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표준 정말 힘드네요 ㅠㅠ 정보
웹표준 정말 힘드네요 ㅠㅠ
본문
웹표준을 꾸준히 공부하고있습니다~ ㅠㅠ
기존의 틀을 벗어난다는것이 너무어렵습니다~
그래도 웹표준이면 전부 웹브라우저에서 동일하게 나와야하나
특정 IE버전에선 버그가 존재하고 컴파일러가 다다르다보니
웹표준이어도 조금씩 틀린건 미칠정도로 답답하네요 ㅠㅠ
좋은 책이나 좋은 방법등있으면좀 알려주십시요! ^^
기존의 틀을 벗어난다는것이 너무어렵습니다~
그래도 웹표준이면 전부 웹브라우저에서 동일하게 나와야하나
특정 IE버전에선 버그가 존재하고 컴파일러가 다다르다보니
웹표준이어도 조금씩 틀린건 미칠정도로 답답하네요 ㅠㅠ
좋은 책이나 좋은 방법등있으면좀 알려주십시요! ^^
추천
0
0
댓글 13개
웹표준과 크로스브라우징은 별개 입니다만 ..
웹표준 = 크로스브라우징이라고 생각 하시는 분도 의외로 많더군요 ..
웹표준 = 크로스브라우징이라고 생각 하시는 분도 의외로 많더군요 ..
그냥성지순례하듯이 처음보면 좋을책은 '댄 씨더홈 저서, 실용예제로 배우는 웹표준, 웹2.0을 이끄는 방탄웹 - 에이콘출판사' 입니다.
프로필님이 말씀하신대로, 웹표준, 크로스브라우징은 의미가 좀 틀립니다.
크로스브라우징(AKASIA님이 말씀하신대로, 웹브라우저에서 동일하게 나와야 - 라고 말한부분)은 웹접근성중에 한 부분입니다.
또 웹 접근성이라하면, 근본적으로 어떠한 사용자가 쓰더라도 불편함이 없어야 하는것입니다. (여기서는 장애우를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접근성에 근접하려면 w3c에서 정한 '명확한 마크업요소'를 통해서 하는 방법이 가장 쉽게 근접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실제로 w3c에는 많은 부분에 대하여 권고안을 정해두고있습니다)
일반적인 접근성에 가장 근접하게 다가가기 위해서 개발자들이나 디자이너분들께서 w3c에서 권고하는 마크업요소로 작업을 하다보니 XHTML로 하게 된것입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HTML5 지향적으로 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 ) - 갈길은 멀었지만.
프로필님이 말씀하신대로, 웹표준, 크로스브라우징은 의미가 좀 틀립니다.
크로스브라우징(AKASIA님이 말씀하신대로, 웹브라우저에서 동일하게 나와야 - 라고 말한부분)은 웹접근성중에 한 부분입니다.
또 웹 접근성이라하면, 근본적으로 어떠한 사용자가 쓰더라도 불편함이 없어야 하는것입니다. (여기서는 장애우를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접근성에 근접하려면 w3c에서 정한 '명확한 마크업요소'를 통해서 하는 방법이 가장 쉽게 근접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실제로 w3c에는 많은 부분에 대하여 권고안을 정해두고있습니다)
일반적인 접근성에 가장 근접하게 다가가기 위해서 개발자들이나 디자이너분들께서 w3c에서 권고하는 마크업요소로 작업을 하다보니 XHTML로 하게 된것입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HTML5 지향적으로 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 ) - 갈길은 멀었지만.

웹표준으로 작성하면 흔히 크로스브라우징해도 아무문제가 없다~ 이런식으로
배웠거든요~~
별개인가보네요?!
엔피시님~! 책추천감사합니다~
배웠거든요~~
별개인가보네요?!
엔피시님~! 책추천감사합니다~
아 ㅎㅎ 요즘은 가르치는곳들도 있군요.ㅎㅎ
네, 근데 사실 학원에서는 아주 전문으로 말하면 이해못하는 수강생들도있을지도몰라서 장점을 극대화해서 설명하니 그렇습니다 : )ㅎㅎㅎ
좀더 자세히 알고싶으시면 나라디자인블로그 ( http://naradesign.com )에서 살짝살짝 편하게 읽으셔도 좋아요 : )
네, 근데 사실 학원에서는 아주 전문으로 말하면 이해못하는 수강생들도있을지도몰라서 장점을 극대화해서 설명하니 그렇습니다 : )ㅎㅎㅎ
좀더 자세히 알고싶으시면 나라디자인블로그 ( http://naradesign.com )에서 살짝살짝 편하게 읽으셔도 좋아요 : )

