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서버 만들기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나만의 서버 만들기 정보

나만의 서버 만들기

본문

오늘은 뭘 하면서 놀까? 

 

어제 또 고물 노트북도 하나 생겼고 서버나 만들어야겠다!

 

"엄마, 사과 하나만 깎아주세요."

 

"으응. 조금만 있다가 깎아 줄게!"

 

피곤하여 못 일어나는 것. 

 

"아빠가 깎아 줄게!"

 

"네!"

 

"한 개? 두 개?"

 

"두개요!"

 

1299182895_1572725535.4989.jpg

 

후딱 깎아 드림.

 

나만의 서버 만들기

 

1299182895_1572725422.2512.jpg

 

나는 이놈이면 충분하다.

별도의 대용량 배터리팩 보유. < 이것도 주웠어요. ㅡㅡ.

 

1299182895_1572725575.1914.jpg

 

메모리는 조금 슬프네? ㅡㅡ. 최소 4G는 되어야! 

리눅스는 2G 가지고도 빨빨 거리고 뛸 수 있어요! ~~ ㅎ

물론 서버는 메모리가 빵빵해야 합니다. ㅠㅠ

 

1299182895_1572725582.5985.jpg

 

시피유는 OK!

 

초기에 사람들이 많이 올 것도 아니고

1년 이상은 데이터만 수정하고 등록해야 한다.

이젠 내 콘텐츠 하나 만들어야지!

 

리눅스를 하나 설치할 생각이다.

데비안(Debian)계열의 우분투(Ubuntu)를 써야 할지

센토스(CentOS)를 사용할지 선택을 안 했네?

https://ko.wikipedia.org/wiki/데비안

https://namu.wiki/w/우분투

https://namu.wiki/w/CentOS

 

[Linux] 리눅스란 무엇인가? (센토스 VS 우분투)
https://coding-factory.tistory.com/318

 

감사합니다. 센토스가 어려운 것 같음?

설치만 해 보았지 사용해 본 적도 거의 없다.

그런데? 서버는 센토스가 낫다고? 하신다.

갈등 생기네요?

 

일단 대기

 

OS 선택

우분투를 써야 하나, 센토스를 써야 하나?

 

OS 선택은 잠시 보류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 선택

 

한글은 그누보드 이미 정한 것이고

영문은 그누M 이것도 이미 ㅡㅡ.

 

https://sir.kr/main/g5/ < 그누보드
https://sir.kr/main/gm/ < 그누M

 

하지만 문제가 있다.

그누M의 보안 업데이트다. 이것을 내가

그누보드 5.4를 보면서 고쳐서 쓸 수 있을지 모르겠음.

이거 안 되면 건드리면 안 되는데. ㅠㅠ

 

다국어 사이트의 경우

아주 깔끔하게 해당 국가를 대처하는 방법은

해당 국가에 맞는 하나의 시스템이다.

 

모두 대처를 한다는 것이 나는 상상이 안 되기에. 흑.

그래서 우리가 만든 다국어 전용 프로그램이 하나 있었으면 했다.

그것이 그누M < 영문 사이트 돌리기에 완빵이다.

중국어, 일본어? 영어 하나 배우는 것도 힘들어 죽겠다!

여하튼, 보안 업데이트 하나만 나에게 문제가 될 뿐. ㅠㅠ 

 

나는 폼나게 돌아가는 버튼에 관심이 없다.

완벽하게 해당 국가에 맞는 시스템이랄까?

 

//

 

OS가 문제네? 어쩌지?

 

24시간 후,

센토스(CentOS) 결정.

 

//

 

이것이 한 번 설치하면 엄청난 시간이 들어간다.

지금 만족하는 장비가 정말 만족인가? %$#*&^!

하드디스크는 SSD로 바꾸면 되고

메모리는 올리면 된다. 

여분 SSD가 없네? 

일단 설치하고 하드카피해도 되겠지?

인간이 제 서버 만들면서 돈을 쓴 곳은 하나도 없네?

SSD에 일단 과감하게 몇 푼 쓰겠음.

하드카피하면 되니까 메모리에 써야 하나?

안 쓰고 그냥 갈까? ㅎ

 

//

 

추가 : 2019.11.04. 06:44:32

 

OS가 역시 문제. ㅋ

 

드라이버를 먼저 확보하고자 삼보컴퓨터 드라이버 센터 방문

https://www.trigem.co.kr/customer/m1_sub_driver_down.jsp

역시 리눅스용 드라이버는 없네?

