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코딩과 관련된 질문 드립니다. 정보
그누보드 인코딩과 관련된 질문 드립니다.본문
제가 다니는 회사는 쇼핑몰을 영어,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한국이 아니기 때문에 영어가 기본이구요.
영어 인코딩은 Western Eroupean ISO이고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는 Unicode(UTF-8)입니다.
서버는 리눅스에 PHP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저희 회사 웹 사이트에 인코딩 문제가 있는데요.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를 사용해서 회원 가입을 한 회원들은 문자들이 다 이상하게 변해버려서 어드민 사이트에서 알아 볼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유니코드로 인코딩되어 발송되는 이메일도 만약 고객의 이메일 계정이 한국이나 중국이나 일본에 특정된 계정일 경우, 이상하게 변질된 이메일이 발송된다는 것입니다.
엔지니어가 아시아 사람이 아니라 영국 사람이다 보니 역으로 성립된 인코딩 문제에 대해서는 감을 못잡고 있습니다.
저도 잘은 모르지만 고수님들의 의견을 주시면 제가 어찌 함 알아 보려고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혹시... 도움을 주실 수 있나요????
한국이 아니기 때문에 영어가 기본이구요.
영어 인코딩은 Western Eroupean ISO이고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는 Unicode(UTF-8)입니다.
서버는 리눅스에 PHP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저희 회사 웹 사이트에 인코딩 문제가 있는데요.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를 사용해서 회원 가입을 한 회원들은 문자들이 다 이상하게 변해버려서 어드민 사이트에서 알아 볼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유니코드로 인코딩되어 발송되는 이메일도 만약 고객의 이메일 계정이 한국이나 중국이나 일본에 특정된 계정일 경우, 이상하게 변질된 이메일이 발송된다는 것입니다.
엔지니어가 아시아 사람이 아니라 영국 사람이다 보니 역으로 성립된 인코딩 문제에 대해서는 감을 못잡고 있습니다.
저도 잘은 모르지만 고수님들의 의견을 주시면 제가 어찌 함 알아 보려고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혹시... 도움을 주실 수 있나요????
댓글 전체
예. 성신여고에서 역사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 돈암동에서 활약하신 경험이 있는 분을 만나게 되니 매우 반갑군요. 원래, 제대로 배우지도 못하여 거의 야매 수준으로 그때 그때 꾸역 꾸역 컴퓨터 관련 문제를 처리하거나 포기하는 그냥 그런 사용자인데, 나름대로 國자 들어가는 과목을 담당하다 보니, 그래에 문자 인코딩 방식에 관심이 생겨서 이곳 저곳 기웃거리다 님의 글을 보고 넘게 참견하게 되었습니다. 별 도움이 되지 못할 것 같아서 안타깝군요.
두분의 고견 감사드립니다.
휴... 제가 직접하는 것이 아니라서 됩니다 안됩니다 답을 바로 드릴 수 없는게 안타깝지만
두분의 의견을 잘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참.. 그리고 조준연님이 관리하시는 사이트에도 가 보았습니다.
제가 성신여대 나왔는데... ^^
성신 여고 선생님이신가봐요?
휴... 제가 직접하는 것이 아니라서 됩니다 안됩니다 답을 바로 드릴 수 없는게 안타깝지만
두분의 의견을 잘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참.. 그리고 조준연님이 관리하시는 사이트에도 가 보았습니다.
제가 성신여대 나왔는데... ^^
성신 여고 선생님이신가봐요?
위분 댓글에 잘은 모르지만 약간의 이의라면 이의, 첨언이라면 첨언을 해 봅니다.
전에 모를 때는 별 생각없이, 예전에는 제로보드, 요즘에는 그누보드를 단순히 사용했었는데, euc-kr이라는 문자셋이 ksc5601 완성형 한글코드의 망령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후, '웹 표준의 url 처리 문자 인코딩 방식은 utf-8이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사용자들에게 한글로 된 url을 엑스박스 없이 보기 위해서는 인터넷 익스폴러러 옵션 중 'url을 utf-8로 보내기'옵션을 풀어야 한다는 찜찜한 말 하기 싫어서, utf-8로의 전환을 무식하게 추구해 봤습니다.
솔직히 당장 절실히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ksc5601에 기반한 euc-kr이라는 코드를 지금까지도 써야 하는 것에 나름대로 분노를 느꼈기 때문입니다.
제가 관리하는 서버의 mysql, apache, php 등의 기본 문자셋을 모두 utf-8로 설정하고, 그누보드의 소스를 모두 utf-8로 컨버트하고, 그누보드 소스내의 'euc-kr' 문자열을 모두 'utf-8'로 수정해서, 시험삼아 제가 관리하는 사이트(photo.sungshin.hs.kr)를 새로 구축하면서 적용해 보았습니다.
