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ductor를 써봣는데 > AI

AI

Conductor를 써봣는데 정보

Conductor를 써봣는데

본문

 

괜찮습니다.

클로드 코드 기반이라 쓸만하긴 합니다.

PR 기반이라는 점도 괜찮긴 하구요

 

커서 에디터에 이 기능이 들어오면 딱일것 같네요

브랜치를 분리하여 병렬로 작업한다는 개념이 신선합니다.

 

몇가지 단점도 있긴 하지만

개선될 문제이긴 하네요^^

 

하지만 싱글로 써도 토큰이 부족한데

병렬로까지 쓰면 토큰이 남아날지 의문이긴 합니다. ㅎㅎ

 

3024281938_1756428234.69.png

추천
2

댓글 11개

어라 써 놓고 보니 커서에 비슷한 기능이 있지 않았나?

하고 찾아보니 이미 있었네요

background 라고 있네요 ㅎㅎ

브랜치를 선택해서 작업이 가능하네요

하지만 백그라운드 작업은 MAX 모드만 가능해서 비용이 많이 나올듯 합니다.

백그라운드 모드를 클로드 코드와 연동가능하면 최고일듯 하네요

git worktree 랑 비슷한 개념인가 보군요 ㅎ

 

오늘 앤트로픽 서버에 문제가 있나요? 아니면 제 개인문제 인가요?

 API Error (api.anthropic.com | 504: Gateway time-out) · Retrying in 33 seconds… (attempt 10/10)
 

28일 부터 클로드 제한이 걸어서 이제 멀티로 사용하는 것도 별 재미가 없을 듯합니다.

200불을 내도 시간 제한을 한다고 하니..

KIRO도 소넷을 쓰는데,  갈수록  기대치 만큼 안되는 것 같은 느낌입니다.  

@리자 빈익빈 부익부로 가는 거죠.  회사입장에서는 400-500불정도 AI비용을 내는 쪽으로 계획해야 되고,  프로젝트에 맞게 AI에게 얼마나 컴팩트하게 요청을 하느냐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잘못요청하면 토큰 및 요청만 낭비를 하게 되니..)

 

요즘 하루에 8시간 이상씩 코딩을 하고 있는데,  하다 보면 언제 짤라야 될지,  언제 되돌아가서 다시 시작해야 될지를 결정하는 것이 제일 중요한 것 같습니다.

Sonnet 4 같은 경우에는 240-480이니 5일 * 8 * 6개에서 12개를 멀티로 돌릴 수 있겠네요..  

OPUS4 는 24-48이면,  잘못하면 하루면 끝나겠네요.  

 

@UXUI 200불 짜리 쓰는데도 한창 쓰는 시간에는 용량이 모자랍니다.

자는 시간이나 노는 시간에도 간단한 일이라도 자동으로 하도록 시키면

덜 아까울것 같긴 한데 말이죠 ㅎㅎ

전체 240 |RSS
AI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