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근래 ai 서비스중 코딩관련 제 느낌을 간단히 적어봅니다. > AI

AI

요근래 ai 서비스중 코딩관련 제 느낌을 간단히 적어봅니다. 정보

요근래 ai 서비스중 코딩관련 제 느낌을 간단히 적어봅니다.

본문

요근래 1년여 동안 ai서비스를 실제 이용해보면서 겪은 경험을 기준으로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보는 부분하는 있어서 장단점을 간단히 적어보고자 합니다.

우선 전반적으로 공통적인 부분은 VS-Code(+코파일럿 무료)는 개인적으론 비추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이제 VS-Code 플러그인 형태로는 그다지 기대하지 않으시는게 나을거 같기도 하구요.
ai없이 코딩하는 분들에게는 단순하고 가벼운 에디터가 여전히 좋을거 같습니다.
다만 지극히 단순한 반복패턴은 VS-Code+코파일럿 무료를 이용하는 것도 나쁘진 않는데 구지 VS-Code에 코파일럿까지 유료 쓸 이유도 없어보입니다. 다른 에디터가 더 좋은 형태로 나와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요.

본론으로 들어가서 개인적인 생각을 몇자 적어봅니다.
대표적 서비스인 chatgpt, claude api까지 다 사용해본 경험을 기준으로 얘길 해보자면 승자도 패자도 없습니다.
단순한 마이크로서비스 정도(미니홈페이지+단순한 로직)는 둘다 어느정도 커버가 쉬울거 같고
하루에 한 개정도는 프런트+백엔드 모두 실 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했었습니다.
다만 이것도 어느정도 지식을 갖춘 조직에 한해 해당이 될거 같습니다. 사실 검증작업을 하면 할 수록 보완이 많이 필요했습니다.

chatgpt와 claude는 어느정도 수준급 이상의 개발자에 근접한 코드 구현을 해주었고
나머지 후발 주자 구글외 기타 서비스들은 그럭저럭 기초적은 부분은 만족할 수준이였습니다.

앞에서 언급한 VS-Code부분에 대해 연관 지어지는 얘기가 되겠지만 커서로 옮기는게 정신 건강상 덜 피로함을 감히 추천해봅니다. 단지 개발초보가 아닌 경우라고 하더라도 정말 편리함을 느낄 것입니다.
이 부분도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로선 저에겐 커서가 제일 만족스러운 결과였습니다.
또 이러다가 내일 당장 더 좋은 서비스가 나와서 달라질 수도 있지만 지금 시점까지의 제 느낌은 그러합니다.

그리고 chatgpt나 claude가 구현해주는 코드에 대해 절대 맹신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보안상 뭐가 좋으니 제안하는 코드가 어떻니 하는 식의 대화를 하는데 실제 구현 해준 코드를 분석해보면
반 이상은 손보지 않고는 적용하기 힘든 코드, 수정이 반드시 필요한 코드가 100퍼 나옵니다.

그리고 여러 서비스들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해당 서비스의 api를 제대로 이해하고 반영하는 부분은 국내 api 부분은 미흡한 부분이 상당히 많습니다. 다른 부분에서도 오류로그를 보여주고 수정해봐 하면 엉뚱한 부분으로 수정하는 게 많아서 그냥 구글링하는게 속편합니다.

단점만 얘기해서 너무 부정적으로 글을 작성하게 되었는데
장점도 많습니다. 개발기획에선 탁월해서 오히려 인간을 뛰어 넘는 수준같아 보였고 실제 구현이전까지의
단계별 구현 계획 같은것은 잘 짜주더군요. 

여튼 전체적인 제 평가는 "좋긴한데 실 서비스에 완전히 신뢰할 만한 코드는 아직은 나오지 않고 있다"입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오.

