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P에서 APM과 관련된 메일 보내기~ 참 어렵습니다~ ㅠ.ㅠ 정보
XP에서 APM과 관련된 메일 보내기~ 참 어렵습니다~ ㅠ.ㅠ본문
안녕하세요~
제가 이것 저것 검색도 해보고~ PHPSCHOOL도 가보고 했지만... 답이 안나와서...
너무 답답하여~ 이렇게 질문 드려 봅니다~
(혹시 저의 무식함이 노여움을 살지도 모르겠습니다~ ㅠ.ㅠ)
우선 설치 환경은
윈도우 XP 프로페셔널
근사모의 APM설치
여기에 메일 서버가 필요하다하여~ Nmail 이라는 메일서버 설치~
그리고 아웃룩으로 메일을 보내고 받기가 됩니다~
제 컴에서~ (여기까지 하는데도 힘들었지만 ㅠ.ㅠ;; )
그래서 그누보드의 메일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데... 메일 보내기 완료 메세지는 나오나~
전혀 메일이 오질 않았습니다~
아~ 윈도우는 안되는구나~ 하고 포기하려는데...
어디서 본 소스가 생각나서 그걸 실행시켜 보았습니다~
이름은 그냥 testmail.php 라고 하였습니다.
============== 소스 시작 ==============
<?
$to_mail = "***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이메일주소 노출방지 ***";
$to_title = "종스가 보내는 두번째 메일";
$to_message = "완전히 너무 좋아 성공하기 바래";
$ret = mail($to_mail, $to_title, $to_message);
if( $ret )
{
echo "메일 전송 성공";
}
else
{
echo "메일 전송 실패";
}
?>
============= 소스 끝 ================
$to_mail = "***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이메일주소 노출방지 ***";
$to_title = "종스가 보내는 두번째 메일";
$to_message = "완전히 너무 좋아 성공하기 바래";
$ret = mail($to_mail, $to_title, $to_message);
if( $ret )
{
echo "메일 전송 성공";
}
else
{
echo "메일 전송 실패";
}
?>
============= 소스 끝 ================
헉~ 메일이 도착하셨습니다~
네이버는 그냥 도착~ 파란과 다음은 스팸으로 도착~
아무튼 도착 하긴 해서... 아~ 윈도우 서버에 apm에 nmail설치하니 되는데...
왜 그누보드는 깜깜 무소식인지... ㅠ.ㅠ;;;
제가 딜레마에 빠져 버렸습니다.
제 질문은 여기까지 입니다.
(솔직히 드릴말씀이 너무 많습니다~ 하지만 읽다가 지쳐 답변을 안해 주실까봐...
여기까지 하고... 아래는 끈기 있으신 분들만...-0-;;)
p.s 나름대로 생각한 결과~
1. 위에 소스는 php전용함수로 보낸것이다~ 그래서 된것이다~
그누보드는 리눅스의 sendmail이라는 것이 있어야 보내진다~
위의 생각이 맞다면? 리눅스만 가능한 것인가요? <- 이러면 정말 절망입니다~OTL
메일인증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하여~ 제가 운영체제를 리눅스로 바꿔야 한다는 ㅠ.ㅠ;;
2. 위에 말이 맞긴한데~
리눅스가 아니여도 상관없다~ 윈도우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당히 복잡하다~
모모모??? 사이트를 가보라~ <-- 등등 답변을 주시라는... ㅠ.ㅠ.;;;
솔직히 인터넷을 하다가 초보님들께서 아주 단순한 질문을 하신경우를 저도 많이 봅니다~
하지만~ 갑자기 저의 한계를 느껴~ 이렇게 질문을 남깁니다~ (혹? 제가 저런 경우에 낄수도 있지만... 어쩔수 없다는 생각에... 이렇게... )
======== 질문을 읽어 보니 이 정보가 필요하지 않을까? 해서... =======
저의 메일 서버는...
SMTP geusgod.dnip.net
POP3 geusgod.dnip.net
저의 홈페이지 주소이긴 합니다만... 서브도메인 인데도 이게 되던데요~ ^^;
***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이메일주소 노출방지 *** 이렇게 @앞에 제 맘대로 아이디를 부여할수 있더군요~
================================================================
제가 말이 많아서...
꼭~ 이걸 하고싶은것은...
서브도메인으로 자신의 컴터(특히 대부분이 xp유저이신데...)
xp에 웹서버, ftp서버(여기까지는 했는데... ...)
