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어려운 질문좀(?) ^^;; 정보
조금 어려운 질문좀(?) ^^;;본문
코멘트 부분이 조금 애매 해서 질문 드리겠습니다.
흔히 뷰페이지에서 스킨에서 코멘트를 불러 올때
include_once("./view_comment.php");
라고 불러 오면 코멘트 스킨에서 ..
게시물에 제목을 나타내고 싶다거나 이 게시물에 전체 코멘트 갯수를 나타내고 싶을때 ..
<?=cut_hangul_last(get_text($view[wr_subject]))?>
<?=$view[wr_comment]?>개
이렇게 하면 잘 나타납니다.
근데 문제는 만약에 아이프레임으로 코멘트 부분만 따로 include 방식이 아니라
아이프레임 방식으로 불어 오면 해당 게시물에 대한 제목이라던지 ..
코멘트 갯수가 표시가 되지 않던데 .. ^^ 얼래 그런건가요 ? 검색을 해도 이부분은 나오지 않는거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
코멘트를 include 하면
<?=cut_hangul_last(get_text($view[wr_subject]))?>
<?=$view[wr_comment]?>개
이렇게 어디다가도 넣어도 잘 나오는데 ..
아이프레임으로 빼면 전혀 안나오네요 ^^;;
혹시 그래서 뷰페이지 스킨을 보니 코멘트 대부분 함수가 $list[$i] 이런식으로 다 되어 있길래
<?=cut_hangul_last(get_text($list[$i][wr_subject]))?>
<?=$list[$i][wr_comment]?>개
이렇게 해줘도 안나오던데 아이프레임으로 했때는 해당 게시물에 대한 제목과 코멘트 갯수를
넣을 수 없는건가요 ?? ^^;;
댓글 전체

$view 라는 변수는 $bo_table, $wr_id가 있을 때 commmon.php를 불러들이면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변수입니다.
iframe의 소스에서 common.php를 불러들이기 전에 $bo_table, $wr_id 값을 지정하도록 소스를 수정해보세요.
iframe의 소스에서 common.php를 불러들이기 전에 $bo_table, $wr_id 값을 지정하도록 소스를 수정해보세요.
말러님 친절한 답변 감사 드립니다. ^^
근데 제가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iframe의 소스에서 common.php를 불러들이기 전에 $bo_table, $wr_id 값을 지정하도록 소스를 수정해보세요.
이말씀은 무슨 말씀인가요 ??
아이프레임으로 해당 코멘트를 불러 올때
./view_comment.php?bo_table=<?=$bo_table?>&wr_id=<?=$wr_id?>
이렇게 불러 오기는 하는데 .. 위의 말씀이 무슨 말씀이신지 이해를 못하겠네요 ^^;;
근데 제가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iframe의 소스에서 common.php를 불러들이기 전에 $bo_table, $wr_id 값을 지정하도록 소스를 수정해보세요.
이말씀은 무슨 말씀인가요 ??
아이프레임으로 해당 코멘트를 불러 올때
./view_comment.php?bo_table=<?=$bo_table?>&wr_id=<?=$wr_id?>
이렇게 불러 오기는 하는데 .. 위의 말씀이 무슨 말씀이신지 이해를 못하겠네요 ^^;;

말씀하신 것처럼 불러들이면 $view 변수를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안된다니 저도 왜 그런지 잘 모르겠네요.
$result = sql_fetch("select wr_comment from `$g4[write_prefix]$bo_table` where wr_id='$wr_id'");
echo $result[wr_comment];
이렇게 하면 코멘트 개수를 찍을 수 있지 않을까요?
$result = sql_fetch("select wr_comment from `$g4[write_prefix]$bo_table` where wr_id='$wr_id'");
echo $result[wr_comment];
이렇게 하면 코멘트 개수를 찍을 수 있지 않을까요?
말러님 ^^ 답변 감사 드립니다.
또 말러님 때문에 몰랐던것을 하나 알았네요 ^^
정말 고개 숙여 감사 드립니다. ^^
또 말러님 때문에 몰랐던것을 하나 알았네요 ^^
정말 고개 숙여 감사 드립니다. ^^

include 와 iframe 의 차이점을 파악하시면 쉽습니다.
즉 view 페이지에는 이미 해당 게시글의 모든 정보를 불러서 변수에 저장이 된상태 입니다.
$view 라는 변수지요
이상태에서
include 하게 되면 해당 페이지에 소스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웹서버는 인식을 하지만
iframe은 별도의 주소을 호출해서 페이지를 별개로 보여주는 방식이라 그렇습니다.
그러므로 프레임 호출을 하기위해서는 $view 라는 변수에 저장되는 값들이 프레임 내에서도 존재하여야
정확하게 구현이 가능해 집니다.
코멘트의 수가 많을 경우 글 보기 시 쿼리로 인한 느려짐이나 그런것 때문에 그러신다면 별도로 튜닝을 하시거나 프레임 내에서의 코멘트 추출 관련 소스를 별도로 만드셔야 합니다.
즉 view 페이지에는 이미 해당 게시글의 모든 정보를 불러서 변수에 저장이 된상태 입니다.
$view 라는 변수지요
이상태에서
include 하게 되면 해당 페이지에 소스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웹서버는 인식을 하지만
iframe은 별도의 주소을 호출해서 페이지를 별개로 보여주는 방식이라 그렇습니다.
그러므로 프레임 호출을 하기위해서는 $view 라는 변수에 저장되는 값들이 프레임 내에서도 존재하여야
정확하게 구현이 가능해 집니다.
코멘트의 수가 많을 경우 글 보기 시 쿼리로 인한 느려짐이나 그런것 때문에 그러신다면 별도로 튜닝을 하시거나 프레임 내에서의 코멘트 추출 관련 소스를 별도로 만드셔야 합니다.
유찬아빠님 친절한 답변 감사 드립니다. ^^;;
include 하게 되면 전혀 다르게 인식을 한다는걸 이번에 처음 알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답변을 먼저 해주신 말러님에게 도움도 안되는 채택 하기 해드렸는데 유찬아빠님에게도 고개 숙여
친절한 답변에 감사 드립니다.^^
include 하게 되면 전혀 다르게 인식을 한다는걸 이번에 처음 알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답변을 먼저 해주신 말러님에게 도움도 안되는 채택 하기 해드렸는데 유찬아빠님에게도 고개 숙여
친절한 답변에 감사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