추천
5

댓글 10개

혹시 커서를 사용하실때, .cursorrules 파일을 어떻게 구성했는지 알수 있을까요? 

vscode 를 쓰신다면, vscode + cline 3.1 + deepseek3 을 추천드려봅니다.
(claude 3.5 는 api 비용이 비싸서 코드 대비 비용이 좀 발생하게 됩니다. tier 한도도 낮고.)

@솔그루 .cursorrules 를 만들어도 규칙을 잘 따르지 않는것 같더라구요.

개인적인 느낌입니다. 

 

아마 이미 보셨겠지만 .cursorrules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영상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6JuC2N5ZckM&t=840s

@솔그루 답이 늦었습니다. 아침에 완료보고하고 뻗었습니다 하하.
아래 관리자님 댓글에도 나와있듯이 딱히 뭐 구성이랄게 없습니다.
단지 영어로 솰롸솰라 하는게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더군요. 그것도 번역기 돌려가며 구지 영어로 전환하니까 좀더 낫다 정도지 교과서적인 정답이랄까 하는 것은 여태해봐도 아직 잘 모르겠다는 게 제 답입니다. 어쩔때는 잘 반응하고 비슷한 수준의 개발자와 일하는 느낌이 날때가 있습니다만 비슷한 맥락으로 설정하고 비슷한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배신을 때리는 모양새가 제법 나오다보니 이럴거면 구글링 하고말지 싶을때가 적지는 않았습니다.

그리고 이미 아실 수도 있지만 요기서 영어로 된 설정을 참고 많이 했습니다.
https://cursor.directory/

@리자 개발팀에 입사한 신규개발자에게 프로젝트의 의미와 용도, 참고해야 할 사항, 디렉토리 구조, 개발방법과 코딩컨벤션, git 배포, 문서 작성, 테스트가 필요한 경우 테스트 하는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적는게 좋습니다. 지침을 잘 따르지 않는 부분은 프롬프트를 변경하거나 보완해야 하는것 같습니다.

 

제가 설정한 rules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그누보드 테이블별로 테이블 스키마 파일을 생성합니다.
/docs/schema/{tables_names}.sql 형태로 모두 생성해 둡니다.
https://sir.kr/g5_tip/22518?sfl=wr_subject&stx=%ED%85%8C%EC%9D%B4%EB%B8%94 [참고]

.cursorrules 일부
5. DB 테이블 참조 

  - 5.1 기능을 수정하기전, 테이블 schema 구조를 먼저 파악합니다. 

  - 5.2 테이블의 생성 스키마는 /docs/schema/{tables_name}.sql 파일로 존재합니다.

   - 5.3 테이블을 확장해야 하는 경우 alter table 를 생성하고,   /docs/schema{tables_name}.sql 에 업데이트를 합니다. 

    - 5.4 기능에  연관된 테이블이 있는 경우, 5.1 ~ 5.2 를 반복합니다. 


rules 는 개발 지침이지만, 개발을 진행할때, 작업을 진행하는 방식을 설명을 추가했을때 좀더 원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ps)

(.rules 파일은 보안 이슈로 업데이트가 안될수 있는데, 수동으로 업데이트합니다.)

 

 

개발기획에선 탁월한 면을 보인다고 하셨는데,

 

개발기획에서 어떤 형식으로 물어봐야

탁월한 기획을 볼 수 있을지 조언드립니다.

 

개발기획이 절실합니다-.-

@아론다론 개발은 추론의 영역이 일부 필요함으로,  gpt-o1 모델을 사용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api 를 아직 본격적으로 사용할수 없으니, chatgpt 사이트에서 채팅으로 물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다음은 gpt 에 물어본 "개발기획" 에 대해서 어떻게 물어보면 좋은 답변을 해줄수 있는지에 대한 답변입니다. ㅎ


 

1. 전체 맥락(Background) 제시하기

  • 프로젝트 목적/배경: 왜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는지, 해결하려는 문제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 예: “신규 모바일 앱을 런칭하려고 하는데, 핵심 기능은 OOO이고 경쟁 서비스는 XXX입니다. 사용자층은 주로 OOO가 될 예정입니다.”
  • 조직 상황: 현재 함께 일하는 인력, 사용 가능한 리소스(예: 예산, 시간, 인프라 등), 혹은 기술 스택 등을 명시해주면 좋아요.