모두 Windows 7 32bit 드라이버만 있음.

그래도 설치할 수 있어요!

리눅스 시스템에서 자체 지원을 하거든요! ~~

되려나? ㅎ

 

//

 

 

추천
2

베스트댓글

댓글 37개

감사합니다. 선배님 그러면 센토스가 낫겠죠?
센토스를 몰라서 겁은 살짝 나는데요. 같은 리눅스이니 ??
그러고 보니 ㅎ 저 데비안도 20년은 지난 것 같아요. ㅎㅎ
선배님이 만드신 작품 감사히 쓰겠습니다!
아파치님, 잘 지내십니까?
아래에 언급된것과 같이 1대의 노트북에 웹서버랑 메일서버 같이 돌릴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혼자만 테스트용으로 써 보다가 안정화 되면 나눔도 좀 해보려구요~~^^
그러니까요. 직접 만들어서 해 주세요! ^^
언제까지 우리가 외국에 의존해야겠습니까!
갸들도 도울 겸. 우리 스스로 ㅋ
웹서버만 구축하실건가요?
노트북 1대로 가능한 범위가 어디까지인가요?
저도 노는 노트북  한번 활용해볼까 합니다.^^
네. 제 서버로 사용하려고요.
노트북도 본체와 다를 것이 없는걸요.
가능한 범위 모두 입니다!
오히려 저전력이라서 좋은데요.
아무래도 속도는 최신형 장비들이 좋습니다!
엄청 괜찮습니다. 저도 아주 오래전에는 직접 돌리면서 썼거든요.
직접 돌리시면 공간 제한도 없고 쓸 만 합니다!
저도 2006년쯤인가 pc에 우분투 설치해서 웹서버 만들어본다고 설치다가 포기한적이 있어요.
요즘은 많이 간편화 됬으리라 생각합니다.
욕심이 많아서 1대에 웹서버랑 메일서버 같이 설치할까 싶은데 가능할까요?
노트북 사양은 받쳐줄 수 있는 수준입니다만, 1대에 병행설치는 안해봐서요~~
흑. 이런 질문은 선배님이 잘 아세요. ^^
저 메일서버 돌려 본 적이 없거든요. ㅎㅎ
홈페이지 가동만 해 보았습니다. 흑.
저는 스마트폰에 centos로 웹서버 구축하다가 어딘가에서 막혀서 포기했던 기억이...
PC에서는 vmware에 centos올려서 유용하게 사용 중이죠~!
vmware 사용하면 윈도우 따로 서버 따로 돌릴 수 있어 좋죠.
하나의 컴퓨터로 두 마리를 잡으니 효율성 측면에서 따봉입니다!
나만의 서버 한 마리 갖고 싶어서 시작했습니다. 전용요. ^^
저도 그냥 그렇게 됐으면 하는 바램 뿐입니다.
리눅스 손을 놓은지 너무 오래돼서 설치나 할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어제는 우분투로 가야할지
센토스로 가야할지 막 고민이 되었습니다.
특별하게 검색을 하거나 그러지는 않았는데요.
주변 분위기가 오래 전과 달리 지금은 센토스 분위기네요? ^^

익숙함은 윈도우이고 ㅋ
우분투나 센토스나 저는 이제 둘 다 어색할 것 같고요.
이러면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어차피 처음 배우는 것! 이렇게 가는 거죠. ㅎ

우선은 검색했던 것 한 번 읽어 보고
그리고 시작하려고요. 지난 24년 기다렸던 나만의 서버라서 ㅎㅎ
안 급하거든요. ^^
하나의 놋북에 웹서버, 메일서버 , db서버 돌려도 상관 없습니다.
호스팅 서비스 서버도 함께 돌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걱정 안하셔도 될 듯....^^
구글아, 어떤 것이 가장 좋은 운영체제일까?

> 본인에게 편한 운영체제가 가장 좋습니다.

윈도우 쓰라고? ㅎ
윈도우는 공부할 때 외에는 별로 안 쓰고 싶은데?
이번에는 다르다. 나는 리눅스 쓸란다!
배우면 되지!
어차피 배우면 편해짐. ㅋ

//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1. 기초 지식 알아보기
http://library.gabia.com/contents/infrahosting/3448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2. 리눅스 배포판의 종류와 특징
http://library.gabia.com/contents/infrahosting/3466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3. CentOS 설치 방법
http://library.gabia.com/contents/infrahosting/3472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4. 아파치 설치 및 설정
http://library.gabia.com/contents/infrahosting/3513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5. php 설치와 설정
http://library.gabia.com/contents/infrahosting/3530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6. DNS 설정
http://library.gabia.com/contents/infrahosting/3546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7. MySQL 설치
http://library.gabia.com/contents/infrahosting/3564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8. CentOS phpMyAdmin 설치 (yum)
https://zetawiki.com/wiki/CentOS_phpMyAdmin_설치_(yum)

https://blog.lael.be/post/1721
어떤 것이 가장 좋은 운영체제 일까요?
본인에게 편한 운영체제가 가장 좋습니다.

