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업에 관하여.. 정보
백업에 관하여..본문
제가 호스팅을 이용중입니다
그런데 제가 호스팅을 바꾸려고합니다
그래서 백업을해야겟는데 DB백업은 그누보드 관리자페이지 에 잇습니다
그래서DB 백업은 문제없을거같은데
파일백업이 문제입니다
뭐 그쪽호스팅은 백업을 지원해주지않아서 제가 직접해야하는상황입니다
파일백업은 그냥 FTP 상태에서 그누보드 파일을 그냥 다운받으면 안될거같아서요
뭐 깔끔하게 백업하는방법알려주세요.
그리고 FTP 상태에서 다운하려면 어느어느 파일을 백업해야하는지 알려주세요
제가 백업은 처음이라서..조금 겁나네요.. 회원 데이터는 문제없겟지요?
댓글 전체
루트에서 tar 멸령으로 전체 파일을 압축하신후 만들어진 파일 하나를 ftp로 다운로는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tar 명령 자체도 모르는 초짜입니다.
자세하게좀알려주세요
자세하게좀알려주세요
ssh 로 계정접속
tar cvzf backup.tar.gz public_html // 계정내 public_html 폴더를 전체 압축
mysqldump -u User_ID -p User_database > backup_sql.sql // 쿼리를 저장할 화일명
비밀번호 입력
========================================================================
백업 명령 mysqldump -uroot -paaa db명 > aaa.sql
복구 명령 mysql -uroot -paaa db명 < aaa.sql
========================================================================
tar command files
옵션 - c 지정파일또는 디렉토리를 tar로 묶는다(압축효과 없음:오히려 용량증가)
- x tar의 파일의 묶음을 푼다. (묶음과 압축의 차이점 이해해야함)
- v 묶음의 대상파일을 보여준다.
- r 기존의 tar파일에 파일을 추가한다.
- p 파일의 생성되었을 때의 권한을 그대로 유지하게 해준다.
- z tar.gz의 파일로 압축할때 쓰이는 옵션
- f 작업대상이 되는 tar파일의 이름을 지정한다.
사용예
tar xvfz gnu3.tgz : 압축해제와 묶여짐을 동시에 푼다.
tar cvfzp gnu3.tgz *.php : 현재디렉토리에 있는 *.php로 끝나는 파일을 모두 퍼미션을 유지한 상태에서 묶어서 gnu3.tgz라는 파일로 압축한다.
이밖에도 여러가지 gzip gunzip등의 압축관련명령어가 쓰이지만
sir에서 사용되는 파일들은 tar의 명령어로 사용가능하다.
참고) tar 명령어는 - 를 쓰지 않아도 옵션이 사용가능하다.
tar cvzf backup.tar.gz public_html // 계정내 public_html 폴더를 전체 압축
mysqldump -u User_ID -p User_database > backup_sql.sql // 쿼리를 저장할 화일명
비밀번호 입력
========================================================================
백업 명령 mysqldump -uroot -paaa db명 > aaa.sql
복구 명령 mysql -uroot -paaa db명 < aaa.sql
========================================================================
tar command files
옵션 - c 지정파일또는 디렉토리를 tar로 묶는다(압축효과 없음:오히려 용량증가)
- x tar의 파일의 묶음을 푼다. (묶음과 압축의 차이점 이해해야함)
- v 묶음의 대상파일을 보여준다.
- r 기존의 tar파일에 파일을 추가한다.
- p 파일의 생성되었을 때의 권한을 그대로 유지하게 해준다.
- z tar.gz의 파일로 압축할때 쓰이는 옵션
- f 작업대상이 되는 tar파일의 이름을 지정한다.
사용예
tar xvfz gnu3.tgz : 압축해제와 묶여짐을 동시에 푼다.
tar cvfzp gnu3.tgz *.php : 현재디렉토리에 있는 *.php로 끝나는 파일을 모두 퍼미션을 유지한 상태에서 묶어서 gnu3.tgz라는 파일로 압축한다.
이밖에도 여러가지 gzip gunzip등의 압축관련명령어가 쓰이지만
sir에서 사용되는 파일들은 tar의 명령어로 사용가능하다.
참고) tar 명령어는 - 를 쓰지 않아도 옵션이 사용가능하다.
