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서버? 배보다 배꼽을 크게 해서 중소 홈페이지 다 죽이려는 생각!! > 십년전오늘

십년전오늘

10년전 추억의 책장을 넘기며

보안서버? 배보다 배꼽을 크게 해서 중소 홈페이지 다 죽이려는 생각!! 정보

보안서버? 배보다 배꼽을 크게 해서 중소 홈페이지 다 죽이려는 생각!!

본문

모든 회원가입 사이트는 보안서버를 마련하라니요?



하단을 보시면 관련 기사가 있을 것입니다.

 

제X보드나 그X보드를 이용해서 사이트를 만들더라도 회원유치용 사이트를 제작할 수 있는 만큼 우리나라의 개인사이트도 마치 거대한 커뮤니티나 포털처럼 수준의 질이 높습니다.

 

물론 필자는 개인사이트든 포털사이트든 필요이상의 정보를 입력하라고 강요하는 것을 매우 못 마땅하게 생각합니다.

솔직히 우리나라는 아무 사이트나 가입할 때마다 주민번호나 주소등을 지나치게 요구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홍보와 정화운동으로 그러지 말도록 유도해야 하는 것입니다.

정부가 마치 조선시대의 제왕처럼 모든 것을 이래라 저래라 하는 것은 공산주의적 발상입니다.

 

예를들겠습니다.

컴맹 주부가 홈쇼핑 한번 운영해 보는 것이 꿈이라서 자신이 직접 만든 스웨터를 1만5천원에 판매합니다.

웹호스팅 비용 1년에 9천원줬고 도메인 비용 1년에 1만원 줬습니다.

어찌어찌 누가 홈쇼핑몰 만들어 줘서 운영은 시작했는데 역시나 컴맹이다 보니 홍보가 부족해서 한달 순수익이 5만원도 안됩니다. 하지만 그냥 취미생활이므로 그 자체로도 재밌는 주부입니다.

이런 쇼핑몰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그런데 난데없이 50만원짜리 보안서버를 구축하랍니다. 최저가 3만5천원이라더니 이것저것 요구사항이 많고 결국은 웹서버 회사만 장사시켜 주는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가 하나둘이 아닌데 정부는 우리나라 인터넷인구를 얕잡아 보고 모든 쇼핑몰은 돈 많은 기업이 하는 줄 압니다. 영세상인이 더 많다는 사실은 꿈에도 생각 못 합니다.

최저웹호스팅 비용: 1년 3000원, 보안서버비용 : 1년 3만5천원~50만원입니다.

 

또 예를 들겠습니다.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한 예비대학생은 어찌하다가 게임관련 사이트를 만들었습니다.

그냥 회원가입을 받다보니 자꾸 이중중복으로 회원가입을 하는 유령회원이 생겨나고 광고를 마구 올리는 도배꾼들 때문에 운영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주민번호를 받아서 이것을 막았습니다.

그런데 난데없이 개인정보 받았으니 50만원짜리 보안서버 구축하랍니다.

이런 곳이 한둘이 아닌데 우리 정통부는 한국의 모든 커뮤니티 사이트는 돈 많은 기업이 하는 줄 압니다. 일반인, 개인들이 더 많다는 사실은 꿈에도 생각 못 합니다.

 

※ 원본 : 제휴소 (www.zehuso.com  퍼가기 자유, 이 원본표시 삭제금지)

 

이게 말이돼는지요?

웹서버 회사만 장사시켜주는 꼴이고 결국은 보안서버 해봐야 수지타산 안 맞는 영세 사업자나 비전문가들은 홈페이지 문을 닫도록 만들어 줍니다. 마지막에는 거대 포털들만 장사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이게 말이 돼는지요?

 

 

그렇다면 정부는 두가지 중에 한가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첫째, 중규모 이하의 사이트에는 보안서버를 무료로 제공하게 해야 합니다. 웹호스팅 신청할 때 자동옵션이 되도록 하든지, 무료 계정이라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러니까 정부가 명령할 일이 아니라 "지원"을 해 줘야 할 일이란 뜻입니다.

둘째, 그게 아니라면 이 멍청한 제도를 폐쇄해야 합니다. 대신 주민번호, 휴대전화 등 일부정보 수집차단에만 한정 시켜야 합니다. 신문기사에 난 듯이 아이디와 패스워드까지 보안대상이라면 대한민국에서 한 단곳도 개인이 커뮤니티 사이트를 운영할 수 없겠됩니다.
e-mail이나 아이디, 비번 등은 세계적으로 어디나 하는 것입니다.

외국의 경우 회원가입시 기껏해야 아이디, 패스워드, 메일주소 정도를 입력받는 곳이 많습니다.

한국이 지나친 건 사실이지만 개인정보가 그토록 걱정된다면 이 정도의 수준으로 완화해서 회원을 받도록 개도개몽을 해야 합니다.

 

정통부는 할 일은 하지 않고 뭐든지 편한 방법만 생각합니다.

물론 정통부에 인재들이 모여서 결정한 전문가적 판단이겠지요. 하지만 모든 전문가가 현실을 알지는 못합니다.

대부분의 전문가는 배고픔을 겪어볼 확률이 적은 것이 사실입니다. 서민들은 그럴 확률이 높습니다.

가난할 확률 높은 배고픈 집단에게 편하게 살 확률이 오히려 높은 전문가가 앉아서 명령합니다. 돈 더 내라고...

아주 잘 못된 일입니다.