메일서버를 실현하고파서 이러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DNS서버 만들어~ 서브 도메인에 다시 서브도메인이 되지 않을까? ㅠ.ㅠ (저 혼자만의 생각입니다~ ㅠ.ㅠ)
댓글 전체
w3ip.com 에서 테스트용으로 받은 2차 도엠인 id.w3ip.co.kr 의 경우
nmail 에서의 세팅으로 자신의닉@id.w3ip.co.kr 로도 메일이 주고 받기가 충분히 되는것으로 테스결과 알려졌습니다.
window 시스템에서
IIS5.0 용 APMsetup5 으로 세팅을 마친후
그누보드를 설치해서 웹을 구성합니다. 웹서버는 IIS5.0 으로 하시고
프로그램->관리도구->인터넷서비스 관리자에서 기본웹사이트를 등록정보 보기에서 홈디렉터리 위치를 맞추시고 문서탭에서 index.php index.html index.htm 등 php 환경에서 해석 가능한 문서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기본 ftp 사이트는 초기값이 다른곳으로 되어 있기때문에 위에서 설정한 기본 웹사이트로 변경해 주시고
기본 ftp 사이트를 등록정보보기에서 보안계정탭->FTP 사이트 운영자 추가버튼을 클릭하셔서 실제 서버유저 아이디를 추가 해주시고, 여기서 서버유저 아이디는 대부분 도메인 이름과 같거나 비슷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버유저는 컴퓨터 관리나 유저 관리에서 추가 해 주시고 유저그룹은 컴퓨터 administrators 가 아니고 일반 유저 그룹이 어야 합니다. 홈디렉토리 탭으로 이동-> 로컬경로를 해당 웹 서버 디렉토리의 해당 웹공간으로 맞춰주시고 읽기,쓰기,방문기록 정도, 디렉토리 목록 스타일은 UNIX 로 하셔도 됩니다.
Namil 서버 설정은 설명대로 하시면 되지만 다시 간략 설명 드린다면
설치 완료후 Nmail Server 관리툴을 실행하셔서
기본설정->기본도메인 항목에 자신의 서비스 도에인을 입력 합니다.
기본 메일용량 맞춰주시고 환경저장은 매번 하셔도 됩니다.
세부설정 은 일단 기본값으로 사용하시고 메일서버 동작이 정상이라면 바꾸어주셔도 됩니다.
스펨설정 -> 기본스팸방지기능 -> SMTP 인증을 가장 간단한 세팅 값이라고 추천해 드리고 싶습니다.
확장 스팸방지 기능은 나중에 문제있을 경우에만 세팅 하도록 합니다.
유저관리 -> 보통 리눅스에서 /etc/mail/virtusertable 파일의 세팅 방법과 유사하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리눅스의 설정은 자신의닉@자신의도메인.com 실제계정아이디 이런식으로 되어 있을겁니다.
nmail 에서는 유저관리에서 사용자추가-> 유저(ID)-> 실제 컴퓨터 관리나 유저관리에서 추가된 접근 가능한
ID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유저아이디는 Nmail Server 와 웹서버 관리 유저와는 구별되게 만들수도 있다는
것만 알고 계시면 관리하시는데 어려움이 없을겁니다.
유저관리까지 다 맞추셨다면 기본설정 탭으로 이동하신후 환경저장 하시고 서비스 시작을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변경하실일 있으시면 서비스중지 하신후 환경변경->환경저장->서비스시작 순으로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인터넷 서비스 관리자의 기본 SMTP 가상 서버는 중지해 주셔야 위의 Nmail 사용에 지장이 없습니다.
여기까지가 일반적인 window+IIS5.0+APMsetup5.0 의 간략 세팅 방법입니다.
그리고 session 디렉토리의 사용권한은 리눅스에서는 707 (7: 디렉토리소유자 0:같은서버이용하는 같은 그룹 7:웹접근이용자) 이렇게 되어 있는데 IIS5.0 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유저들이 쓰게 될 디렉토리의 권한 문제를 맞추어 주셔야 합니다.
자신의 웹계정 위치가
d:\home\myhome 일경우
ftp 아이디도 동일하게 맞춰 주시면 다중 이용자 서비스 시스템이 가능합니다. 대신 네임서버는 동일하여야 겠지요...
일반 유저는 인터넷게스트계정,Everyone,그리고 ftp 사용권한 아이디 마지막으로 Administrator (s), 하나 더 추가 한다면 Users 일겁니다.
Administrator(s) 와 ftp 사용권한자 아이디는 모든 권한으로 맞추어 주시고
인터넷게스트계정/Everyone/Users 계정은 읽기 및 실행, 폴더 내용 보기(프로그램 에따라서), 읽기 로 맞춰 주시면 되겠습니다. 여기까지가 자신의 홈 루트 디렉토입니다.
그누보드 data 디렉토리는 다른 권한은 default 로 해주시고, Users 는 쓰기가 가능해야 합니다.
하위 폴더까지 사용권한을 변경하냐는 질문에 예를 클릭하여 주시면 끝...
윈도우 디렉토리 권한 문제는 조금 더 공부하시고 설정해 주시고,,,
공유기를 이용한 방화벽설정 또한 중요하니까 인터넷 검색을 이용하셔서 맞추어 주시면 되겠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사항이므로 잘못된점은 바로 잡아 주시고,, 더 좋고 세팅방법이 계시다면
이미지를 곁드린 교육을 부탁 드립니다 .ㅋ 너무 무리한 ㅋ ( 안되겠{습니까(니~)}?
