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ude MAX 써보신분 계신가요? 정보
Claude MAX 써보신분 계신가요?
본문
클로드 사용하면 항상 용량이 부족한 경우가 많은데
한달에 100달러 내면 좀 쾌적하게 이용가능할까요?
클로드 코드 이용가능하다는데
클로드 코드와 커서 에디터 연동해서 사용하는 방법이 MCP 같은걸로 조합이 가능할까요?
1
댓글 10개
클로드가 환불해달라고 하면 계정 밴때리고 허위로 환불되었다고 기만질하는것도 있어서 본사에서 서비스받는거보다 깃헙 카피롯이나, 윈드서퍼나 커서에서 모델사용하는게 더 가성비도 좋은거같더라구요. 응답제한량도 본사가 더 적어서 여담이긴합니다.

@nekoieye 그렇군요 클로드는 환불을 안해봐서 그런 경우는 안겪어봤습니다.
커서 에디터는 사용해 보면 쓸대없는 곳에 너무 사용량을 남발해서 500 크래딧 금방 사용해 버리는 경향이 있더라구요 그리고 잘 고쳐줄때도 잘못고쳐줄때도 있어서 애매합니다.
요즘 GPT는 잘 사용안하고 있지만 업데이트가 많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그외에 그록 부터 대형 AI는 최근에 유료로 모두 사용해 보았지만
클로드가 가장 정확하게 결론을 도출해 주었습니다.
딥시크는 중국스러웠고
그록은 처음에는 우와 했지만 사용해보면 해볼수록 디테일한 추론이나 문제해결은 초보 수준이었습니다.
이제 클로드도 일부 검색을 지원하기 시작했고 이제 앞으로는 사용량을 얼마나 유연하게 설계 가능하느냐 인것 같습니다.
커서 에디터에서는 Auto를 통해서 절감 하려고 한것 같지만 Auto를 켜는순간 살짝 바보가 되는 느낌이 있습니다.
@똥싼너구리 실험맨 느낌으로 첫달은 계속 쓰고 두번째달 결제하고 환불하면 영구정지 준다고 하길레 설마 하고 리펀드 요구하니까 환불해줍니다하고 메일보내고 환불처리는 안되고 영정주더라구요 ㅋㅋ 그래서 다른 구글계정으로 사용중이긴합니다.

max plan 쓰고 있습니다. claude code 무료로 사용할수 있어서 저 한테는 max plan 이 이득입니다. claude desktop + mcp 로 코딩하고 있어서 제한 초과가 많이 발생했는데, 지금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컨텍스트 윈도우는 여전히 그대로라서, 대화가 길어지면, 다음 채팅에서 이어가야 합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메모리 기능에 특화된 mcp 들 테스트해보고 있습니다.
결론 : max plan 추천합니다.

@솔그루 오 그렇군요 다음에 똑같이 한번 세팅해서 개발해 보고 max plan 써봐야 겠습니다.
혹시 MCP 가능하면 커서 에디터와도 연동이 가능한가요?

@똥싼너구리 여러툴을 많이 쓰지만, 가장 많이 쓰는 툴은 claude desktop + mcp 입니다.
중요 mcp 는
- mcp-server-mysql : db 스키마 명세를 반드시 해두고 이걸 기본으로 써야 합니다.
- fetch
- sequential-thinking
- filesystem
- jetbrains
- playwright
입니다.
이중에서 jetbrains 는 phpstorm 플러그인으로 설치가 가능한데,, 이걸 사용함으로써 cursor 나 windsurf 보다 좋은 결과 코드를 개발할수 있습니다.
개발자는 ai 가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거나 직접해야 하는 코드는 사람이 직접 하는 방식을 쓸수 있습니다.(개발자니까요) 이게 가장 좋은 방식입니다.
모든 코드를 ai 에 맡기는건 바이브코딩이고, 프로젝트에서 실제 사용하는 코드는 사람이 일부 개입하는게 좋습니다.
말이 좀 두서가 없는데, 저는 phpstorm + claude desktop(max plan) + mcp 방식이 주요 코딩방식이고, 그외 자잘한 코드들이나 미니 프로젝트들은 cursor, windsurf, claude code 등을 적절하게 섞어서 씁니다.
들리는 말로는 grok 3.5 가 디자인 부분을 이쁘게 뽑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보통 html 코드를 claude 를 쓰면 다 비슷하게 나옵니다. 그나마 세련된 디자인을 grok 3.5 가 출력해준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이것도 직접 써봐야 알것 같습니다.
그외 오늘 gemini 2.5 pro preview 버전이 나왔는데, 코딩 성능이 최고라고 합니다. 이것도 써봐야 할것 같네요.
개발자는 ai 시대에 더 부지런해져야 합니다. 코딩 하는 시간은 줄이고, 모델을 테스트하고 손에 익히는 시간을 계속 늘려야 합니다. 자기만의 프롬프트도 많이 만들어 봐야 하구요. 나중에는 혼자서 프롬프트를 A4 1-2 장 정도는 그냥 쓸줄 알아야 합니다.
1. 프로젝트에 따라 모델을 섞어서 구성하는 아키텍쳐 역량
2.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3. 그리고 코드를 빠르게 스캔
위 3가지 역량이 핵심이 될거라고 봅니다.

@솔그루 급하게 급하게 일쳐내느라 바빠서
AI 공부를 많이 못하고 있습니다 ㅠㅠ
내일 급한거 끝나면 차근차근하게 한번 파봐야 겠습니다 ㅎㅎ
일단 MCP 부터 설치해야 겠네요 ㅋㅋ

윈드서프와 커서를 비교하고 있는데 윈드서브의 용량이 더 작게 줄어드는 느낌입니다.
윈드서브의 write 를 사용중인데 쓸데없는 코드를 너무 많이 만들어주네요.
프롬프트를 잘 만들어야 하는데 머리가 ... ㅎㅎ

@리자
프롬프트를 잘 만드는 AI를 쓰고
또 프롬프트를 잘 만들어 주는 스크립트를 만들어주는 AI
다중 AI !!

@리자 taskmaster ai 를 적절히 사용하는것도 좋습니다.
저는 안 쓰지만, 큰 작업을 해야 한다면 한번 써볼것 같습니다.
그리고 작업 지침 생성기를 꼭 만드셔야 합니다.
작업 지침 생성기를 본인 스타일로 만들고, 지침생성기로 만든 프롬프트로 다시 작업을 수행 시켜야 합니다.
이 방식으로 해야 코드 일관성을 유지할수 있습니다.