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c-kr과 utf8과의 고민입니다.. 정보
euc-kr과 utf8과의 고민입니다..본문
자유게시판인데.. 고민이라고 적어 놓네요..
질문게시판은 아니구요...
다름이 아니라 저는 프리랜서 입니다..
요 근래에 홈페이지를 만들다 보니.. 참 그렇더라구요... 후아..
어느 클라이언트가..
euc-kr로 만들어진 홈페이지를 utf8로 생성된 어떠한 페이지들을 삽입했나봐요..
혹은 코드를 삽입했겠죠..
덕분에 홈페이지는 완전 아자작(한글이 아자작..).....
한글로 바꿔주면 5만원 준다는 말에.. 그냥 별 것 아니겠지 싶어서 작업 들어갔는데 결국..
4일밤을 세다가 ㅈㅈ치고 욕먹고 말았었던 적이 있네요....
utf8과 euc-kr의 차이는 도대체 무엇인가요?
구지 바꿔야 한다... 라는 생각은 든적이 없거든요;;
바꿔야 할 필요성이 느껴지면 그 때 바꾸더라도 늦지 않다... 라는게 제 주관인데;;
글 읽다가 보니 utf8로 작업하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네요.. 어이쿠....
추천
0
0
댓글 12개
글 남긴 의도는 그냥 갈굼받고 싶다... 쯤으로.. 날 누군가 자극시켜줬으면 좋겠다~ 라는 변태성향은 절대 아니구요.. 힌트를 얻고 싶다! 왜 하필이면 utf8인가~!에 대한 명확한 해답이 내려졌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주로 제작하는 사이트는 단순 대메뉴 5개 게시판 3개(공지,사진,문답).. 뭐 대략 아시겠지요;;

정말 단순하게, 국내용 ecu-kr 해외범용 utf8 이렇게 보심 될듯.
추 후 모를(?) 일에 대비해서 기왕 신규사이트는 utf8로 가는것이 좋겠네요. 글로벌 시대니깐요.
저도 아직 굳이 바꿔야 되겠다는 생각은 안드네요. 하지만 신규사이트는 utf8로 갈려고 생각중.
추 후 모를(?) 일에 대비해서 기왕 신규사이트는 utf8로 가는것이 좋겠네요. 글로벌 시대니깐요.
저도 아직 굳이 바꿔야 되겠다는 생각은 안드네요. 하지만 신규사이트는 utf8로 갈려고 생각중.

2만원에 대행 해드리겠습니다...
우선 하기전에 상황부터 보구요... ^^;
와~ 싸다... --;
우선 하기전에 상황부터 보구요... ^^;
와~ 싸다... --;
그냥 euc-kr로 쭉 써와서 utf로 갈 일이 없는 저로서는 높으신 분들의 이야기 같군요.
naver가 utf8로 바꾸면 좀 생각해봐야죠. ㅎㅎ
네이버 utf8로 바뀌었는데요.
1. EUC-KR 은 국내용.. 해외범용은 UTF-8 이라는 말씀은 EUC-KR 이 국내표준 인코딩이고 한국어를 모두 표기할수 있고 그외 특수기호도 모두 소화할수 있지만 단지 외국어만 표기할수 없다는 정보를 기초로한 말씀인가요? 아니면 이 모든 정보가 전혀 틀린정보임을 아시면서도 그냥 쓰던게 편하고 좋으니까 계속 EUC-KR 을 고집하기 위한 적절한 합리화인가요?
웹표준, 접근성등을 떠나서 EUC-KR 은 정말 오래된 마치 IE6 이 웹표준을 제대로 지원해주지 않는것과 같고 패치되지 않은 그누보드3 와 같은 '한국어 표기용 구버전 인코딩' 입니다
2. 네이버가 UTF-8 로 바꾸면 생각해보신다면 이미 오래전에 생각하셨어야 할 문제인듯 싶습니다
네이버는 이미 오래전에 문서 상단에 이런 코드를 넣었다죠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문장이 좀 까칠한 말투라 죄송하지만, 댓글 내용들을 보다가 0 _0) 헐;; 하는 생각에 평소 안하던 댓글을 달게 되었습니다
웹표준, 접근성등을 떠나서 EUC-KR 은 정말 오래된 마치 IE6 이 웹표준을 제대로 지원해주지 않는것과 같고 패치되지 않은 그누보드3 와 같은 '한국어 표기용 구버전 인코딩' 입니다
2. 네이버가 UTF-8 로 바꾸면 생각해보신다면 이미 오래전에 생각하셨어야 할 문제인듯 싶습니다
네이버는 이미 오래전에 문서 상단에 이런 코드를 넣었다죠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문장이 좀 까칠한 말투라 죄송하지만, 댓글 내용들을 보다가 0 _0) 헐;; 하는 생각에 평소 안하던 댓글을 달게 되었습니다

까칠해도 정답이네요.^^*

국내표준 인코딩이니 뭐니 이런걸 떠나서 선생님이 html 을 배울때 간단하게 생각하라고 저렇게 배웠었는데... 오래댔네요. 생각해보니.
ecu-kr이 빠르고 인식률은 좋으나, 확장성이 떨어진다고 하더군요.
ecu-kr이 빠르고 인식률은 좋으나, 확장성이 떨어진다고 하더군요.

국내용으로 euc-kr써도 됩니다.
예를 들어 선거홈페이지의 경우 외국인은 배제하고 만들어도 되는거죠.
목적에 따라서?
예를 들어 선거홈페이지의 경우 외국인은 배제하고 만들어도 되는거죠.
목적에 따라서?

어떤 사이트가 될지는 모르지만 그 사이트가 늘 국내용으로만 끝나지 않을 공산이 크죠. 그러다보니 utf-8들을 선호하는 것 같구요.

뭐라뭐라 말은 많이 하는데 중요한 것은 환경 자체가 utf-8로 간다는 것이죠.
국내에서만 서비스하는데 뭐 필요하냐... 맞습니다. euc-kr로 가도 상관없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점점 갈수록 euc-kr로 가고 싶어도 못가는 상황이 생긴다는 것이죠.
그래서 결론은 싫든 좋든 그냥 uft-8입니다.
국내에서만 서비스하는데 뭐 필요하냐... 맞습니다. euc-kr로 가도 상관없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점점 갈수록 euc-kr로 가고 싶어도 못가는 상황이 생긴다는 것이죠.
그래서 결론은 싫든 좋든 그냥 uft-8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