CentOS 7.0 또는 그 이상 버전에서 사용가능한
설정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phpMyAdmin 설치 정보가 없네?


phpmyadmin 은 전세계적으로 가장많이 쓰이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오픈소스 프로그램이며

오라클도 있어요!
그런데 이거 누가 알려 준 것인데? 누구지?
제타위키 같은데?

https://www.phpmyadmin.net/ 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압축풀고 서버에 업로드 한 후 접속해보시면 됩니다.

(제타위키 정보)
https://zetawiki.com

내용 페이지가 어딘지 못 찾겠음. ㅡㅡ.

감사합니다. 꾸벅.
또 뭐가 필요하지?

//

??

서버가 그냥 돌아가나? 기본 값 설정도 다시 맞춰야 하고?
보안 쪽도 뭔가 또 깔아야 하고?
어이구. ㅡㅡ.
이러고 끝 안 나네?

이럴 때는?



///////////////////////////////

AAI 자동 설치 스크립트 검색.

한번에 끝내는 CentOS7 APM 자동 설치 스크립트 AAI V 0.3.4
https://apachezone.com/apm/1?sca=AAI

CentOS AAI V.1.2
https://apachezone.com/apm/115

User Guide
https://apachezone.com/guide

도대체 장비를 뭘로 하셨기에 서버가 날아가지?
홈피 만든 CMS는 그누M 이거 하나 알겠음. ㅡㅡ.

///////////////////////////////

dnsever
https://kr.dnsever.com
DNSEver는 도메인은 보유하고 있으나 네임서버가 없으신 분,
네임서버 구축 또는 관리가 어려운 분들을 위하여,
안정적인 네임서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내가 네임서버를 어떻게 만들어?
안 만들고 월 1천 원 내고 쓰고 싶다. ^^

또 있나?
주소가 없네. 도메인 하나 사야 하네. ㅡㅡ/
내가 이런 이야기 하면 사람들이 웃겠지만. ㅡㅡ.
해야겠음. ㅠㅠ

////////////////////////

나는 내가 프로그램을 고치는 시간보다
사용자를 늘리는 방법이 더 빠르고 쉽다.
후자를 택할 생각. ㅎㅎ

알아서 하겠지?
양쪽 모두. 나! SIR! ㅡㅡ.

다국어 시스템을 생고생하여 만든다.
왜 죽임?
그냥 둬도 알아서 살 놈을! ㅡㅡㅡㅡㅡㅡㅡ/

나머지는 방치!
보안 업데이트는 해 주면서 ㅎ

내가 하면 누가 믿........