2. 구체적인 목표/요구 사항 명시하기

  • 목표(Goal): 이번 기획에서 원하는 최종 결과를 구체적으로 작성해 주세요.
    - 예: “3개월 안에 MVP를 출시하고, 베타 테스트로 사용자 피드백을 1차로 확인하고 싶습니다.”
  • 요구 사항(Requirement): 필수 기능, 우선순위, 서비스 컨셉 등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요소들을 명시해주세요.
    - 예: “가입/로그인, 결제 기능, SNS 공유, 관리자 대시보드는 필수이며, 사용자 후기 시스템은 우선순위가 낮습니다.”

3. 현재까지 고민된 사항 / 진행 상황 공유하기

  • 이미 해두신 생각이나 결정 사항(기술 스택 선호, 개발 일정 계획안 등)이 있다면 공유해주시면, 이를 기반으로 더 깊이 있는 제안을 드릴 수 있습니다.
  • 우려 사항: 리스크 요인이나 현재 난관도 함께 언급해주면 문제 해결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에 좋습니다.

4. 원하는 답변의 형태/레벨 지정하기

  • 답변 형식: 예시, 단계별 가이드, 타임라인, 리스크 및 해결 방안, 예상 리소스 등 어떤 형태로 받길 원하는지 명시해주세요.
    - 예: “개발 일정(타임라인)과 함께 필요 인력 및 예산 규모를 제안해주세요.”
  • 디테일 수준: 개략적인 로드맵에서부터 스펙 수준의 세부사항까지 어느 정도로 깊이 있게 듣고 싶은지를 알려주세요.
    - 예: “백엔드 API 설계 구조까지 가능한 구체적으로 알려주세요.”

5. 예시 질문 템플릿

아래는 실제로 질문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예시 템플릿입니다.

[배경/상황]
현재 ○○ 산업 분야에서 ○○와 유사한 서비스를 준비 중입니다. 주요 타겟 고객층은 ○○이며, 서비스 차별화 포인트로 ○○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목표/문제]

  • 3개월 내 MVP를 출시하고, 실 사용자 베타 테스트를 진행하고 싶습니다.
  • 주요 기능은 ○○, ○○, ○○이고, 이 중 ○○가 가장 중요한 기능입니다.

[현 상황 & 조건]

  • 현재 인원은 백엔드 1명, 프론트엔드 1명, 디자이너 1명으로 총 3명입니다.
  • 예산은 대략 ○○만 원이고, 기술 스택은 ○○(언어/프레임워크) 위주로 진행하려 합니다.
  • 걱정되는 부분은 ○○이고, 유저 피드백을 빠르게 반영해야 합니다.

[요청 사항]

  1. 로드맵 구성(주별 or 월별 일정)
  2. 각 단계에서 필요한 인력 및 기술 요소
  3. 기술적 리스크와 해결 방안
  4. MVP 이후 확장 계획(백엔드 아키텍처, 성능 고려 등)
  5. 추가적으로 고려할 만한 제품 차별화 아이디어

위 내용 바탕으로, 구체적인 개발 기획 가이드를 부탁드립니다.

이런 식으로 프로젝트의 배경, 목표, 현 상황, 우려사항, 그리고 어떤 형식으로 답변을 원하는지 최대한 명료하게 작성해주시면, 더 깊이 있고 실질적인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마무리

  • 요약하자면 목표와 배경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구체적인 요구 사항요청하는 답변 형식을 함께 전달해주시면 됩니다.
  • 추가로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예) “기술 스택 선택에 관한 조언”,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툴 추천”, “유저 스토리 작성 방법” 등 세분화된 질문을 던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앞으로 개발 기획 관련해서 질문 주실 때, 위 내용을 참고하셔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구조적으로 주시면, 제가 더욱 정확하고 풍부한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거예요.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


 

@아론다론 
제가 했던 방법은 실제 개발 진행과정을 그대로 옮겨 적는 부분이 제법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사실 기획만 하고 끝날거면 혼자서라도 날밤새어가며 멋지게 해볼 수도있겠지만 하나의 일만 하는게 아닌지라. 