웹표준, 웹2.0을 이끄는 방탄웹 - 에이콘출판사' 입니다.
이거 좋아요^^ 저도 다읽었는대 다른책보다 쉽고 잘도있어요
이거 좋아요^^ 저도 다읽었는대 다른책보다 쉽고 잘도있어요

표준은 표준일 뿐

유아원님이 표준은 표준일뿐하니깐 ㅋㅋ 웬지 공부안해도 될꺼같은
느낌이 막 드네요 ㅋㅋ
top스쿨님 책추천감사합니다 여러권 사봐야겠네요ㅎㅎ
느낌이 막 드네요 ㅋㅋ
top스쿨님 책추천감사합니다 여러권 사봐야겠네요ㅎㅎ

웹표준, 웹2.0을 이끄는 방탄웹 이 책이 요즘 세트로 팔아요
3권세트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5433722
요거를 추천합니다 ^^
3권세트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5433722
요거를 추천합니다 ^^

고객 홈피를 표준에 마추어 작업해 ㅤㅈㅝㅅ더니
디자인이 없다고 뭐라고 하십니다..ㅜ.ㅜ
포샵 잘라붙이고 그림붙이고 화려하게 하면 거의 힘들어 진다고 이야기 햇는데 이쁘면 되지 표준은 무신표준이라고 합니다..ㅠ.ㅠ
지금 다시 막코딩 중입니다 미치~~것네
디자인이 없다고 뭐라고 하십니다..ㅜ.ㅜ
포샵 잘라붙이고 그림붙이고 화려하게 하면 거의 힘들어 진다고 이야기 햇는데 이쁘면 되지 표준은 무신표준이라고 합니다..ㅠ.ㅠ
지금 다시 막코딩 중입니다 미치~~것네

힘내세요 ㅎㅎ

법대로 다지키면 융통성없고 피곤할때가 많죠. 적절한 야메(?)를 통한 타협안을 마련해야....
뭔가 기사삘이 나는듯? ㅋ
뭔가 기사삘이 나는듯? ㅋ
사실 그 표준의 기준을 모르겠어요.
그 표준의 정석은 w3c에서 정하겠죠?
그런데, float, overflow, position, relative, ul-li, dl-dt, p 등등 쓰임새가 이것도 되고
저것도 되고 하니 결정하기가 힘들더군요.
웹디자인 2.0 고급 CSS (감각적인 웹디자인 예술 미학) 이책을 보니 저자도
잡지 등을 보면서 태그적용을 연습하면 좋다고 합니다.
사전에 시안을 보고 CSS의 설계를 잘해둬야 하는 게 중요하겠죠.
그 표준의 정석은 w3c에서 정하겠죠?
그런데, float, overflow, position, relative, ul-li, dl-dt, p 등등 쓰임새가 이것도 되고
저것도 되고 하니 결정하기가 힘들더군요.
웹디자인 2.0 고급 CSS (감각적인 웹디자인 예술 미학) 이책을 보니 저자도
잡지 등을 보면서 태그적용을 연습하면 좋다고 합니다.
사전에 시안을 보고 CSS의 설계를 잘해둬야 하는 게 중요하겠죠.

제사이트가 2000년대 초반 화려한(?)시절에 만든 사이트라서 웹접근성에서보면 거리가 멉니다.
근데 이번에 사이트수정작업을 작게하다보니. 웹접근성이란말에 신경쓰이더군요.
어차피 한동안은 현존상태로갈꺼기 ㅤㄸㅒㅤ문에 크로스브라우징정도에 신경쓰고 있는중인데.
브라우저마다 표출모습이 다르더군요. 파이어폭스, 익스8으로 ㅤㅁㅏㅊ추는 중인데. 만드는게 취미라서 그렇지 전문적인 영역은 저와 상관없는거 같군요 . 그만큼 어려워 보인다는.
빨리 웹표준이란게 형성되어 한브라우저만 ㅤㅁㅏㅊ춰도 다른 브라우저에 적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근데 이번에 사이트수정작업을 작게하다보니. 웹접근성이란말에 신경쓰이더군요.
어차피 한동안은 현존상태로갈꺼기 ㅤㄸㅒㅤ문에 크로스브라우징정도에 신경쓰고 있는중인데.
브라우저마다 표출모습이 다르더군요. 파이어폭스, 익스8으로 ㅤㅁㅏㅊ추는 중인데. 만드는게 취미라서 그렇지 전문적인 영역은 저와 상관없는거 같군요 . 그만큼 어려워 보인다는.
빨리 웹표준이란게 형성되어 한브라우저만 ㅤㅁㅏㅊ춰도 다른 브라우저에 적용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