 

제휴소를 방문한 여러분은 이런 사실을 널리 알려서 바로 잡도록 노력하셔야 앞으로 부업이라도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관련기사


인터넷 사업자들 연내 보안서버 갖춰야 
 
 

[머니투데이  2007-05-10 14:13:00]
 
 
[머니투데이 문병환기자]인터넷을 통해 사업을 하는 사업자라면 올해 안에 ‘보안 서버’를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 정보통신부가 보안서버 구축을 의무화했기 때문이다. 만약 이를 어길 경우 최고 10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내는 등 낭패를 보기가 쉽다. 여기서 말하는 보안서버란 인터넷상에서 사용자의 PC와 웹서버 사이에 송수신되는 개인정보를 암호화해 전송해주는 서버를 말한다. 가령, 주민등록번호, 이름, 전화번호, 계좌번호뿐 아니라 로그인시 사용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 등의 개인정보가 보안 대상이다.
따라서 앞으로 자신이 운영하는 쇼핑몰이 영세하고, 가입자 수가 많지 않다고 해도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한, 보안서버를 반드시 구축해야 한다. 특히, 정통부가 지난 3월부터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와 일일방문자수 기준 상위 웹사이트들을 우선 대상으로 규제를 시작했고, 올해 말까지 전체 사업자로 모니터링을 확대할 계획이므로 올해 안에는 반드시 갖추는 것이 좋다.


하지만, 영세한 쇼핑몰을 운영하는 사업자들에게 보안 서버 구축은 경제적으로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보안서버의 구축가격이 최고 50만원에 이르기 때문이다. 물론 정통부가 보안서버 구축 활성화를 위해 구축 비용의 인하를 유도하여 최저 3만5천원(1년 기준) 수준으로 낮아졌지만 여전히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도메인 등록 및 호스팅업체인 XXX(대표 이청종, XXXXX.co.kr)는 영세 쇼핑몰의 이런 가격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오는 5월 말일까지 웹호스팅을 신청한 고객을 대상으로 무료 및 할인 이벤트를 실시한다. 우선 웹호스팅 신규 신청 고객에게는 1년 동안 보안서버 인증서를 무료로 제공, 설치해준다. 기존 고객이 신청하면 설치비 3만원을 면제해준다. 이외에도 .cn 중국 도메인을 무료로 등록해주며, 추첨을 통해 영화예매권도 제공한다.


문병환기자 moon@

(작성자 제휴소 註 : 마치 호스티업체 광고해 주는 듯한 기사라서 업체명과 도메인 주소를 XXX로 지워버렸으니 양해 바랍니다.)

 

 


 

댓글 전체

공무원들이 하도 일거리가 없어서... 업계 배 불려 주고... 작은 업체 다 죽이려 하는 겁니다.
PC와 웹서버 사이에서 1년에 해킹이 몇건이나 일어난다고 이런 개xx 같은 짓을 하는 건지.
공무원들 다 짤라 버리기 전에 이런거 안줄어 듭니다. ㅉㅉ
아~~ 욕나올라 그러네..
참! 어이없는 정책입니다.
도둑은 국가에서 잡고 막아야지...
예로 오프라인상 구명가게에서 캡스를 쓰건말건 선택사양이지...
이런... 이제는 조그만 가게도 캡스같은거 안쓰면 벌금 물리것네...
가게에 캡스같은거 가입한다고 도둑 안드는거 아니고
역시 보안서버 설치한다고 안뚤리는거 아닌데....
참나...어이없네...에이 퉤퉤퉤~~
아! 짱나는 울나라 정통부
하나마나 똑같죠..(글 일고 있으니까 참 좋은 말씀 하셨네요 캡스 단다고 해도. 도둑 안맞나요? 그걸 역 이용해서 접근 할수도..^^;)
전부. 중간에 뭔가가 로비가 있었던지. 했겠죠.........
한다고 해서 뭐 달라 진것 있을까요?..
신문에서 해킹 빈도가 낮아 지고 있네요 그런말도 없고...
설상.. 해킹 당해도 해당 업체에서는 쉬쉬 합니다.
왜냐면... 한번 까 발쎠 지면.. 이제 그... 기업은 망했다고 봐야 하니까요...
전.. 우선 보안ssl 패킷만 보호 하지 말고 내부적인 DB 주민번호 부터 암호화 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SSL만 하면 뭐 합니까.... 실상 DB 보면 전부.... 다... 홀딱 .. 보이는데...
대다수. 컨텐츠로 수익을 얻는 구조 적인 홈페이지에서는 주민번호/비번 은 암호화 거의 하지 않습니다 .
제가.. 몇군데 봐서 아는데... 홈페이지 하단엔 SSL 뭐.. 인증 어쩌고 저쩌고.. 했다고 안전 하다고 하지만.
디비 접근해 보면.... 암호 부터 시작해서.. 주번. 전부 홀딱........... 나와 있으니 그것참...
자본주의 폐해일 것입니다. 굳이 이 경우만 그렇겠습니까?? 휴대폰 사용하다 장난전화때문에 사회문제가 되니
정부가 나서서 통신회사 배불려주는 정책만들듯 정부도 세금 몫돈으로 마구 주는 그런 곳에 편한 정책마련해줘야
먹고 사시니까요
음.. 이런 글에 댓글 달기 시작하면 한도 끝도 없어지는데.. ㅡ_ ㅡ 할 말은 많지만.. 줄여서..
다른 분들 말씀대로..
울 나라 공무원들... 정부 기관들.. 정말 이해할 수 없는 행동만 할 뿐..
역주행을 대가들이죠.
더 이상 언급은 안하겠음. 해봤자 열만 날 꺼 같음.. - _ -;; 이런다고 사회가 개혁되는거도 아닐테고... 에혀.
전체 141,309
십년전오늘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