청을 주고 중간에 중계를 하시는 분들도 있기에 최종적으로는 실제 작업을 하고 고생을 한 작업자 개발자에게는 터무니 없는 제작 비용이 지불 되고 있는 현실이죠 ^^
만약 오픈 소스가 없고 사람들이 이러한 사이트 제작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공간이 없다면 무르는게 값일 겁니다.
그러나 그러한 형태는 이젠 더이상 없어졌다고 봐야 하죠 즉 개발자 제작자 보다 공급자가 더 적으니 너도 나도 단가를 내리고
그 내린 단가가 이젠 바닥까지 온거겠죠
그리고 각종 오픈 소스들고 내가 좀 만져 보니 간단 하던데 ? 이것도 한몫하겠죠
이미 단가에는 답이 없습니다. 개발자가 자기 기술을 높여서 대형 프로젝트만 받던지 아니면 자기가 직접 어떠한 사업에 개척해서
다른쪽으로 하던지 둘중에 하나죠 날이 가면 갈 수록 사용자 편의 주의 솔루션들은 상당히 많이 나옵니다.
그걸 아무것도 모르는 초보자 분들도 쉽게 요리 할 수 있는 시대가 왔구요
그누보드 스킨만 해도 그렇죠 왠만한건 다 있고 워낙 솔루션 자체가 잘 되어 있습니다.
플래시가 한참 없어지는 모바일 기기의 발달로 인한 플래셔 분들이 아마 많이 고민 했을 법한 일인거 같습니다.
수요는 적고 쓰는데는 없고 아무튼 횡설 수설이 길어 졌는데 제 개인적으로 봤을때는 자연적인 현상으로 보여 집니다.
노동의 댓가를 생각 하면 몇천을 받아도 부족하지 않을 분들이 많지만 사실상 시장 구조상 어쩔 수 없고 또 몇천이면 메이저급에서
정말 우리나라에서 알아주는 개발자들이 투입이 되서 결과물이 180도 달라지니 말이죠 ^^
아무튼 여러운 문제이지만 이러한 문제는 2000 오픈소스가 발달되고 최소한 2005년 이후로 계속 되던 문제이고 답이 없는 문제이죠
싸네 뭐하네 말 할것도 없이 자연적인 현상이 아닌가 생각이 드네요 ^^
누구나 고민을 하는 것이 이 제작 단가 일겁니다.
물론 이부분에 있어서는 클라이언트도 반드시 생각을 할것이겠죠
제작 단가가 낮아 지는 이유는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 지기 때문이겠죠 실제 대학생까지 죄다 프리로 뛰고 이 모든것에는
오픈 소스라고 불리우는 제로보드와 그누보드에도 한 몫을 했다고 보여 집니다. 물론 상당히 고마운 보드이고 감사해야 할 일이지만
오픈 소스로 인해 누구나 뚝딱 하면 사이트를 만들 수 있고 회원 연동을 할 수 있고 이러한 환경은 불과 우리나라 뿐만은 아닐거라 보여 집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만들고자 하는 수요자 보다 사이트를 제작해 주는 공급자가 너무 많죠
그래서 대부분 메이저급이 아닌 이상 지방은 대부분 유지 보수 쪽으로 유지를 하는 이유이기도 하고 프리렌서는 유지보수를 하는데 한계가 있기에 대부분 제작에 뛰어 들고 중소 업체는 프리 잡아다가 단가를 내려 또다시 하청을 주고 중간에 중계를 하시는 분들도 있기에 최종적으로는 실제 작업을 하고 고생을 한 작업자 개발자에게는 터무니 없는 제작 비용이 지불 되고 있는 현실이죠 ^^
만약 오픈 소스가 없고 사람들이 이러한 사이트 제작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공간이 없다면 무르는게 값일 겁니다.
그러나 그러한 형태는 이젠 더이상 없어졌다고 봐야 하죠 즉 개발자 제작자 보다 공급자가 더 적으니 너도 나도 단가를 내리고
그 내린 단가가 이젠 바닥까지 온거겠죠
그리고 각종 오픈 소스들고 내가 좀 만져 보니 간단 하던데 ? 이것도 한몫하겠죠
이미 단가에는 답이 없습니다. 개발자가 자기 기술을 높여서 대형 프로젝트만 받던지 아니면 자기가 직접 어떠한 사업에 개척해서
다른쪽으로 하던지 둘중에 하나죠 날이 가면 갈 수록 사용자 편의 주의 솔루션들은 상당히 많이 나옵니다.
그걸 아무것도 모르는 초보자 분들도 쉽게 요리 할 수 있는 시대가 왔구요
그누보드 스킨만 해도 그렇죠 왠만한건 다 있고 워낙 솔루션 자체가 잘 되어 있습니다.
플래시가 한참 없어지는 모바일 기기의 발달로 인한 플래셔 분들이 아마 많이 고민 했을 법한 일인거 같습니다.
수요는 적고 쓰는데는 없고 아무튼 횡설 수설이 길어 졌는데 제 개인적으로 봤을때는 자연적인 현상으로 보여 집니다.
노동의 댓가를 생각 하면 몇천을 받아도 부족하지 않을 분들이 많지만 사실상 시장 구조상 어쩔 수 없고 또 몇천이면 메이저급에서
정말 우리나라에서 알아주는 개발자들이 투입이 되서 결과물이 180도 달라지니 말이죠 ^^
아무튼 여러운 문제이지만 이러한 문제는 2000 오픈소스가 발달되고 최소한 2005년 이후로 계속 되던 문제이고 답이 없는 문제이죠
싸네 뭐하네 말 할것도 없이 자연적인 현상이 아닌가 생각이 드네요 ^^

어디나 답은 없죠.
그래저래 따지면 한도 끝도 없구요.
다만... 당연시 해버리기만 하면 결국 공멸이란거죠.
어찌 방어해보자란 의미에서 쓴 글은 아니고요. 한 편으론 생각해보잔 의미로 흘려서 썼었습니다.
그래저래 따지면 한도 끝도 없구요.
다만... 당연시 해버리기만 하면 결국 공멸이란거죠.
어찌 방어해보자란 의미에서 쓴 글은 아니고요. 한 편으론 생각해보잔 의미로 흘려서 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