선배님 도와주세요. 흑흑
님 좀 설득해 주세요. 잉.
FreeBSD는 어떻겠습니까.
온전한 운영체제입니다.
(리눅스는 보통 커널을 의미)
안정성과 파일시스템의 내구성이 좋은 정통 유닉스입니다.
초창기 유닉스 개발시 여기에 중점을 뒀기 때문입니다.
리눅스용 바이너리들과 호환하며 리눅스 배포판 못지 않은 패키지가 있습니다.
커널에는 독보적이고 우수한 것들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pf는 네트워킹 zfs는 스토리지에 딱 들어 맞습니다.
pfSense, FreeNAS 등이 FreeBSD를 기반으로 합니다.
FreeBSD의 pf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장비들도 많습니다.
과거 애플이 FreeBSD의 소스를 얻어다가 자기네 OS를 만든 사례는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게 OSX, iOS까지 이어 집니다.
인쇄 업계에 있어던 것 같으니 아실지 모르겠으나 OS 8이나 9의 하드디스크를 떼어 다른 맥용 컴퓨터에 넣어서 바로 부팅해 사용할 수 있었던 것도 FreeBSD 소스였기에 가능했습니다.
FreeBSD는 디스크를 다른 서버나 컴퓨터로 옮겨서도 왠만하면 부팅이 다 됩니다.
바로 서비스들을 정상화 할 수 있습니다.
때에 따라 NIC의 이름만 수정하는 정도입니다.
(과거 윈도우 서버나 리눅스에서는 부팅이 바로 안되고 큰 작업이 따라야 할 경우가 많았음)
유지보수가 유리한 점입니다.
디스크만 멀쩡하면 안심입니다.
덤프와 리스토어 명령으로 고스트처럼 사이즈가 크거나 작은 디스크로도 교체가 수월합니다.
(예를 들어 HDD에서 용량이 적은 SSD로 시스템 이전)
메인보드의 콘덴서가 여기저기 터진 상태에서도 꾿꾿이 버틴 적이 있을 정도로 짱짱합니다.
(윈도우라면 부팅 불가 및 블루스크린, 리눅스라면 부팅 불가 및 파일시스템 손상)
상업적 이용에 적합합니다.
국내는 사용자들이 극소수라 권하기가 꺼려집니다만 Handbook이라는 좋은 매뉴얼이 있습니다.
Handbook은 유닉스를 망라합니다.
유닉스에서 오늘날 사용하는 웹, 메일, 프로토콜, 라우터, 방화벽, NAT(예, 공유기) 등이 다 나왔습니다.
예를 든다면 메일에서 @는 유닉스 시스템 내 사용자들 구분에서 비롯한 것입니다.
영문이지만 어렵진 않고 공부가 된다 입니다.
시간은 꽤 들 수 있습니다.
여기서 기본을 다지면 향후 다른 리눅스 배포본을 다루는데 어렵지 않습니다.
다른거라곤 해당 배포본의 시스템관련 명령, 패키지 명령 정도입니다.
나머지는 거이 같습니다.
이왕에 운영체제를 시작하겠다면 참고하기 바랍니다.
헐. ㅎㅎ
선생님! 으으으 ㅎㅎ

다시 읽겠습니다!
다른 것 먼저 고치려고 들어왔거든요! ㅋ

아직 읽기 전이나 무조건 감사합니다!!!
선생님 FreeBSD는 저도 설치는 해 보았습니다.
예뻤습니다. 설치만 하고 ㅜㅜ.
선생님 제가 가야 할 길이 수학입니다. ㅎㅎㅎ
다시 다른 것을 또 시간을 들여서 배우기는 자신이 없습니다.
이것이 참이고요! OS에 대해서 만큼은 사용자가 다양했으면 합니다.
윈도우의 독점을 막을 수 있었는데요. ㅡㅡ.
주신 말씀 모두 감사합니다.
앞으로 제 직업은 수학을 다루는 일이 될 것 같아요.
그리고 일부러 시간을 내어 물리학과 생물학 화학 천체물리학
여하튼 자연과학 쪽을 공부하고만 싶습니다.
우선 시작하고 수입이 나오면 서버는 전문가에게. ^^

배우겠습니다. 하고 싶은데요. 그래야 하는데요. ㅎㅎ
죄송합니다. ㅠㅠ
이해하시죠? ㅎ
우수한 운영체제이기에 한번 권했던 것입니다.
여건이 안되면 신경쓰지 마십시오.
부연하자면 공개 운영체제 중에서는 이만만한 게 없다고 봅니다.
운영체제들에게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운영체제이고요.
예전에는 국책 사업으로 밀어서 국내 대학이 버클리로부터 FreeBSD프로젝트를 인수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한 적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운영체제를 만들기 어렵다고 봐서 말입니다.
망상이었습니다.
걔네들 자부심이라 돈을 싸질머매고 가도 안 내줄 것입니다.
어떻게 제가 맨 밑에 것만 또 ㅡㅡ.

네. 선생님. 선생님이 권해 주셨기에 주저할 이유가 없습니다.
아, 그랬군요. 아. ㅎㅎ 역시 예쁜 놈들입니다!
자고로 학자, 개발자는 그래야지요! ^^ 좋은데요? ㅎ
감사합니다. 선생님. 그런데 ㅎ
OS는 FreeBSD 깔 것 같아요. ^^
배우려는 것은 아니고요. FreeBSD 깔고
(어차피 모두 처음 같을 것 같아서요)
그리고 선배님 AAI 자동 스크립트에 의존하려고요.
보니까 선배님 홈에 센토스와 우분투는 있더라고요?
FreeBSD는 없고요. 다양성 확보를 보조할까! 합니다. ^^

