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큐 테스트 정보
아이큐 테스트
본문
댓글 24개

200 아닌가여 ㅡㅡ?
-
채택 0
ㅎㅎ 섣불리 달았다가 ㅡㅡ; 실수하고 고쳐서 다시 달음
총 100
보석상의 손해는 손님에게 준 보석(70만원)과 현금 30만원
보석70만원+현금30만원+정신적보상-보석의마진=?
해설:
보석상은 손님에게 현금 30만원을 주고 70만원을 가지고 있었음.
그래서 보석상이 빵집의 준 100만원 중 70만원은 이미 가지고 있었음으로 30만원의 손해.
그리고 처음 손님에게 준 보석과 현금중 현금은 보석상의 돈이 아니고 빵집의 돈으로 30만원을
준것으로 보석상의 손해가 아니고 70만원의 보석이 보석상의 손해임.
총 100
보석상의 손해는 손님에게 준 보석(70만원)과 현금 30만원
보석70만원+현금30만원+정신적보상-보석의마진=?
해설:
보석상은 손님에게 현금 30만원을 주고 70만원을 가지고 있었음.
그래서 보석상이 빵집의 준 100만원 중 70만원은 이미 가지고 있었음으로 30만원의 손해.
그리고 처음 손님에게 준 보석과 현금중 현금은 보석상의 돈이 아니고 빵집의 돈으로 30만원을
준것으로 보석상의 손해가 아니고 70만원의 보석이 보석상의 손해임.
-
채택 0
100인거 같네요
-
채택 0
170?
-
채택 0

손님한테 보석 70만원 + 거스름돈 30만원
+ 빵집에서 받은돈 100만원에서 70만원가지고 있었으니 30만원채워서 돌려주면
총 130만원 아닌가요?
+ 빵집에서 받은돈 100만원에서 70만원가지고 있었으니 30만원채워서 돌려주면
총 130만원 아닌가요?
-
채택 0
두가지 거래로 나누어 본다면,
1. 사기꾼+보석상
2. 보석상+제과점 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일단 1. 거래에서 위조수표(0원의 가치)를 내고 보석(70만원)과 현금 30만원을 가져갔으니 보석상은 100만원의 손해를 입었습니다.
2. 거래에서는 보석상은 제과점에 위조수표(0원의 가치)를 주고 100만원을 받았으므로 100만원의 이득이 발생되었지만, 위조수표(0원의 가치)인 것을 알고 다시 원상복귀하였으므로 제과점과의 거래는 0원의 손해를 입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두 거래를 합치면 총 100만원의 손해를 보석상이 입었다는 결론입니다.^^
1. 사기꾼+보석상
2. 보석상+제과점 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일단 1. 거래에서 위조수표(0원의 가치)를 내고 보석(70만원)과 현금 30만원을 가져갔으니 보석상은 100만원의 손해를 입었습니다.
2. 거래에서는 보석상은 제과점에 위조수표(0원의 가치)를 주고 100만원을 받았으므로 100만원의 이득이 발생되었지만, 위조수표(0원의 가치)인 것을 알고 다시 원상복귀하였으므로 제과점과의 거래는 0원의 손해를 입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두 거래를 합치면 총 100만원의 손해를 보석상이 입었다는 결론입니다.^^
-
채택 0
이분 답이 제일 정답 일꺼 같네요
-
채택 0

170
70만원짜리 보석날렸고
빵집에다 빌린 100만원 갚아야하니.
70만원짜리 보석날렸고
빵집에다 빌린 100만원 갚아야하니.
-
채택 0
일단 현금 30만원 손해
내 다이야 준것(이익금 빼고) 70만원 손해
빵집에 빌린 100 갚아야 하므로 손해
합은 200 일것 같음
내 다이야 준것(이익금 빼고) 70만원 손해
빵집에 빌린 100 갚아야 하므로 손해
합은 200 일것 같음
-
채택 0