제가 뭐 도움이 될까 싶습니다만 경험만 말씀드릴께요.
개발 기획쪽부터 진행해본 기억으론 무엇보다 중요한게 두리뭉실한 요구사항들을 약간 정리하고 이를 구현할 개발 환경, 배포환경, 운영환경 등을 어느정도 정하고 ai에게 물어보게되면 좋았습니다.
그 과정을 적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우선 chatgpt 4-o에게 서술형 요구사항들을 적어서 요약해달라고 합니다.
이때 서술형 요구사항은 가급적 ​​​​​sf소설 쓰듯이 작성하셔야 잘 뽑아내 주더군요. 
그리고 그것을 목록화해서 정리해달라고 한번 더 요청합니다. 내가 아는 범위에서 빠진게 없는지 살펴보시되 추가할게 있으면 나중에 추가하시길 바랍니다. 어떤 항목이 빠졌으니 추가해라고 하면 대부분 새로 작성해서 주는데 그 사이 기존의 중요한 포인트 몇개는 또 빼버리고 추가되는 항목에 대해 집중하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요구사항이 어느정도 목록화 되면 거기에 실제 기획 단계에 접어들면서 변경되는 부분들과 앞에서 누락된 요구사항 등을 하나씩 정리해서 합치셔야합니다.
그리고는 완전히 다른 대화를 여시고 붙여넣습니다.
이제 하셔야 하는 작업은 제안을 받는 부분입니다. 원본 요구사항 명세 목록은 그대로 유지하시되 보완해야할 점이나 개선사항 등을 받아보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오시면 대부분 개발시 적용해야 할 부분이 어느 정도 가닥이 잡혀지실 겁니다.
그다음 단계, 새 대화를 여시고 지금까지 정리된 요구사항 목록을 업로드 하신 후, 개발 기획을 해달라고 해보세요.
그럼 어느정도 일정까지 잡아서 던져 주는게 대부분이였습니다.

힌트는 새 대화입니다.
이 녀석들이 똑똑하긴 한데, 사용자가 뭐 한마디 하면 자꾸 거기에 집착합니다. chatgpt나 claude 둘다 그래요.
그래서 그점을 역이용해서 긴 대화를 이어가지는 않고 툭툭 던지는 식으로 해결을 보았습니다.

이건 여기서 해도 될 얘긴지는 모르겠습니다만 
ai가 저에게 짜증을 내었던 기억이 아직도 납니다.
대들기까지.....자기 코드다 맞다고 우기더라구요 어이가 없어서.




 

@아론다론  gemini 2.0 도 추론이 가능한 부분이 있어서 동일하게 물어보았습니다.

 

 

저는 개발 기획에 있어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실현 가능한 아이디어를 제시하는데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에게 효과적으로 질문하여 최상의 답변을 얻으려면, 다음과 같은 형식을 참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 명확하고 구체적인 목표 설정:

  • 무엇을 만들고 싶은가?: 어떤 종류의 앱, 웹사이트, 게임, 프로그램 등을 기획하는지 명확하게 알려주세요.
  • 목표는 무엇인가?: 사용자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하고 싶은지,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지, 어떤 목표를 달성하고 싶은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예를 들어, "사용자의 건강 관리를 돕는 앱", "온라인 쇼핑몰의 매출 증대", "게임의 사용자 몰입도 향상"과 같이 명확한 목표를 제시해야 합니다.
  • 핵심 기능은 무엇인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기능들을 명시해주세요.