수학은 이제 저는 포기할 수 없습니다.
다행스러운 것은 계속 공부를 할 수 있는 환경에 있다는 점이고요.
욕심이 배우는 것 말고는 별로 없어요. ㅎ
아이들과 사는 정도? 그리고 나면 공부하고 싶어요.
스크립트 파일에 들어있는 컴파일 또는 패키지 명령이 달라서 FreeBSD에서는 이용하지 못합니다.
스크립트를 편집기로 열어서 설치 과정이나 설정을 취사 선택하여 참고합니다.
그누보드를 운영할거라면 그누보드 환경에 맞는 소프트웨어와 라이브러리만 설치합니다.
그누보드 실행 환경은 단순합니다.
conf, config, ini 등 설정 파일에 들어가는 옵션은 그대로 써도 무방할 것입니다.
뭐하는 옵션인지도 천천히 알아보고 취사선택합니다..
어제 주신 말씀은 두 번이나 읽었는데요.
로그인을 이제서야. 송구합니다.
저는 회원가입도 없는 모델이라(담고 뱉기 구조)
어떤 놈을 써도 되거든요. 그런데 FreeBSD로 가겠습니다.
선생님이 권하시고, FreeBSD 개발자 그룹의 자세가
참으로 예쁘고 존경스럽습니다.
말씀 주신대로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내 컴퓨터는 게임할 일도 없고 그래서
리눅스로 가려니 드라이버가 지원되는지 모르겠네?

FreeBSD가 내 컴퓨터 칩셋을 지원할까?

장치 드라이버가 있는지 확인
Oracle Device Detection Tool
https://docs.oracle.com/cd/E37933_01/html/E36598/devdriver.html

Oracle Device Detection Tool 사용 방법
설치를 수행하기 전/후에 다음과 같이
Oracle Device Detection Tool을 사용하여
현재 릴리스에 시스템의 모든 장치용 드라이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드라이버 가용성을 확인할 대상 운영 체제를 선택합니다.

https://www.oracle.com/technetwork/hcl/hcts-oddt-overview-1358344.html

에이 괜히 윈도우 10 설치했네. ㅡㅡ.

다시 검색해봐야겠다!
드라이버 지원 안 하면 꽝이잖아?

//

그러니까 그래픽카드 때문에 그렇지!
내장그래픽카드 성능이 좋아요. 나는 충분.
NVIDIA 달 것 같으면 왜 검색을 하겠어? ㅡㅡ.
ATI 모델이라 불안하다. ㅋ

아무래도 익숙해지려면 가장 빠를 것 같아서
윈도우를 버리고 FreeBSD로! ~~
인텔 내장 그래픽은 지원을 잘하는 것 같음?
그래서 인텔로 다시 바꾸려고 한다. ㅎ
다시 깔면 되지! ㅡㅡ.

그리고 혹시 몰라서

멀티부팅을 할 생각이다.

혹시 모르잖아?

FreeBSD 설치하다가 드라이버 문제가 발생할지도?
그럼 시간 가지고 질질 끌어야 하는데?
그럴 때는 윈도우라도 써야지?

안정 빵으로 잘 돌아가는 것 확신이 오면?
리눅스 계열 애들 좀 더 접해볼 생각이다.
윈도우는 쓸 만큼 썼음. ㅡㅡ.
FreeBSD라. 괜히 설레고 기분이 좋음?
메인보드와 CPU 바꿔야지!

윈도우 먼저 깔고? 이후 멀티부팅으로 FreeBSD 설치하고!
일단 안전하겠지?

//

2019.12.03. 10:25

안전하기는 ㅡㅡ. 돌대가리 짱구였음.

FreeBSD 설치하면서 느낀 점이 있다.
이 친구 왜 극 칭찬을 받아야 하는지 아주 조금 알겠음.
진짜 끝내주는 서버 전용 프로그램이었음.
왜?
텍스트 모드만 되거든!
얼마나 빠르겠어? 거기에

안전빵 최고의 유닉스

하여 노트북에 단독으로 설치했어요!
선생님이 일부러 고생하셔서 설치방법까지! 잉.
제자가 되어 예의는 지켜야 하지 않을까? 이런 자세?
할 수 없이 깔았음. ㅎㅎ
그리고 사용하는 컴퓨터는 윈도우 10을 버리고 우분투로 갈아 탔음.
그런데 FreeBSD는 설치만 하고 조금 막막한 상태? ㅋ
서버 설치 이런 것은 쉽지만 뭐 다른 것도 또 해야 할 것 같아요.
도메인 뭐 이런 것. ㅡㅡ. 지금은 돈 없는데. ㅡㅡ/
전체 199,640 |RSS
자유게시판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