호스팅이라면 SSH 접속하셔야 할 것 같네요
PuTTY 프로그램 다운받으셔서 호스팅 정보로 접속하시고
tar 명령어로 백업 하시구요..
ftp 접속하셔서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후에 새로운 서버에 업로드
다시 SSH 접속후에 해당 파일의 압축을 푸시구요..
DB도 복구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양쪽의 MYSQL 버젼 확인하시구요.. 버젼이 틀리면 패스워드 인식안됩니다.
안되시면 연락 주세요!!
PuTTY 프로그램 다운받으셔서 호스팅 정보로 접속하시고
tar 명령어로 백업 하시구요..
ftp 접속하셔서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후에 새로운 서버에 업로드
다시 SSH 접속후에 해당 파일의 압축을 푸시구요..
DB도 복구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양쪽의 MYSQL 버젼 확인하시구요.. 버젼이 틀리면 패스워드 인식안됩니다.
안되시면 연락 주세요!!

쉘 접속
tar -cvzf name.tar ./
tar : 명령어
-cvzf : 옵션(아래 참조)
name.tar : 아카이브 파일이름
./ : 압축할 디렉토리 경로
옵션의 종류
-t, --list 아카이브의 내용물을 출력합니다
-x, --extract, --get 아카이브에서 파일을 추출합니다
-c, --create 새로운 아카이브를 만듭니다
-d, --diff, --compare 아카이브와 파일 시스템간의 차이점을 비교합니다
-r, --append 아카이브 끝에 파일을 추가합니다
-u, --update 아카이브 안의 것보다 새로운 파일만 추가합니다
-A, --catenate 아카이브에 tar 파일을 추가합니다
--concatenate -A와 같음
--delete 아카이브로부터 제거합니다 (자기 테이프에선 안됨!)
-f, --file=ARCHIVE 아카이브 파일 또는 ARCHIVE 장치를 사용합니다
--force-local 이름에 콜론이 있는 아카이브 파일도 지역 파일로
인식합니다
--rsh-command=COMMAND rsh 대신 원격 COMMAND를 사용합니다
-[0-7][lmh] 드라이브와 기록 밀도를 지정합니다
-M, --multi-volume 다중 볼륨 아카이브를 생성/출력/추출합니다
-L, --tape-length=NUM NUM x 1024 바이트를 쓴 뒤에 테이프를 바꿉니다
-F, --info-script=FILE 각 테이프의 끝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합니다
(-M을 포함함)
--new-volume-script=FILE -F FILE과 같음
--volno-file=FILE FILE 안에 있는 볼륨 번호를 사용/갱신합니다
-b, --blocking-factor=BLOCK 레코드당 BLOCK x 512 바이트
--record-size=SIZE 레코드당 SIZE 바이트, 512의 배수
-i, --ignore-zeros 아카이브에서 영으로 된 블럭을 무시합니다
(EOF를 의미함)
-B, --read-full-records 읽은 것을 재블럭화합니다 (4.2BSD 파이프용으로)
정보 출력에 관한 옵션:
--help 이 도움말을 인쇄하고 끝냅니다
--version tar 프로그램의 버전 번호를 인쇄하고 끝냅니다
-v, --verbose 처리되는 파일을 순서대로 출력합니다
--checkpoint 아카이브를 읽을 동안 디렉토리 이름을 인쇄합니다
--totals 아카이브를 만들 동안 쓰여진 총 바이트 수를 인쇄합니다
-R, --block-number 각 메시지마다 아카이브내의 블럭 번호를 표시합니다
-w, --interactive 모든 행동에 대해 확인을 요구합니다
--confirmation -w와 같음
Archive format selection:
-V, --label=NAME create archive with volume name NAME
PATTERN at list/extract time, a globbing PATTERN
-o, --old-archive, --portability write a V7 format archive
--posix write a POSIX format archive
-j, --bzip2 filter the archive through bzip2
-z, --gzip, --ungzip filter the archive through gzip
-Z, --compress, --uncompress filter the archive through compress
--use-compress-program=PROG filter through PROG (must accept -d)
tar -cvzf name.tar ./
tar : 명령어
-cvzf : 옵션(아래 참조)
name.tar : 아카이브 파일이름
./ : 압축할 디렉토리 경로
옵션의 종류
-t, --list 아카이브의 내용물을 출력합니다
-x, --extract, --get 아카이브에서 파일을 추출합니다
-c, --create 새로운 아카이브를 만듭니다
-d, --diff, --compare 아카이브와 파일 시스템간의 차이점을 비교합니다
-r, --append 아카이브 끝에 파일을 추가합니다
-u, --update 아카이브 안의 것보다 새로운 파일만 추가합니다
-A, --catenate 아카이브에 tar 파일을 추가합니다
--concatenate -A와 같음
--delete 아카이브로부터 제거합니다 (자기 테이프에선 안됨!)