그 과정에서, 원래 워낙 아는 것이 없었기에 수많은 시행착오를 격었지만, 지금 제가 새로 구축한 사이트는, 한글로 된 화일을 다운로드 할때 화일명이 임의의 영문자열 화일명으로 바뀌어 받아지는 문제 빼놓고, 아직까지 다른 큰 문제를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네이버 메일로의 메일 전송도 문제 없이 잘 됩니다.
제가 알기로는 우리나라 사람들도 많이 쓰는 구굴의 gmail도 utf-8로 문자를 처리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혹시, 컴퓨터를 그냥 취미로 찝쩍거리 듯 해왔던, 역사를 전공하고, 현재 역사를 가르치며 살고 있는 사람이 맨땅에 해딩하듯이 수정한 그누보드 소스를 필요로 하신다면 제 메일로 연락주세요. 추후에 여러 사람들이 시험해 봐서 별다른 문제가 발견되지 않고, 위에 제가 언급한 문제를 여러 분들의 도움으로 해결하게 되어어 좀더 완성도 높은 상태가 된다면 나름대로 열린 열린 공간에 공개도 쑥쓰럽지만 공개해 보겠습니다.
전에 모를 때는 별 생각없이, 예전에는 제로보드, 요즘에는 그누보드를 단순히 사용했었는데, euc-kr이라는 문자셋이 ksc5601 완성형 한글코드의 망령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후, '웹 표준의 url 처리 문자 인코딩 방식은 utf-8이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사용자들에게 한글로 된 url을 엑스박스 없이 보기 위해서는 인터넷 익스폴러러 옵션 중 'url을 utf-8로 보내기'옵션을 풀어야 한다는 찜찜한 말 하기 싫어서, utf-8로의 전환을 무식하게 추구해 봤습니다.
솔직히 당장 절실히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ksc5601에 기반한 euc-kr이라는 코드를 지금까지도 써야 하는 것에 나름대로 분노를 느꼈기 때문입니다.
제가 관리하는 서버의 mysql, apache, php 등의 기본 문자셋을 모두 utf-8로 설정하고, 그누보드의 소스를 모두 utf-8로 컨버트하고, 그누보드 소스내의 'euc-kr' 문자열을 모두 'utf-8'로 수정해서, 시험삼아 제가 관리하는 사이트(photo.sungshin.hs.kr)를 새로 구축하면서 적용해 보았습니다.
그 과정에서, 원래 워낙 아는 것이 없었기에 수많은 시행착오를 격었지만, 지금 제가 새로 구축한 사이트는, 한글로 된 화일을 다운로드 할때 화일명이 임의의 영문자열 화일명으로 바뀌어 받아지는 문제 빼놓고, 아직까지 다른 큰 문제를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네이버 메일로의 메일 전송도 문제 없이 잘 됩니다.
제가 알기로는 우리나라 사람들도 많이 쓰는 구굴의 gmail도 utf-8로 문자를 처리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혹시, 컴퓨터를 그냥 취미로 찝쩍거리 듯 해왔던, 역사를 전공하고, 현재 역사를 가르치며 살고 있는 사람이 맨땅에 해딩하듯이 수정한 그누보드 소스를 필요로 하신다면 제 메일로 연락주세요. 추후에 여러 사람들이 시험해 봐서 별다른 문제가 발견되지 않고, 위에 제가 언급한 문제를 여러 분들의 도움으로 해결하게 되어어 좀더 완성도 높은 상태가 된다면 나름대로 열린 열린 공간에 공개도 쑥쓰럽지만 공개해 보겠습니다.
유니코드(utf-8) 을 문자셋으로 사용하면 당연히 한글부분에서는 깨집니다.
또한 말씀처럼 메일발송시에도 깨져서 나오는게 정상입니다
ko-euc-kr 로 변경해서 문자셋을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mysql 컴파일시(현재 운영중이라면 안되겠지만..)미리 이에대한 정의를 해주고 컴파일하면 위와 같은 문제는 발지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운영중이라면 문자셋을 변경해 주는 방법밖에 없습니다..(제가 알기로는..^^;)
그리고 메일발송부분은 유니코드로 인코딩해서 발송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만...
그냥 영문으로 발송해도 정상적으로 보일텐데요..
또한 말씀처럼 메일발송시에도 깨져서 나오는게 정상입니다
ko-euc-kr 로 변경해서 문자셋을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mysql 컴파일시(현재 운영중이라면 안되겠지만..)미리 이에대한 정의를 해주고 컴파일하면 위와 같은 문제는 발지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운영중이라면 문자셋을 변경해 주는 방법밖에 없습니다..(제가 알기로는..^^;)
그리고 메일발송부분은 유니코드로 인코딩해서 발송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만...
그냥 영문으로 발송해도 정상적으로 보일텐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