답은 어디서 찾나요?
궁금해서 자꾸 보고있어요 ㅠㅠㅠㅠㅠ
궁금해서 자꾸 보고있어요 ㅠㅠㅠㅠㅠ
-
채택 0

총 100이라네요. 보석값 70(내돈), 빌린돈 100(남의돈)에서 30(남의돈)쓰고 갚을때 30(내돈) 채워서 갚았으니.
-
채택 0

저도 머가 답인지 정말 궁금 ㅠㅠ
-
채택 0

모노폴리님 답이 정답인거 같네요.
100만원 손해
사기꾼 이득이 100만원입니다. 이건 헷깔리지 않고 풀수 있는데
130과 헷깔리는게 30만원 거슬러 주는게 보석상 손해라고 함정에 빠지잖아요.
30만원 어차피 빌려온 돈이므로 내돈아닙니다. 그러니 일단 손해가 아니지요.
보석상이 사기꾼에게 거슬러 줄때 까지 손해는 70
제과점에 반환할때 쌩돈 30 더했으니 100
이게 머라고 장농 밑에 잔돈 꺼내서 해봤네요. ㅎㄷㄷ
이득본놈(사기친놈)은 100만원 이득 봤는데 130으로 손해본다면 30은 중간에 새어 버리므로 말이 안됨
100만원 손해
사기꾼 이득이 100만원입니다. 이건 헷깔리지 않고 풀수 있는데
130과 헷깔리는게 30만원 거슬러 주는게 보석상 손해라고 함정에 빠지잖아요.
30만원 어차피 빌려온 돈이므로 내돈아닙니다. 그러니 일단 손해가 아니지요.
보석상이 사기꾼에게 거슬러 줄때 까지 손해는 70
제과점에 반환할때 쌩돈 30 더했으니 100
이게 머라고 장농 밑에 잔돈 꺼내서 해봤네요. ㅎㄷㄷ
이득본놈(사기친놈)은 100만원 이득 봤는데 130으로 손해본다면 30은 중간에 새어 버리므로 말이 안됨
-
채택 0

ㅡ,.ㅡ음?? 난 왜 단순하게 100만원이라고 생각했찌..
-
채택 0

저는 처음에 동전 꺼내서 세어 볼때 까지만 해도 130 나오더라구요. 근데 단순하게 수표 환전 제끼고 보석상과 사기꾼 거래에서 손해를 보니 보석상이 손해를 본건 100만원인데 바꿔서 사기꾼이 이득본게 100만원인데 30만원은 어디로?? 싶었습니다. 그래서 제과점과 보석상의 거래를 봤을때 제과점은 손해나 이득이 없더라구요. 그걸 보고 곰곰히 생각 해보니 100만원이 맞는거 같았습니다. 단순하게 생각 하신게 맞는거 같네요. 만약 100만원이 맞다면 이 덕분에 현실에서 돈 왔다 갔다 할때 절대 어리 버리 안탈 수 있겠습니다.ㅋㅋ
-
채택 0

손님(70만원 보석+30만원현금 이득) ---- 보석상(-100만원; 손해 ) --- 제과점(0원 손해없음.)
-
채택 0
문제의 오류!!! 거래의 발생 순서되로 풀면,
1. 보석의 판매대금(70)으로 수표(100) 받음 => 보석(70), 수표(100)
2. 빵집에 수표(100)을 현금(100)으로 교환 => 보석(70), 수표(0), 현금(100)
3. 보석과 거스름돈(30) 지불 => 보석(0), 수표(0), 현금(70)
4. 수표 사고로 빵집에 현금(100) 지불 => 보석(0), 수표(0), 현금(-30)
일반 적으로 접근하면 보석 판매대금(70) + 현금손실(30) = 손해액(100)
회계적으로 접근하면
보석 판매대금(매출) : 70만
현금손실(잡손실) : 30만
보석 매입대금(매입) : ?
손해액 = 70 - 매입 + 30 = 100 - 매입
따라서, 매입금액에 따라서 손해금액도 달라질수 있음.
1. 보석의 판매대금(70)으로 수표(100) 받음 => 보석(70), 수표(100)
2. 빵집에 수표(100)을 현금(100)으로 교환 => 보석(70), 수표(0), 현금(100)
3. 보석과 거스름돈(30) 지불 => 보석(0), 수표(0), 현금(70)
4. 수표 사고로 빵집에 현금(100) 지불 => 보석(0), 수표(0), 현금(-30)
일반 적으로 접근하면 보석 판매대금(70) + 현금손실(30) = 손해액(100)
회계적으로 접근하면
보석 판매대금(매출) : 70만
현금손실(잡손실) : 30만
보석 매입대금(매입) : ?
손해액 = 70 - 매입 + 30 = 100 - 매입
따라서, 매입금액에 따라서 손해금액도 달라질수 있음.
-
채택 0
1만원짜리 이미테이션 보석이라서 31만원 손해???
서로 서로 사기치는 이상한 세상... ㅎㅎ
서로 서로 사기치는 이상한 세상... ㅎㅎ
-
채택 0
복잡혀~
-
채택 0

보석 떼온 원가 + 70만원
-
채택 0
100만원
현금을 미리 준비해 놨으면 이렇게 복잡하게 안 만들어도 되쟎아..
보석상이 잘못 했네.. ㅋㅋ;;
현금을 미리 준비해 놨으면 이렇게 복잡하게 안 만들어도 되쟎아..
보석상이 잘못 했네.. ㅋㅋ;;
-
채택 0
여기도 100만원 당첨!!!
-
채택 0

100!
-
채택 0
방금 새글로 요 퀴즈 올렸엇는데...... 여기 같은 퀴즈가 있었네용 ^^ 아옹 ~
-
채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