-f, --file=ARCHIVE 아카이브 파일 또는 ARCHIVE 장치를 사용합니다
--force-local 이름에 콜론이 있는 아카이브 파일도 지역 파일로
인식합니다
--rsh-command=COMMAND rsh 대신 원격 COMMAND를 사용합니다
-[0-7][lmh] 드라이브와 기록 밀도를 지정합니다
-M, --multi-volume 다중 볼륨 아카이브를 생성/출력/추출합니다
-L, --tape-length=NUM NUM x 1024 바이트를 쓴 뒤에 테이프를 바꿉니다
-F, --info-script=FILE 각 테이프의 끝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합니다
(-M을 포함함)
--new-volume-script=FILE -F FILE과 같음
--volno-file=FILE FILE 안에 있는 볼륨 번호를 사용/갱신합니다
-b, --blocking-factor=BLOCK 레코드당 BLOCK x 512 바이트
--record-size=SIZE 레코드당 SIZE 바이트, 512의 배수
-i, --ignore-zeros 아카이브에서 영으로 된 블럭을 무시합니다
(EOF를 의미함)
-B, --read-full-records 읽은 것을 재블럭화합니다 (4.2BSD 파이프용으로)
정보 출력에 관한 옵션:
--help 이 도움말을 인쇄하고 끝냅니다
--version tar 프로그램의 버전 번호를 인쇄하고 끝냅니다
-v, --verbose 처리되는 파일을 순서대로 출력합니다
--checkpoint 아카이브를 읽을 동안 디렉토리 이름을 인쇄합니다
--totals 아카이브를 만들 동안 쓰여진 총 바이트 수를 인쇄합니다
-R, --block-number 각 메시지마다 아카이브내의 블럭 번호를 표시합니다
-w, --interactive 모든 행동에 대해 확인을 요구합니다
--confirmation -w와 같음
Archive format selection:
-V, --label=NAME create archive with volume name NAME
PATTERN at list/extract time, a globbing PATTERN
-o, --old-archive, --portability write a V7 format archive
--posix write a POSIX format archive
-j, --bzip2 filter the archive through bzip2
-z, --gzip, --ungzip filter the archive through gzip
-Z, --compress, --uncompress filter the archive through compress
--use-compress-program=PROG filter through PROG (must accept -d)

음....어려우시죠.
그냥 간단하게...
ssh접속하신 후
mysqldump -u계정아이디 -p비밀번호 디비아이디 > backup.sql 하시면 db가 압축되구요.
tar -cvpf backup.tar ./* 하시면 계정내의 모든 파일이 압축됩니다.
ftp로 다운 받으신 후 올리기를 원하시는 계정에 다시 풀어주세요.
역시 올리실 계정에 ssh로 접속하신 후
tar -xvpf backup.tar 하시면 모든 파일이 복원되구요.
mysql -u계정아이디 -p비밀번호 디비아이디 < backup.sql 하시면 계정 이전 끝..
그냥 간단하게...
ssh접속하신 후
mysqldump -u계정아이디 -p비밀번호 디비아이디 > backup.sql 하시면 db가 압축되구요.
tar -cvpf backup.tar ./* 하시면 계정내의 모든 파일이 압축됩니다.
ftp로 다운 받으신 후 올리기를 원하시는 계정에 다시 풀어주세요.
역시 올리실 계정에 ssh로 접속하신 후
tar -xvpf backup.tar 하시면 모든 파일이 복원되구요.
mysql -u계정아이디 -p비밀번호 디비아이디 < backup.sql 하시면 계정 이전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