2. 타겟 사용자 정의:

  • 누구를 위한 것인가?: 주요 사용자층은 누구인지 (나이, 성별, 직업, 관심사 등) 구체적으로 알려주세요.
  • 사용자의 니즈와 pain point는 무엇인가?: 타겟 사용자가 겪고 있는 어려움, 불편함, 또는 원하는 바는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사용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 기존 서비스와의 차별점은 무엇인가?: 기존에 유사한 서비스가 있다면, 어떤 점에서 차별화를 둘 것인지 설명해주세요.

3. 플랫폼 및 기술:

  • 어떤 플랫폼을 목표로 하는가?: iOS, Android, 웹, PC, 콘솔 등 어떤 플랫폼에서 구동될 서비스인지 명시해주세요.
  • 사용 가능한 기술은 무엇인가?: 현재 보유하고 있거나 활용 가능한 기술, 개발 인력, 예산 등을 알려주시면 더욱 현실적인 기획안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기술적 제약사항은 있는가?: 기술적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부분이나, 고려해야 할 제약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4. 참고할 수 있는 레퍼런스:

  • 유사한 서비스나 성공 사례가 있는가?: 벤치마킹 할 만한 서비스나, 참고하고 싶은 성공 사례가 있다면 알려주세요.
  • 좋아하는 디자인이나 UX/UI 사례가 있는가?: 선호하는 디자인 스타일이나, 참고하고 싶은 사용자 경험/인터페이스 사례가 있다면 공유해주세요.

5. 질문의 형태:

  • 개방형 질문: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는 무엇이 있을까요?", "게임의 재미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와 같이 자유로운 답변을 유도하는 질문을 해주세요.
  • 구체적인 질문: "A 기능과 B 기능 중 어떤 것이 사용자에게 더 유용할까요?", "C 디자인과 D 디자인 중 어떤 것이 타겟 사용자에게 더 적합할까요?"와 같이 명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는 질문을 해주세요.
  • 가설 검증: "만약 X 기능을 추가한다면, 사용자 만족도가 높아질까요?", "Y 디자인을 적용하면, 사용자의 참여율이 증가할까요?"와 같이 특정 가설에 대한 검증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예시:

나쁜 예: "재미있는 게임 아이디어 좀 알려주세요." (너무 추상적이고 모호합니다.)

좋은 예:

  • 목표: "20-30대 여성을 타겟으로, 바쁜 일상 속에서도 짧은 시간 동안 즐길 수 있는 힐링 게임을 개발하고 싶습니다. 사용자에게 정서적 안정감과 소소한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타겟 사용자: "20-30대 여성, 직장인 또는 학생, 스트레스 해소와 힐링을 원하는 사용자, 복잡한 조작보다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게임을 선호하는 사용자"
  • 핵심 기능: "귀여운 동물 캐릭터 수집 및 성장, 간편한 조작, 아름다운 그래픽과 사운드, 사용자 간 소통 기능"
  • 플랫폼: "iOS, Android"
  • 레퍼런스: "동물의 숲, 어비스리움"
  • 질문: "사용자의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는 게임 요소는 무엇이 있을까요? / 20-30대 여성이 선호하는 게임 디자인 스타일은 무엇일까요? / '동물의 숲'과 차별화될 수 있는 요소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결론적으로, 저에게 개발 기획에 대한 질문을 하실 때는 위와 같은 요소들을 최대한 상세하고 명확하게 제공해주시면, 더욱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저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훌륭한 개발 기획을 완성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vscode(GPT 4o) > 커서(클로드) > vscode(클로드) 이렇게 옮겨 탔습니다.

커서가 확실히 굉장히 편리하긴 한데, AI 코드 적용할 때 자꾸 누락되는 부분이 생기더라구요. vscode는 코드 적용이 안정적(누락되는 경우가 거의 없음)이더라구요.

 

아직 많이 써보진 않았지만 편의성은 클로드, 안정성은 vscode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며칠 사이에 바뀐 생각이라, 또 바뀌겠지만요. ㅎㅎ

전체 255 |RSS
AI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