좋은 하루 되세요
nmail 에서의 세팅으로 자신의닉@id.w3ip.co.kr 로도 메일이 주고 받기가 충분히 되는것으로 테스결과 알려졌습니다.
window 시스템에서
IIS5.0 용 APMsetup5 으로 세팅을 마친후
그누보드를 설치해서 웹을 구성합니다. 웹서버는 IIS5.0 으로 하시고
프로그램->관리도구->인터넷서비스 관리자에서 기본웹사이트를 등록정보 보기에서 홈디렉터리 위치를 맞추시고 문서탭에서 index.php index.html index.htm 등 php 환경에서 해석 가능한 문서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기본 ftp 사이트는 초기값이 다른곳으로 되어 있기때문에 위에서 설정한 기본 웹사이트로 변경해 주시고
기본 ftp 사이트를 등록정보보기에서 보안계정탭->FTP 사이트 운영자 추가버튼을 클릭하셔서 실제 서버유저 아이디를 추가 해주시고, 여기서 서버유저 아이디는 대부분 도메인 이름과 같거나 비슷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버유저는 컴퓨터 관리나 유저 관리에서 추가 해 주시고 유저그룹은 컴퓨터 administrators 가 아니고 일반 유저 그룹이 어야 합니다. 홈디렉토리 탭으로 이동-> 로컬경로를 해당 웹 서버 디렉토리의 해당 웹공간으로 맞춰주시고 읽기,쓰기,방문기록 정도, 디렉토리 목록 스타일은 UNIX 로 하셔도 됩니다.
Namil 서버 설정은 설명대로 하시면 되지만 다시 간략 설명 드린다면
설치 완료후 Nmail Server 관리툴을 실행하셔서
기본설정->기본도메인 항목에 자신의 서비스 도에인을 입력 합니다.
기본 메일용량 맞춰주시고 환경저장은 매번 하셔도 됩니다.
세부설정 은 일단 기본값으로 사용하시고 메일서버 동작이 정상이라면 바꾸어주셔도 됩니다.
스펨설정 -> 기본스팸방지기능 -> SMTP 인증을 가장 간단한 세팅 값이라고 추천해 드리고 싶습니다.
확장 스팸방지 기능은 나중에 문제있을 경우에만 세팅 하도록 합니다.
유저관리 -> 보통 리눅스에서 /etc/mail/virtusertable 파일의 세팅 방법과 유사하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리눅스의 설정은 자신의닉@자신의도메인.com 실제계정아이디 이런식으로 되어 있을겁니다.
nmail 에서는 유저관리에서 사용자추가-> 유저(ID)-> 실제 컴퓨터 관리나 유저관리에서 추가된 접근 가능한
ID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유저아이디는 Nmail Server 와 웹서버 관리 유저와는 구별되게 만들수도 있다는
것만 알고 계시면 관리하시는데 어려움이 없을겁니다.
유저관리까지 다 맞추셨다면 기본설정 탭으로 이동하신후 환경저장 하시고 서비스 시작을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변경하실일 있으시면 서비스중지 하신후 환경변경->환경저장->서비스시작 순으로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인터넷 서비스 관리자의 기본 SMTP 가상 서버는 중지해 주셔야 위의 Nmail 사용에 지장이 없습니다.
여기까지가 일반적인 window+IIS5.0+APMsetup5.0 의 간략 세팅 방법입니다.
그리고 session 디렉토리의 사용권한은 리눅스에서는 707 (7: 디렉토리소유자 0:같은서버이용하는 같은 그룹 7:웹접근이용자) 이렇게 되어 있는데 IIS5.0 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유저들이 쓰게 될 디렉토리의 권한 문제를 맞추어 주셔야 합니다.
자신의 웹계정 위치가
d:\home\myhome 일경우
ftp 아이디도 동일하게 맞춰 주시면 다중 이용자 서비스 시스템이 가능합니다. 대신 네임서버는 동일하여야 겠지요...
일반 유저는 인터넷게스트계정,Everyone,그리고 ftp 사용권한 아이디 마지막으로 Administrator (s), 하나 더 추가 한다면 Users 일겁니다.
Administrator(s) 와 ftp 사용권한자 아이디는 모든 권한으로 맞추어 주시고
인터넷게스트계정/Everyone/Users 계정은 읽기 및 실행, 폴더 내용 보기(프로그램 에따라서), 읽기 로 맞춰 주시면 되겠습니다. 여기까지가 자신의 홈 루트 디렉토입니다.
그누보드 data 디렉토리는 다른 권한은 default 로 해주시고, Users 는 쓰기가 가능해야 합니다.
하위 폴더까지 사용권한을 변경하냐는 질문에 예를 클릭하여 주시면 끝...
윈도우 디렉토리 권한 문제는 조금 더 공부하시고 설정해 주시고,,,
공유기를 이용한 방화벽설정 또한 중요하니까 인터넷 검색을 이용하셔서 맞추어 주시면 되겠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사항이므로 잘못된점은 바로 잡아 주시고,, 더 좋고 세팅방법이 계시다면
이미지를 곁드린 교육을 부탁 드립니다 .ㅋ 너무 무리한 ㅋ ( 안되겠{습니까(니~)}?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