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보화 사업에서 소프트웨어(SW) 개발비용 산정 방식 변경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공공정보화 사업에서 소프트웨어(SW) 개발비용 산정 방식 변경 정보

공공정보화 사업에서 소프트웨어(SW) 개발비용 산정 방식 변경

본문

많은 분들이 기사를 보셔서 아시겠지만, 혹시나 해서 올려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관련해서 기술자수로 계산하던 방식을 기술의 난이도로 산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될 듯 합니다. 현재는 공공기관 관련해서라고 합니다만, 앞으로 일반적인 홈페이지제작에 까지 모두 반영되지 않을 까 싶습니다~~
개발비를 산정하는 부분에 있어서 관련 신설 고시등과 앞으로의 추진방향을 보고 미리 준비하면 경쟁력에서도 유리한 위치에 오르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이런 정보내용들은 올릴만한 곳이 없어 커뮤니티에 올립니다~~


<관련 고시내용 전문>
그동안 공공정보화 사업에서 소프트웨어(SW) 개발비용을 산정할 때 머릿수대로 하는 헤드카운트 방식을 관행적으로 사용해 왔으나 앞으로는 기술성과에 따른 가격 산정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SW개발의 성과물을 기능단위로 측정하는 기능점수 방식은 국제 표준이란 게 지식경제부의 설명이다.

기사내용보기 -->
추천
0
  • 복사

댓글 3개

이러든 저러든 낙찰이라도 한 번 되 봤으면 소원이 없겠습니다. ^^
머릿수로 돈을 받든 난이도로 돈을 받든 ㅠㅠ
(지난달에 11만원이나 들여서 공인인증서등록하고, 여기에 소프트웨어면허신청까지 하면 20만원돈..ㅠㅠ
맨날 떨어지지 말입니다.ㅠㅠ)

저는 늘 혼자였지 말입니다.

번외글:::) 홈페이지가 알토란 같군요.. 즐겨찾기 해뒀습니다. 종종 이용하겠습니다.
하하 개가죽님 -_-;;

아깝게 떨어지는것도 하나의 실력입니다.. 조달 방법은 운이라 -_-;; )

제일 짜쯩 나는 2가지 케이스는 

1번째 내보다 1원 큰 액수 적은 놈이 당첨될때 -_-;;

2번째 분명이 내가 당첨 되어야 할 경우인데 ;;;  절삭으로 나보다 1원 적게 적은놈이 당첨될때  ;;

(실제 ㅠ.ㅠ 223,359,900 원 인데 ;; 
계산 하기 귀찮아서 -_-;; 223,360,000 원 적었더니 언넘이 -_-;;
233,359,990 이라고 적어서 -_-;; 낙방 ㅠ.ㅠ ( 회사 사람들에게 얼마나 구박을 받았던지 ;;)

1등이 되실려면 -_- 조달법 및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법령 집 한권 구하셔서 읽어 보신후 -_-; 마음 비우시고 투찰 하시길 바랍니다 -_-ㅋㅋ ;;

한동안 입찰을 많이 안해서 -_- 감이 별로 안오지만 홈페이지 관련건은

거의가 2월-3월에 미리 다 정해 집니다.

년 단위 계약이다 보니 (1-3월 사이에 업체가 다정해지니 미리 공부를 좀더 해두시는것이 좀더 좋은 조건이되실수 있습니다 --;;

년단위 유지계약 / 공공기관 및 기관 관리 용역 계약 건들은 1년 단위이고 이벤트성 적인 건물이나 단체가 생긴다면 가끔 입찰공고가 나올듯 하구요...)

홈페이지 같은 경우는 보통 1-2 천대가 주류 일것이고 -_-;; (만든후 2-3년 단위로 수정을 보통 하구요 유지 관리 개념으로는 1천 단위 정도 인듯 합니다..)

관리 부분은 보통 1억대에 근접을 하게 되지만 지역마다 사정은 약간씩 다르리라 생각합니다.

가능하시면 초반에는 지역제한이 걸린 제주지역 3-5년치 입찰 결과를 한번 보시고 그것을 기반으로 약간 응용해 보시는것도 좋습니다 ^^

나라장터에서 ^^ 지난 기록 보기가 있으시니 개찰결과 보기 같은 경우나 몇해지난 자료부터 연결을 하시면 좋을 결과가 있을듯 합니다 ^^
답변 정말로 고맙습니다 .^^

저 역시 투찰제한지역 제주 걸어놓고 만 입찰 들어갑니다.
아직 두 번 밖에 안해봤네요.. (용역에 제주제한이 그리 많지가 않거든요)

대부분 2천5백 선에 예정가격 고시되더라고요...
웹표준을 요구하는 사이트들이고요...

지난기록보기를 몰랐네요.. 한번 훓어서 입찰결과와 그 회사를 알아봐야한다는걸 깜빡햇군요...

알토란 같은 정보였습니다. 고맙습니다. ^^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