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스트리 사용자입니다. 조언을 구합니다. 정보
소스트리 사용자입니다. 조언을 구합니다.
본문
생활코딩 영상으로 소스트리를 접하고 혼자 작업은 하지만 형상관리의 필요성을 오래전부터 느끼고 있었고
막코딩을 하다보니 내가 어떤 작업을 어떤식으로 했나 돌아볼 방법으로 깃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하는 방식은 그누깃을 원격으로 로컬마스터에 받아 원본을 유지하면서 로컬브런치를 만들어 개발하는 방식을 해 왔습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그누업데이트시 어떤식으로 원본과 브런치에 업데이트된 내용을 반영하느냐였습니다.
현재까지는 잘 되지 않아 몇번을 지웠다 깔았다만 반복중입니다.
혹 혼자 쓰시는 분들이 있으면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추천
0
0
댓글 1개

로컬 마스터(그누원본), 로컬 브랜치(작업본)로 가정하고 설명드리자면..
1. 로컬 마스터에서 pull 을 받습니다. 로컬 마스터는 한번도 커밋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pull이 이루어 집니다.
2. 로컬 브랜치로 체크아웃 하시고 로컬 마스터에 새로 커밋된 내용을 가져다가 merge를 합니다. (cherry-pic이나 merge를 이용해봅니다.)
3. 문제 없이 merge가 된다면 좋겠지만 분명 충돌이 나겠지요. diff를 통해서 충돌 나는 부분을 고치고 커밋을 합니다.
아름답게 알아서 소스가 정리되면 좋겠지만, 일일이 수정을 보셔야 합니다^^;
1. 로컬 마스터에서 pull 을 받습니다. 로컬 마스터는 한번도 커밋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pull이 이루어 집니다.
2. 로컬 브랜치로 체크아웃 하시고 로컬 마스터에 새로 커밋된 내용을 가져다가 merge를 합니다. (cherry-pic이나 merge를 이용해봅니다.)
3. 문제 없이 merge가 된다면 좋겠지만 분명 충돌이 나겠지요. diff를 통해서 충돌 나는 부분을 고치고 커밋을 합니다.
아름답게 알아서 소스가 정리되면 좋겠지만, 일일이 수정을 보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